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5
Ⅰ. 들어가는 말: ‘스타’와 ‘선전 도구’사이에서 = 15
Ⅱ. 발성영화로의 이행기: ‘스타’문예봉의 탄생(1932∼1937) = 29
1. 여배우의 세대교체 = 31
⑴ “포주처럼 감독을”? = 31
⑵ 영화인 등록제와 새로운 여배우들의 등장 = 36
2. 문예봉의 데뷔 = 45
⑴ 문수일의 딸, 나운규...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5
Ⅰ. 들어가는 말: ‘스타’와 ‘선전 도구’사이에서 = 15
Ⅱ. 발성영화로의 이행기: ‘스타’문예봉의 탄생(1932∼1937) = 29
1. 여배우의 세대교체 = 31
⑴ “포주처럼 감독을”? = 31
⑵ 영화인 등록제와 새로운 여배우들의 등장 = 36
2. 문예봉의 데뷔 = 45
⑴ 문수일의 딸, 나운규의 딸 = 46
⑵ ‘삼천만의 연인’ = 54
Ⅲ.영화계의 재편기:김신재의 등장과 첫 선전 영화(1938∼1942) = 69
1. 김신재의 데뷔 = 71
⑴ ‘팔려가는 딸’에서 누이로 = 73
⑵ 최인규와 김신재 - “나의 가정은 세상에 어느 가정보다도 和樂하고” = 79
2. 조선영화령의 실시와 영화계의 변화 = 91
3. 민간 영화사의 선전 영화 = 97
⑴ 문예봉의 첫 선전 영화 = 97
⑵ 김신재, 꽃을 팔거나 “꽃”이 되거나 = 112
Ⅳ.조영(朝映)시대:선전 영화의 ‘꽃’으로(1943∼1945) = 121
1. <반도의 봄> 에 재현된 조선 영화계 = 123
2. <조선해협> 이라는 사건 = 133
⑴ “반도영화에 사례가 없는 흥행 성과” = 134
⑵ ‘스타 문예봉’과 ‘총후 부인’의 간격 = 149
⑶ 종횡무진 기요코와 김신재 = 160
3. 문예봉, 일본어의 문제 = 165
4. 김신재, 문예봉의 자리를 이어받다 = 172
Ⅴ.해방 후:연속과 변화(1946∼1999) = 187
1. 또 다른 선전 속의 문예봉 = 189
2. 다시 돌아온 누나 김신재, 온화한 어머니로 = 194
3. 한반도의 역사와 여배우, 그리고 향후의 과제들 = 19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