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1
1. 재일 동포문학의 역사와 그 연구 현황 / 이한창 = 7
1. 서론 = 7
2. 재일 동포문학의 역사 = 8
3. 동포문학 연구의 필요성 = 16
4. 동포문학 연구의 현황 = 19
5. 동포문학의 연구과제 = 23
6. 결론 = 26
2. 정연규의 삶과 문학 - 1920년대 중반까지 활동을 중심으로 / 김...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1
1. 재일 동포문학의 역사와 그 연구 현황 / 이한창 = 7
1. 서론 = 7
2. 재일 동포문학의 역사 = 8
3. 동포문학 연구의 필요성 = 16
4. 동포문학 연구의 현황 = 19
5. 동포문학의 연구과제 = 23
6. 결론 = 26
2. 정연규의 삶과 문학 - 1920년대 중반까지 활동을 중심으로 / 김태옥 = 29
1. 서론 = 29
2. 조선에서의 삶과 활동 = 31
3. 일본에서의 삶과 문학 활동 = 37
4. 결론 = 49
3. 김달수 문학의 민족적 글쓰기 / 김환기 = 51
1. 서론 = 51
2. 재일 문학과 민족 개념 = 52
3. 민족적 글쓰기의 제양상 = 57
4. '경계인'의 자의식 구현 = 69
5. 결론 = 73
4. 金達壽의 文學과 生涯 -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 추석민 = 75
1. 서론 = 75
2. 해방 전 창작활동 = 76
3. 해방 후 창작활동 = 84
4. 결론 = 102
5. 김석범(金石範) 문학을 읽는 여러 가지 시각 - 국민국가 사이의 섬인가, 자유민주주의의 바다인가? / 정대성 = 105
1. 서론 = 105
2. 한ㆍ일 두 사회에서의 〈김석범〉 읽기 = 107
3. 〈김석범〉 읽기의 문제점과 과제 = 114
4. 결론 = 120
6. 작가 김석범(金石範)의 인생역정, 작품세계, 사상과 행동 - 서론적인 소묘(素描)로서 / 정대성 = 123
1. 서론 - 〈김석범〉 낯설게 보기 = 123
2. 작가 김석범의 인생역정 = 130
3. 작가 김석범의 작품세계 = 140
4. 작가 김석범의 사상과 행동 = 157
5. 김석범 연구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과제 = 167
6. 결론 = 173
7. 第1世代 在日朝鮮人文學 硏究 - 金泰生의 作品世界 / 추석민 = 179
1. 서론 = 179
2. 離別과 渡日 = 181
3. 叔母와 죽음 = 185
4. 아버지와 民族主義 = 188
5. 〈濟州 4ㆍ3 抗爭〉과 療養所 = 193
6. 결론 = 199
8. 이회성 문학의 특징 - 시대별 특징을 중심으로 / 박정이 = 203
1. 서론 = 203
2. 70년대를 전후한 작품에 나타난 특징 = 206
3. 전환기인 80년대 = 211
4. 90년대 작품에 나타난 특징 = 213
5. 종결부에 나타난 특징 = 218
6. 결론 = 225
9. 이양지 론 - 한국에서 작품을 쓴 재일한국인 작가 / 황봉모 = 227
1. 서론 - 이양지라는 작가 = 227
2. 이양지 문학의 특징 = 228
3. 이양지 문학에 나타난 한국과 한국어 = 231
4. 결론 = 251
10. 원수일의 소설 세계 / 김정혜 = 253
1. 서론 = 253
2. 자료 소개 = 257
3. 원수일의 소설에 나타난 오사카풍 만담의 양상과 의미 = 270
4. 결론 = 281
11. 현월(玄月) 「그늘의 집(陰の棲みか)」 - 욕망과 폭력 / 황봉모 = 283
1. 서론 = 283
2. 「그늘의 집」의 집단촌 = 284
3. 욕망과 폭력 = 287
4. 결론 = 302
</vol>
<vol>2
<count>
목차
머리말 = 1
1. 분단에서 이산(離散)으로 - 「재일조선인문학」의 행로 / 가와무라 미나토(川村湊) = 7
2. 재일 시인의 시세계(1) - 해방부터 1965년까지 / 사가와 아키(佐川亞紀) = 19
1. 서론 = 19
