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8
역사적 적용에 있어서 '다민족 통일국가론'의 허실 / 정운용
Ⅰ. 머리말 = 15
Ⅱ. '민족'을 이해하는 일반적 시각 = 18
Ⅲ. 중국 학계에서 '다민족 통일국가론'의 전개 = 26
Ⅳ. '다민족 통일국가론'의 허실 = 36
Ⅴ. 맺음말 = 44
고구려 건국 문제를 통해 본 '지방정권론'의 내용과 비판 / 김미경
Ⅰ. 머...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8
역사적 적용에 있어서 '다민족 통일국가론'의 허실 / 정운용
Ⅰ. 머리말 = 15
Ⅱ. '민족'을 이해하는 일반적 시각 = 18
Ⅲ. 중국 학계에서 '다민족 통일국가론'의 전개 = 26
Ⅳ. '다민족 통일국가론'의 허실 = 36
Ⅴ. 맺음말 = 44
고구려 건국 문제를 통해 본 '지방정권론'의 내용과 비판 / 김미경
Ⅰ. 머리말 = 53
Ⅱ. 고구려 건국 문제에 대한 중국 학계의 시각 = 54
Ⅲ. 고구려의 건국과 귀속 문제 = 69
Ⅳ. 현도군의 고구려 '관할' 문제 = 86
Ⅴ. 맺음말 = 102
고구려의 경역과 중국 학계의 '지방정권론' / 김락기
Ⅰ. 머리말 = 109
Ⅱ. 고구려 경역에 대한 중국 학계의 이해 = 110
1 중국 학계의 고구려 경역 연구 동향 = 110
2 중국 학계의 고구려 경역 이해와 '지방정권론' = 120
Ⅲ. 고구려의 경역 변화를 통해 본 '지방정권론'의 문제 = 126
1 '고토론'과 고구려 경역 연결의 문제 = 126
2 '장백산문화권' 설정 문제 = 134
Ⅳ. 맺음말 = 141
'책봉'을 통해 본 고구려 '지방정권론' 비판 / 강선
Ⅰ. 머리말 = 149
Ⅱ. 책봉과 고구려 '지방정권론' = 150
Ⅲ. 고구려 책봉 사례의 분석 = 163
Ⅳ. 책봉과 고구려의 정체성 = 176
Ⅴ. 맺음말 = 185
찾아보기 = 18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