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韓國古代社會思想史探究

盧鏞弼 著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韓國古代社會思想史探究 / 盧鏞弼 著
개인저자노용필
발행사항서울 : 韓國史學, 2007
형태사항294 p. ; 24 cm
총서사항韓國史學硏究叢書 ;4
대등표제Study on the history ideas of the ancient societies in Korea
ISBN9788995675359
일반주기 찾아보기: p. 287-294
Abstract: p. [277]-286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수록
분류기호951.2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47432 951.2 노용필 한 c2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63 대출가능
2 1047433 951.2 노용필 한 c3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63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책머리에
제1부 고대의 교육과 사회
   제1장 고대의 교육과 인재양성
      제1절 머리말 = 18
      제2절 상고시대의 청년조직을 통한 교육 = 19
      제3절 삼국시대의 교육기관과 그 교육의 내용 = 24
      제4절 통일신라와 발해의 교육과 그 사회적 기능 = 33
      제5절 맺는 말 -고대 교육의 특징- = 46
  ...

목차 전체

책머리에
제1부 고대의 교육과 사회
   제1장 고대의 교육과 인재양성
      제1절 머리말 = 18
      제2절 상고시대의 청년조직을 통한 교육 = 19
      제3절 삼국시대의 교육기관과 그 교육의 내용 = 24
      제4절 통일신라와 발해의 교육과 그 사회적 기능 = 33
      제5절 맺는 말 -고대 교육의 특징- = 46
   제2장 고구려 왕릉 순장자의 사회적 처지 -고구려사회의 노예제설 비판의 일환으로-
      제1절 머리말 = 50
      제2절 고구려 왕을 순장자 중 수묘인의 사회적 처지에 관한 최근의 학설 = 51
      제3절 『삼국사기』소재 고구려 순장 관계기사 검토 = 56
      제4절 중국과의 비료를 중심으로 살펴본 고구려 왕릉 순장자의 사회적 지지 = 61
      제5절 맺음말 = 70
제2부 고대 사회의 발전과 통일
   제1장 백제초기 소국의 형성과 연맹의 발전 -『삼국사기』의 기록을 중심으로-
      제1절 머리말 = 76
      제2절 십제소국의 형성과 그 요인 = 78
      제3절 소국연맹기 백제의 성립과 그 정치 = 89
      제4절 주변소국정복기 백제의 성립과 그 통치조직 = 100
      제5절 맺음말 = 108
   제2장 신라의 서울지역 진출과 삼국통일
      제1절 신라의 국가적 발전과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의 성립 = 112
      제2절 지증왕ㆍ법흥왕ㆍ진흥왕 때 신라의 영토 확장 추이 = 116
      제3절 진흥왕 때의 서울지역 장악 = 120
      제4절 신라의 삼국통일과 그 민족사적 의의 = 123
제3부 고대의 사회와 사상
   제1장 보덕의 사상과 활동
      제1절 머리말 = 134
      제2절 보덕의 사상 = 136
      제3절 보덕의 신분과 그의 활동 = 144
      제4절 『보덕전』에 대한 검토 = 160
      제5절 맺는 말 = 167
   제2장 보덕의 불교수호운동과 열반사상
      제1절 머리말 = 170
      제2절 연개소문 정권의 불교 탄압과 이에 대한 보덕의 저항 = 172
      제3절 보덕의 남하와 그 제자들의 활약 = 180
      제4절 보덕의 열반사상과 그 사회적 의의 = 186
      제5절 맺는 말 = 197
   제3장 신라시대 『효경』의 수용과 그 사회적 의의
      제1절 머리말 = 202
      제2절 『효경』의 수용 = 204
      제3절 『효경』주석본의 종류와 그 내용의 특징 = 221
      제4절 골품체제하『효경』수용의 사회적 의의 = 231
      제5절 맺는 말 = 243
   제4장 신라하대 선종 사자산문의 사회적 기반
      제1절 사자산문의 사회적 기반 = 248
      제2절 사자산문의 사회적 기반의 특징 = 252
〈부록〉 서평 / 차하순 ; 이기동 ; 이현혜 ; 이수건 ; 홍승기 공저, 『한국사시대구분론』 (소화, 1995) = 259
ABSTRACT = 277
찾아보기 = 287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