2. 초기를 대표하는 시인ㆍ허남기 = 21
3. 재일시 확립의 시작ㆍ김시종과 동인지 활동 = 37
4. 점재된 예술파ㆍ김태중, 최현석 = 45
3. 〈재일〉문학 여성작가ㆍ시인 / 이소가이 지로(磯貝治良) = 49
1. 남성중심의 문학에서 여성작가의 대두 = 49
2. 민족의지와 병행하는 가족ㆍ나ㆍ性의 이야기 - 1970~80년대 = 56
3. 소년소녀 문학과 논픽션계 문학의 작가 = 72
4. 재일문학과 단가 - 한무부(韓武夫)를 중심으로 / 다카야나기 도시오(高柳俊男) = 85
1. 서론 = 85
2. 한무부의 성장과정 = 87
3. 한무부의 단가에 대해 = 90
4. 재일조선인 문학 속의 단가 = 94
5. 정연규의 삶과 문학 -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 / 김태옥 = 109
1. 서론 = 109
2. 1920년대 중반의 저작 활동 = 111
3. 1930년대의 저작활동 = 122
4. 결론 = 129
6. 「재일 조선인문학」과 김태생(金泰生)의 풍경 / 하야시 고지(林浩治) = 131
1. 서론 = 131
2. 고향의 풍경 = 132
3. 재일의 풍경 = 136
4. 증오스러운 교토 = 140
5. 전후의 풍경 = 142
6. 요양소의 풍경 = 144
7. 정치의 계절 = 148
8. 주목받는 재일조선인문학 = 152
9. 정주(定住)한 도시 = 154
10. 일본사회에 정주하여 연대(連帶)하다 = 157
11. 결론 = 160
7. 다치하라 마사아키(立原正秋)의 미의식과 소설적 형상 / 김정혜 = 163
1. 서론 = 163
2. 고향의 심상(心象) 풍경과 가마쿠라의 선사(禪寺) = 169
3. 조선백자와 히로인 사토코 = 177
4. 재일 코리언과 문화 = 180
5. 결론 = 182
8. 양석일의 다양한 문학세계 / 이한창 = 185
1. 서론 = 185
2. 양석일의 다양한 작품 활동 = 187
3. 양석일의 작품세계 = 190
4. 양석일 문학의 본질 = 203
5. 결론 = 207
9. 문학교육과 디아스포라 / 변화영 = 209
1. 초국가주의 시대의 민족 정체성 = 209
2.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사이에서 길 찾기 = 215
3. '타자'와 '우리'를 통해 정체성 드러내기 = 222
4. 디아스포라의 문학 교육적 함의 = 231
5. 대화의 창으로써 재일한인 소설 = 236
10. 高史明文學 硏究 - 作品을 中心으로 / 추석민 = 239
1. 서론 = 239
2. 高史明과 前期의 作品 = 240
3. 後期의 作品 = 254
4. 결론 = 258
11. 사기사와 메구무(鷺??)의 문학 세계 / 김환기 = 261
1. 서론 = 261
2. 재일성의 문학적 형상화 = 263
3. 고행으로의 회귀의식과 실존 = 269
4. 젊은이의 언어, 감각, 문학 = 276
5. 결론 = 280
12. 유미리의 작가적 지향의식 - 인터뷰를 중심으로 / 김정혜 = 283
1. 서론 = 283
2. 작품을 쓰는 동기 = 286
3. 허구와 사실과의 관계 = 287
4. 연보ㆍ작품목록ㆍ선집간행ㆍ번역 = 288
5. 작품의 특징 = 289
6. 「재일」이라는 하는 것에 대하여 = 290
7. 작품목록 = 293
8. 대표작품과의 비교검토 = 295
9. 결론 = 299
13. 기억과 서사 - 유미리의 『8월의 저편』 / 변화영 = 301
1. 기억과 정체성 = 301
2. 서사의 역사 = 306
3. 공간과 집합기억 = 312
4. 시간과 가족 = 318
5. 기억 속의 사람들 = 326
6. 디아스포라의 끝나지 않은 이야기 = 332
14. 현월(玄月)의 「나쁜 소문(惡い?)」 - 료이치(?一)의 변화과정 추적을 통한 읽기 / 황봉모 = 333
1. 서론 = 333
2. 료이치의 변화과정 추적 = 334
3. 결론 = 355
</vol>
<vol>3
<count>
목차
머리말 = 1
1. 변모와 계승 - 〈재일〉문학 60년 / 이소가이 지로(磯貝治良) = 7
