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3
제1부
제1장 인종의 개념 = 17
1. 인종 개념의 태동 = 22
2. 인종의 의미 = 27
3. 종족집단과 종족성 = 33
제2장 인종주의의 개념과 양상 = 37
1. 인종주의에 대한 시각 = 41
2. 제도적 인종주의 = 45
3. 문화적 인종주의 = 48
4. 상징적 인종주의 = 5...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3
제1부
제1장 인종의 개념 = 17
1. 인종 개념의 태동 = 22
2. 인종의 의미 = 27
3. 종족집단과 종족성 = 33
제2장 인종주의의 개념과 양상 = 37
1. 인종주의에 대한 시각 = 41
2. 제도적 인종주의 = 45
3. 문화적 인종주의 = 48
4. 상징적 인종주의 = 51
제3장 인종의 의미망: 성ㆍ계급ㆍ민족과 관련하여 = 57
1. 인종과 성 = 60
2. 인종과 계급 = 70
3. 인종과 민족 = 80
제4장 근대성ㆍ인종ㆍ문학 = 91
1. 근대성에 대한 반성적 이해 = 96
2. 인종 개념의 정립 = 103
3. 문화의 제도화 = 116
제5장 미국 흑인 타자화 약사 = 127
1. 인종적 노예제도를 향하여 = 129
2. 독립혁명기: 노예제도 모순의 노정 = 137
3. 토마스 제퍼슨의 흑인관 = 140
4. 남부 플랜테이션 경제와 노예제도의 공고화 = 147
5. 과학적 인종주의 = 151
6. 노예제도를 둘러싼 남북의 대립 = 156
7. 노예해방과 재건시대 = 158
8. 짐 크로우의 시대: 실망의 세월 = 161
9. 진화론과 사회적 다위니즘 = 165
10. 북부로의 대이주 = 168
11. 산업 현장의 인종차별 = 174
12. 민권운동을 향하여 = 177
제6장 서양 회화 속의 흑인의 이미지 = 183
1. 회화적 이미지와 인종주의 = 184
2. 고대에서 르네상스 초기까지 = 191
3.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 201
4. 노예제 시대 = 213
5. 성적 타자로서 흑인 여성의 이미지 = 231
제2부
제7장 이국적 타자와의 만남: 콜럼버스ㆍ롤리ㆍ몽테뉴의 신세계 = 249
1.「콜럼버스의 편지」 = 252
2. 월터 롤리의『기아나의 발견』 = 270
3. 몽테뉴의「식인종에 관하여」 = 284
제8장 인종과 젠더:『오루노코』와『메리 로울랜스의 포로 수기』 = 295
1. 인종ㆍ젠더ㆍ식민주의 = 296
2.『오루노코』: 인종과 여성 주체성 = 299
3.『메리 로울랜스의 포로 수기』: 신의 섭리와 통문화적 개안 = 319
제9장 프런티어의 인종:『최후의 모히칸족』 = 339
1. 문학과 인종주의 = 340
2. 인디언을 보는 백인의 시각 = 346
3. 인물의 전형성: 일탈과 재확인 = 355
제10장 인종분리의 우화:『아서 고돈 핌의 이야기』 = 367
1. 포 문학의 재평가 = 368
2. 사회문화적 배경 = 373
3. 인식 기제로서의 식민주의와 그 한계 = 378
4. 포의 고딕적 상상력과 그 밑뿌리 = 385
5. 백색의 극한으로의 여정과 그 의미 = 395
제11장 눈멂과 망각:『베니토 세레노』 = 399
1. 노예제도에 대한 멜빌의 시각 = 406
2. 백인 선장 들라노의 의구심과 자기미망 = 411
3. 당대의 지배적인 흑인관 = 420
4. 인종주의와 선민의식 = 426
제12장 제국주의와 인종:『암흑의 핵심』 = 435
1. 콘라드의 아프리카 여정과 역사적 배경 = 439
2. 제국주의 비판 = 445
3. 제국주의와 인종주의 = 454
4. 콘라드의 인종주의와 그 수용의 문제 = 461
제13장 동방의 타자:『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 465
1. 한국 사회에 대한 비숍의 시각 = 469
2. 과학적 탐구와 그 이면 = 485
3. 문화상대주의적 시선과 그 함의 = 492
제14장 시장의 타자 만들기:『새파란 눈』 = 496
1. 백인과의 동일시 욕망과 그 사회적 뿌리 = 499
2. 일상문화에 스며 있는 인종주의 = 511
3. 백인 지배 사회에서 정체성 지키기 = 519
참고문헌 = 527
찾아보기 = 55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