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내면서 = 5
1950년대 한국 문학비평 연구 = 9
1. 서론 = 9
2. 1950년대 비평의 형성 = 43
3. 새로운 시대정신의 모색 = 95
4. 역사에의 접근과 민족문학론의 전개 = 161
5. 결론 = 217
1920년대 민족주의 문학과 민족 담론 = 241
1. 들어가는 말 = 241
2. 본론 = 244
3. 맺음말...
목차 전체
목차
책을 내면서 = 5
1950년대 한국 문학비평 연구 = 9
1. 서론 = 9
2. 1950년대 비평의 형성 = 43
3. 새로운 시대정신의 모색 = 95
4. 역사에의 접근과 민족문학론의 전개 = 161
5. 결론 = 217
1920년대 민족주의 문학과 민족 담론 = 241
1. 들어가는 말 = 241
2. 본론 = 244
3. 맺음말 = 276
1950년대 문단과 문예지 = 281
1960년대 순수ㆍ참여 논쟁의 전개과정과 그 문학사적 의미 = 297
1. 서론 = 297
2. 순수ㆍ참여 논쟁의 구체적 전개 양상 = 299
3. 맺음말 = 321
1960∼70년대 문학비평 담론 속의 '민족(주의)' 이념의 두 양상 = 325
1. 민족ㆍ민족주의의 양면성 - 역사적 허구로서의 '민족(주의)' = 325
2. 민족적 '주체'의 확립을 둘러싼 헤게모니 투쟁 = 331
3. 결론 및 남는 문제 = 363
한국근현대 평론통사 = 367
1. 근대문학론의 맹아 = 367
2. 1910년대의 문학론 = 368
3. 식민지시대 민족주의문학과 프로문학의 평론 = 369
4. 1930년대 - 억압 속에서의 다양한 문학론 = 372
5. 해방 시기의 문단과 평론 = 375
6. 전후 문단에서의 평론 = 377
7. 1960∼70년대의 비평론 = 38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