닫기
검색

상세정보

중국의 통일국가론으로 본 고구려사

정운용 외 지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중국의 통일국가론으로 본 고구려사 / 정운용 외 지음
개인저자정운용
김미경
김락기
강선
발행사항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09
형태사항194 p. : 챠트 ; 23 cm
총서사항동북아역사재단 기획연구 ;28
대등표제Reading Koguryo history through the lens of China's "United Multiethnic State" ideology
ISBN9788961871372
일반주기공저자 : 김미경, 김락기, 강선
색인 : p. 189-194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중국,통일국가론,고구려사
분류기호951.32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45665 951.32 정운용 중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63 대출가능
2 1046720 951.32 정운용 중 c2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63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8
역사적 적용에 있어서 '다민족 통일국가론'의 허실 / 정운용
 Ⅰ. 머리말 = 15
 Ⅱ. '민족'을 이해하는 일반적 시각 = 18
 Ⅲ. 중국 학계에서 '다민족 통일국가론'의 전개 = 26
 Ⅳ. '다민족 통일국가론'의 허실 = 36
 Ⅴ. 맺음말 = 44
고구려 건국 문제를 통해 본 '지방정권론'의 내용과 비판 / 김미경
 Ⅰ. 머...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8
역사적 적용에 있어서 '다민족 통일국가론'의 허실 / 정운용
 Ⅰ. 머리말 = 15
 Ⅱ. '민족'을 이해하는 일반적 시각 = 18
 Ⅲ. 중국 학계에서 '다민족 통일국가론'의 전개 = 26
 Ⅳ. '다민족 통일국가론'의 허실 = 36
 Ⅴ. 맺음말 = 44
고구려 건국 문제를 통해 본 '지방정권론'의 내용과 비판 / 김미경
 Ⅰ. 머리말 = 53
 Ⅱ. 고구려 건국 문제에 대한 중국 학계의 시각 = 54
 Ⅲ. 고구려의 건국과 귀속 문제 = 69
 Ⅳ. 현도군의 고구려 '관할' 문제 = 86
 Ⅴ. 맺음말 = 102
고구려의 경역과 중국 학계의 '지방정권론' / 김락기
 Ⅰ. 머리말 = 109
 Ⅱ. 고구려 경역에 대한 중국 학계의 이해 = 110
  1 중국 학계의 고구려 경역 연구 동향 = 110
  2 중국 학계의 고구려 경역 이해와 '지방정권론' = 120
 Ⅲ. 고구려의 경역 변화를 통해 본 '지방정권론'의 문제 = 126
  1 '고토론'과 고구려 경역 연결의 문제 = 126
  2 '장백산문화권' 설정 문제 = 134
 Ⅳ. 맺음말 = 141
'책봉'을 통해 본 고구려 '지방정권론' 비판 / 강선
 Ⅰ. 머리말 = 149
 Ⅱ. 책봉과 고구려 '지방정권론' = 150
 Ⅲ. 고구려 책봉 사례의 분석 = 163
 Ⅳ. 책봉과 고구려의 정체성 = 176
 Ⅴ. 맺음말 = 185
찾아보기 = 189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