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한류의 수용과 한국어 교육 : 일본·중국 편

정혜경 연구책임 윤석임 강미옥 공동연구 김은영 김민영 안영주 [공]편집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한류의 수용과 한국어 교육 : 일본·중국 편 / 정혜경 연구책임 ; 윤석임, 강미옥 공동연구 ; 김은영, 김민영, 안영주 [공]편집
개인저자정혜경
윤석임
강미옥
김은영
김민영
안영주
발행사항서울 : 박이정, 2007
형태사항323 p. : 삽화 ; 24 cm
ISBN9788978789387
서지주기참고문헌 : p. 313-323
분류기호411.07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50433 411.07 정혜경 한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61 대출가능
2 1050434 411.07 정혜경 한 c2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61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본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목표를 갖고 진행되었다. 첫째, 한류열풍의 진원지이며 가장 그 열풍이 강하게 불고 있는 일본과 중국에서의 그 실태에 관한 상세하고도 구체적인 통계적 분석. 둘째, 한류 열풍에 의해 한국, 한국인, 한국문화, 한국어에 대한 인식과 수용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가, 그것은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 셋째, 한류 열풍과 한...

목차 전체

본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목표를 갖고 진행되었다. 첫째, 한류열풍의 진원지이며 가장 그 열풍이 강하게 불고 있는 일본과 중국에서의 그 실태에 관한 상세하고도 구체적인 통계적 분석. 둘째, 한류 열풍에 의해 한국, 한국인, 한국문화, 한국어에 대한 인식과 수용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가, 그것은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 셋째, 한류 열풍과 한국어교육 활성화는 관련이 있는가 없는가, 있다면 어떻게 이를 연관시켜 한국어교육의 확대 발전에 연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인가.

목차

목차 일부

제1장 서론 = 13
1.1 연구 목적 = 14
1.2 연구 방법 = 18
1.3 선행연구의 성과와 한계 = 21
1.4 연구 의의 = 27

제2장 해방 이후 일본의 한국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31
2.1 일본의 신문 및 잡지기사 통계로 본 한국문화의 수용 현황 = 32
2.2 일본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48
2.3 일본에서의 한국어...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 13
1.1 연구 목적 = 14
1.2 연구 방법 = 18
1.3 선행연구의 성과와 한계 = 21
1.4 연구 의의 = 27

제2장 해방 이후 일본의 한국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31
2.1 일본의 신문 및 잡지기사 통계로 본 한국문화의 수용 현황 = 32
2.2 일본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48
2.3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대중문화와의 관계 = 59

제3장 한·중 수교 이후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63
3.1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수용 = 64
3.2 중국의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반응 = 68
3.3 중국에서의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 교육 = 75
3.4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반응 및 한국어 교육에 미친 영향 = 78

제4장 일본에서 한국대중문화가 한국어 학습자에게 미친 영향 = 81
4.1 한국어 학습자의 실태조사 및 분석에 대한 개요 = 82
4.2 설문분석 = 88
4.3 설문결과로 본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 학습 관련 양상 = 155

제5장 중국에서 한국대중문화가 한국어 학습자에게 미친 영향 = 163
5.1 조사대상과 조사방법 = 164
5.2 자료처리와 분석 및 문제점 = 166
5.3 결과와 분석 = 167
5.4 중국에서의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학습 관련 양상 = 224

제6장 한국대중문화를 응용한 일본에서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방안 = 227
6.1 국내 외국인 대상의 한국어 교육과 일본의 한국어 교육 = 228
6.2 일본에 적합한 한국어 교육 = 238
6.3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교재 접목 방안 = 248

제7장 한국대중문화를 응용한 중국에서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 = 263
7.1 한국어교재와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 = 264
7.2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교재 접목 방안 = 277

제8장 결론 = 299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