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고독한 반항자, 영원한 혁명가, 루쉰 = 5
1장 루쉰의 개성기질과 사유방식 = 19
1. 개성과 기질 = 21
2. 사유방식 = 32
2장 루쉰의 원죄의식과 참회 = 43
1. 근대 주체로서의 각성 = 48
2. 격정적 구국정서와 냉정 침묵 = 52
3. '식인(食人)' 원죄의식과 참회 = 56
3장 루쉰의 근대의식 = 61
1....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고독한 반항자, 영원한 혁명가, 루쉰 = 5
1장 루쉰의 개성기질과 사유방식 = 19
1. 개성과 기질 = 21
2. 사유방식 = 32
2장 루쉰의 원죄의식과 참회 = 43
1. 근대 주체로서의 각성 = 48
2. 격정적 구국정서와 냉정 침묵 = 52
3. '식인(食人)' 원죄의식과 참회 = 56
3장 루쉰의 근대의식 = 61
1. 현실 인식 = 64
2. '개성'의 발견 = 71
3. '정신' 가치 주목 = 76
4. '반항' 실천 중시 = 80
5. 탈근대 사유의 단초 = 87
4장 루쉰의 근대정신과 시적 은유 = 93
1. 루쉰 시와 근대성 = 95
2. 혁명과 낭만 = 101
3. 계몽과 방황 = 111
4. 죽음과 성찰 = 124
5. 통찰한 인간의 시적 성찰 = 136
5장 동아시아의 근대성과 광인 = 141
1. 상징체계로서의 광인 = 143
2. 긴장의 시대와 세 광인 = 145
3. 근대 지향과 세 광인 = 152
4. 광인 말로가 주는 의미 = 159
6장 근대정신과 반항의 문제 = 167
1. 근대의 그늘 = 169
2. 모순과 부조리의 세계 = 172
3. 회의와 부정 : 인식방법론 = 176
4. 반항 : 실천방법론 = 180
5. 소진(消盡) 철학 = 186
7장 근대주체로서의 가능성, 민중 = 189
1. 근대주체로서의 가능성, 민중 = 191
2. 루쉰과 귀신의 세계 = 193
3. 귀신과 민중 = 199
4. 복수와 부활 = 203
5. 민중은 언제 자유로울 수 있는가 = 208
8장 '5ㆍ4'를 초월한 루쉰과 여와 = 215
1. 다시 '근대'를 위한 물음 = 217
2. 5ㆍ4 계몽사조의 의의와 한계 = 219
3. 경계에 서서 경계를 넘나든 루쉰 = 224
4. 노동, 고뇌, 허무의 주체 : 루쉰과 여와 = 231
5. 5ㆍ4에 서서 5ㆍ4를 넘어선 루쉰 = 238
9장 '새로운 근대' 문화 창조자의 성격 = 243
1. '새로운 근대'를 위하여 = 245
2. 근본에서 성찰하기 = 248
3. 전통 : 서사의 근원과 상상력의 원천 = 252
4. 현실 : 변화와 역동의 원천 = 257
5. 상상력과 창조 = 263
6. 창조의 가치 지향 : 인본의식과 평민의식 = 271
10장 루쉰식 '혁명'의 현재 의미 = 279
1. 루쉰식 '혁명'에 대해 = 281
2. 말하다 : '혁명'의 첫걸음 = 286
3. 습관을 바꾸는 일 : '혁명' = 292
4. 보다, 조사하다, 연구하다 = 296
5. 광인, 아Q, 바보 : '혁명인' = 301
6. 결론 : '처음부터 새로' = 307
부록 : 루쉰의 여성해방운동 = 311
참고문헌 = 34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