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7
차례 = 11
Ⅰ. 자본 = 17
해설 : 장기 19세기 영국 경제와 사회 / 이영석 = 19
영국민의 생활권 : 노동인구의 이동범위 / 송병건 = 26
머리말 = 26
노동시장에 대한 접근법들 = 29
자유시장적 접근 = 29
교구 중심적 접근 = 30
열린 교구 - 닫힌 교구 접근 = 33
중간 행정...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7
차례 = 11
Ⅰ. 자본 = 17
해설 : 장기 19세기 영국 경제와 사회 / 이영석 = 19
영국민의 생활권 : 노동인구의 이동범위 / 송병건 = 26
머리말 = 26
노동시장에 대한 접근법들 = 29
자유시장적 접근 = 29
교구 중심적 접근 = 30
열린 교구 - 닫힌 교구 접근 = 33
중간 행정 단위 중심의 접근 = 35
개별 노동시장의 사례 = 39
도제 제도와 노동 이동 = 40
농업고공의 연례 이동 = 42
빈민법 대상자의 정주와 이동 = 43
맺음말 = 47
근대 영국 해운업의 발전과 전문 선주의 성장 / 김성준 = 49
머리말 = 49
선박의 공동 소유 및 그 양상 = 51
전문 선주의 대두와 성장 = 54
1) 선박 소유의 집중화 : 공동 소유에서 단독 소유로 = 54
2) 선박 운항의 전문화 = 56
3) 사례 연구 = 60
전문 선주의 경영 성과 = 64
1) 취항 항로의 다양화 = 64
2) 척당 선원 수의 감소와 직제의 단순화 = 66
3) 선박 운항의 수익성 = 69
맺음말 = 73
노동법, 노동과정, 노사관계 : 소모사법(Worsted Acts)의 제정과 시행을 중심으로, 1770∼1840년대 / 조용욱 = 75
머리말 : 노동법과 노사관계 = 75
선대제의 노동과정과 관습적 권리(customary rights) = 78
소모사법의 시행 : 소모사위원회와 소모사감독관의 활동 = 85
맺음말 = 99
산업혁명기의 기술혁신과 대외무역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김영철 = 101
1. 서론 = 101
2. 크래프츠 - 란데스 논쟁의 비판적 고찰 = 105
3. 산업혁명과 기술경제 패러다임의 전환 = 110
4. 대외무역과 장기파동의 연속성 = 115
5. 대외무역과 유럽 전파주의 = 120
6. 결론 = 125
빅토리아 시대 후기의 영국 경제와 지식인 / 이영석 = 127
1880년대의 경제 논설 = 127
경제상황의 진단과 낙관론 = 130
불황의 원인에 관한 담론 = 137
대안과 정책 = 146
'언어적 현실'과 '경제적 현실'의 거리 = 152
Ⅱ. 제국 = 155
해설 : 제국주의 / 이내주 = 157
관료제를 통해 본 영제국 통치의 메커니즘 / 박지향 = 167
식민지 담당 부서 = 167
직접통치와 간접통치 = 174
인도 문관제(Indian Civil Service) = 182
영국인 관리 = 182
원주민의 인도 문관제 진출 = 191
결어 = 198
빅토리아 후기(1870∼1903)의 대외팽창 성격 : 자유무역 제국주의론의 연속성 테제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서정훈 = 203
전통과 변화의 길목에서 : 빅토리아 후기 영국 자유당 내 '제국주의 지지세력'에 대한 연구 / 이내주 = 230
1. 머리말 = 230
2. 19세기 말 영국 자유당의 내부 상황 = 234
3. 당권 장악을 위한 제국주의 지지 세력의 활동과 좌절 = 241
4. 제국주의 지지 세력의 주장점과 그 한계 = 248
5. 맺는말 = 253
토머스 B. 머콜리와 인도 : '자유주의적 제국주의'의 일례 / 이태숙 = 256
Ⅲ. 이데올로기 = 279
해설 : 19세기 영국의 이데올로기 / 조승래 = 281
1. 머리말 = 281
2. 급진주의 = 283
3. 신자유주의 = 284
4. 사회주의 = 286
5. 맺음말 = 287
찰스 홀의 토지 균분론 / 조승래 = 289
오커너의 토지계획과 농업공동체 / 김택현 = 311
신자유주의의 태동 : T.H. 그린과 영국 자유주의의 수정 / 이내주 = 335
1. 머리말 = 335
2. 그린 정치사상의 기반 = 342
1) 산업화의 폐단과 공리주의의 한계 = 342
2) 독일 관념론의 수용과 그 범위 = 348
3. 개인과 국가의 관계 = 356
1) 개인 권리의 문제 = 356
2) 공공선에 대한 국가의 역할 = 362
4. 자유와 일반복지 = 368
1) 그린에 있어서 자유와 복지 = 368
2) 자유의 제한적 행사 = 374
5. 맺는말 = 379
영국의 신자유주의와 '레인보우 써클' / 박우룡 = 382
1. 머리말 = 382
2. 써클의 목적과 구성원 = 387
3. 구급진주의와 고전경제학 비판 = 392
4. 신자유주의 이념의 도출 = 395
1) 유기체적 사회관 = 396
2) 국가개입주의 = 401
3) 진보정당론 = 406
5. 맺음말 = 412
존 스튜어트 밀과 사회주의 / 김기순 = 414
1. 서론 = 414
2. 사회주의 이론의 검토 = 417
1) 『정치경제학 원리』 = 417
2) 『사회주의에 관한 제장』 = 424
3. 협동조합적 사회주의 = 429
1) 사회진보의 조건 = 429
2) 생산자협동조합 = 433
3) 혁명적 사회주의에 대한 경고 = 444
4. 결론 = 449
영국의 점진적 사회주의 발생의 사회적 배경 / 김명환 = 452
1. 서론 = 452
2. 위로부터의 조건 : 지배권력과 정치제도 = 457
3. 중산계급의 조건 : 사무계층의 출현 = 463
4. 아래로부터의 조건 : 노동계급의 성격 = 470
5. 전략적 차원 : 토지문제와 급진주의적 전통 = 492
6. 결론 = 50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