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간행사 = 13
제1부 玉田古墳群에 대한 이해 = 23
Ⅰ. 옥전고분군의 조사과정과 조사성과 = 25
1. 조사과정 = 25
1) 조사의 동기 = 25
2) 조사경과 = 26
2. 조사성과 = 28
1) 조사된 遺構와 遺物 = 28
2) 옥전고분군과 다라국 = 29
3) 조사성과와 앞으로의 과제 = 40
Ⅱ. 옥전...
목차 전체
목차
간행사 = 13
제1부 玉田古墳群에 대한 이해 = 23
Ⅰ. 옥전고분군의 조사과정과 조사성과 = 25
1. 조사과정 = 25
1) 조사의 동기 = 25
2) 조사경과 = 26
2. 조사성과 = 28
1) 조사된 遺構와 遺物 = 28
2) 옥전고분군과 다라국 = 29
3) 조사성과와 앞으로의 과제 = 40
Ⅱ. 옥전고분군 墓制 = 45
1. 머리말 = 45
2. 옥전고분군의 墓制에 대한 분석 = 47
1) 木槨墓 = 45
2) 竪穴式石槨墓(도면 8, 9, 10) = 52
3) 橫口式石槨墓(도면 11-①) = 60
4) 橫穴式石槨墓(도면 11-⑥) = 62
3. 墓制의 변천과 의미 = 63
4. 소결 = 73
Ⅲ. 옥전고분군의 편년 = 75
1. 머리말 = 75
2. 墓制의 분석 = 80
3. 遺物의 분석 = 85
1) 木槨墓 = 85
2) 竪穴式石槨墓 = 103
3) 橫口式石槨墓 = 109
4) 橫穴式石槨墓 = 110
4. 分期와 編年 = 111
5. 소결 = 125
Ⅳ. 외래계 문물을 통해 본 5세기대 옥전고분군의 성격 = 127
1. 머리말 = 127
2. 자료의 검토 = 128
1) 토기 = 128
(1) 高靈系 土器 = 128
(2) 昌寧系 土器 = 129
2) 무기 = 131
3) 갑주 = 137
4) 마구 = 140
5) Roman-glass = 143
3. 외래계 유물의 해석 = 146
4. 소결 = 150
Ⅴ. 옥전고분 출토 鐵鏃에 대한 小考 = 153
1. 머리말 = 153
2. 鐵鏃의 분석 = 156
3. 유구 및 共伴遺物의 검토 = 170
4. 鐵鏃의 부장형태에서 본 M3호분 단계의 대가야연맹체 = 174
5. 소결 = 181
제2부 多羅國史 = 185
Ⅰ. 다라국의 성립 = 187
1. 머리말 = 187
2. 옥전 Ⅱ기의 유구분석 = 190
3. 옥전 Ⅱ기의 유물분석 = 194
1) 토기 = 195
2) 금속기 = 208
4. 다라국 성립의 역사적 배경 = 214
5. 소결 = 218
Ⅱ. 다라국의 발전 = 221
1. 머리말 = 221
2. 分期와 劃期 = 224
1) 유구ㆍ유물의 변화와 계층분화 = 224
2) 劃期의 설정 = 229
3. 다라국의 성립과 발전 = 239
4. 소결 = 246
Ⅲ. 다라국의 계층분화 = 249
1. 머리말 = 249
2. 유구 분석 = 251
3. 유물의 분석 = 265
4. 옥전고분군의 계층분화 = 274
5. 소결 = 287
Ⅳ. 다라국의 경제적 기반 = 291
1. 머리말 = 291
2. 철기의 생산 = 292
1) M3호분 = 292
2) M3호분 被葬者의 성격 = 298
3) 다라국의 철기생산 = 300
4) 대가야연맹체 내에서의 다라국의 철기생산 = 303
3. 구슬의 생산 = 306
4. 소결 = 311
Ⅴ. 다라국과 대가야연맹체 = 315
1. 머리말 = 315
2. 대가야의 성립과 대가야식 문물의 확립 = 316
3. 대가야식 문물의 대외확산 = 324
1) 문문확산의 전제조건 = 324
2) 확산의 유형과 의미 = 326
4. 옥전고분군의 대가야식 문물 = 337
5. 옥전고분군과 대가야연맹 = 341
참고문헌 = 345
찾아보기 = 35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