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제 1부 한국의 통일과 정치 ... 15
제 1장 한반도 문제에 대한 연구 ... 24
Ⅰ. 서론 ... 24
Ⅱ. 4자 회담의 대상으로서 한반도 및 북한 문제 ... 27
Ⅲ. 한반도를 둘러싼 4자 회담 ... 37
Ⅳ. 결론 ... 48
제 2장 베를린 선언의 분석과 평가 ... 52
Ⅰ. 서론 ... 52
Ⅱ. 김대중...
목차 전체
머리말 ... 5
제 1부 한국의 통일과 정치 ... 15
제 1장 한반도 문제에 대한 연구 ... 24
Ⅰ. 서론 ... 24
Ⅱ. 4자 회담의 대상으로서 한반도 및 북한 문제 ... 27
Ⅲ. 한반도를 둘러싼 4자 회담 ... 37
Ⅳ. 결론 ... 48
제 2장 베를린 선언의 분석과 평가 ... 52
Ⅰ. 서론 ... 52
Ⅱ. 김대중 정부의 대북정책 ... 58
Ⅲ. 김대중 정부의 대북정책 성과 ... 66
Ⅳ. 베를린 선언에 대한 평가 ... 68
Ⅴ. 결론 ... 77
제 3장 신동방정책과 대북포용정책 ... 82
제 4장 21세기 통일 친화적 이념에 대한 연구 ... 95
Ⅰ. 서론 ... 95
Ⅱ. 통일한국체제이념 논의에 대한 발전적 고찰 ... 97
Ⅲ. 통일 후 체제전환을 위한 이념 모색 ... 107
Ⅳ. 결론 ... 118
제 5장 중도주의와 한국정치 ... 123
Ⅰ. 서론 ... 123
Ⅱ. 중도주의란 무엇인가 ... 125
Ⅲ. 한국정치의 중도주의 ... 137
Ⅳ. 결론 ... 146
제 6장 중도 강화론 들여다보기 ... 152
Ⅰ. 중도 강화론이란 ... 152
Ⅱ. 문제제기 ... 157
Ⅲ. 왜 중도 강화론인가? ... 158
Ⅳ. 중도 강화론의 후속정책 ... 163
Ⅴ. 중도 강화론의 내부 계속성과 장외로 파생된 효과 ... 176
Ⅵ. 결론 ... 180
제 2부 독일의 통일과 정치 ... 185
제 7장 독일 문제의 어제와 오늘 ... 190
Ⅰ. 서론 ... 190
Ⅱ. 독일 문제의 개념 변천과 논의의 구성 ... 194
Ⅲ. 독일 문제와 독일의 특별한 경로 ... 197
Ⅳ. 독일 문제: 1945-1989년 ... 202
Ⅴ. 독일 문제: 1990년 이후 ... 214
Ⅵ. 결론 ... 227
제 8장 통일 후 4년: 변화 속의 변화 ... 232
제 9장 독일 국고보조금제도와 그 시사점 ... 241
Ⅰ. 서론 ... 241
Ⅱ. 독일 정당의 발전 ... 243
Ⅲ. 한국ㆍ독일의 국고보조금제도 비교 ... 247
Ⅳ. 결론 ... 256
제 10장 2005년 독일 조기총선 ... 261
Ⅰ. 서론 ... 261
Ⅱ. 조기총선의 배경 ... 264
Ⅲ. 조기총선의 결과 ... 275
Ⅳ. 결론 ... 285
제 11장 독일의 유럽통합정책 ... 289
Ⅰ. 서론 ... 289
Ⅱ. 유럽통합이론과 유럽통합이론의 확장 ... 294
Ⅲ. 유럽통합과 서독 ... 309
Ⅳ. 유럽통합과 통일독일 ... 317
Ⅴ. 결론 ... 324
제 3부 부록 ... 329
제 12장 부시 정부 이후의 남ㆍ북ㆍ미 관계: 6ㆍ15와 9ㆍ11 ... 333
Ⅰ. 서론 ... 333
Ⅱ. 본론 ... 334
Ⅲ. 결론 ... 337
제 13장 베를린 사회과학 연구센터 ... 339
Ⅰ. 격조 있는 건축 ... 339
Ⅱ. 베를린 사회과학 연구센터의 발전사 ... 340
Ⅲ. 베를린 사회과학 센터의 연구기관과 현황 ... 344
Ⅳ. 베를린 사회과학 연구센터의 조직과 홍보활동 ... 352
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354
제 14장 Eine kritishe Betrachtung der internationalen Verhandling zur Bildung des Fridens auf der koreanischen Halbinsel mit Berucksichting der deutshen Widerverininging(독일통일에 비춰 본 한반도 문제) ... 355
Ⅰ. Einleitung ... 355
Ⅱ. Die Korea-und Nord-Korea-Frage als Gegenstand internationaler Verhandlung ... 357
Ⅲ. Die multilateralen Friedensverhandlungen auf der koreanischen Halbinse ... 365
Ⅳ. Schlussfolgerung ... 37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