1. 서론 = 7
2. 식민지체험의 극복과 정치의 계절 - 1945~1960년대 전반 = 8
3. 민족주체의 탐구에서 고양기로 - 1960년대 후반~1980년대 = 14
4. 여성작가ㆍ시인의 등장과 새로운 이야기 = 19
5. 재일조선인문학으로부터 〈재일〉문학으로 - 1990년대 이후 = 23
2. 재일시의 크레올(cleole)성을 둘러싸고 / 사가와 아키(佐川亞紀) = 33
1. 재일시의 크레올성이란 무엇인가 = 33
2. 크레올 주의를 향한 비판 = 50
3. 재일 동포문학에 나타난 부자간의 갈등과 화해 - 1, 2세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 이한창 = 55
1. 서론 = 55
2. 작품 속에 나타난 아버지의 모습 = 57
3. 아버지에 대한 갈등과 화해의 모습 = 64
4. 화해의 성공과 실패의 원인 = 72
5. 결론 = 80
4. 在日朝鮮人文學 硏究 - 第1世代 文學的 特徵과 高史明文學 / 추석민 = 83
1. 서론 = 83
2. 第1世代 文學 = 84
3. 第2世代 文學 = 91
4. 결론 = 108
5. 김달수 문학의 사상적 배경 - 「반란군(叛亂軍)」을 중심으로 / 김학동 = 111
1. 서론 - 김사량과 김달수 = 111
2. 김달수의 작가적 여정과 「반란군」 = 117
3. 「반란군」과 민족통일 이념의 형상화 = 121
4. 결론 = 131
6. 金石範의 『火山島』론 - 친일파와 공산주의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김학동 = 133
1. 서론 = 133
2. 김석범의 민족적 자각과 〈제주 4ㆍ3 사건〉의 형상화 = 135
3. 『火山島』와 정치적 이데올로기 비판 = 139
4. 『火山島』에 대한 비평적 고찰 = 148
5. 결론 = 151
7. 김학영 문학론 - 작가적 고뇌의 원질, 그로부터의 해방구 모색 / 김환기 = 153
1. 서론 = 153
2. 작가적 고뇌의 원질, 그로부터의 해방구 모색 = 155
3. 자기회복 차원의 '보편적 타자'화 작업 = 165
4. 결론 = 171
8. '재일' 작가로서의 이회성과 그의 문학세계 / 양명심 = 173
1. '재일 조선인'과 '재일문학' = 173
2. 이회성 문학의 출발 - 성장과 시대적 배경 = 177
3. '재일'의 삶과 이회성 '문학' = 186
4. 결론 = 194
9. 고백과 용서의 담론 - 이회성의 『백년 동안의 나그네』 / 변화영 = 199
1. 나그네로서의 이회성 = 199
2. 한인의 동아시아적 거점, 사할린 = 202
3. 휴머니즘의 새 얼굴, 초국가주의 = 209
4. 디아스포라의 상처 보듬기 = 217
10. 재일조선인에게 있어서의 「이문화」와 그 신체감각 - 이양지의 작품을 통해서 / 오은영 = 219
1. 서론 = 219
2. 신체를 억압하는 것: 「나비타령」 = 220
3. 「냄새」가 표상하는 것: 「해녀」 = 225
4. 분열하는 목소리ㆍ소리: 「유희」 = 233
5. 결론 = 240
11. 경험의 기록와 치유 / 변화영 = 243
1. 디아스포라와 유미리 소설 = 243
2. 경험으로써 '자기' 드러내기 = 246
3. 주변인을 통한 '자기' 응시 = 256
4. 디아스포라로서의 정체성 확인 = 265
5. 상흔과 치유의 기록 = 274
12. 일본 영주 조선계 일본명 작가의 문학에 새겨진 상흔과 극복(1) - 마츠모토 토미오(松本富生)의 경우 / 정대성 = 277
1. 서론 = 277
2. 씁쓸한 들장미의 무상관(無常觀) = 281
3. 결론 = 293
13. 재일한국인의 연애와 정체성 - 가네시로 가즈키(金城一紀)의 『GO』 / 황봉모 = 301
1. 서론 = 301
2. 사쿠라이(櫻井)라는 일본인여성 = 302
3. 재일한국인의 연애과정 = 309
4. 구세대 일본인과 신세대 일본인의 차이 = 319
5. 결론 = 32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