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녹색성장 녹색직업 녹색인재

권대봉 편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녹색성장 녹색직업 녹색인재 / 권대봉 편저
개인저자권대봉
김수원
김현수
나영선
송창용
오호영
이남철
임언
진미석
채창균
한상근
황규희
발행사항서울 : 博英社, 2009
형태사항vii, 386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총서 ;11
ISBN9788971899939
일반주기공저자: 김수원, 김현수, 나영선, 송창용, 오호영, 이남철, 임언, 진미석, 채창균, 한상근, 황규희
서지주기참고문헌: p. 375-386
서지적 각주 수록
분류기호331.702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51665 331.702 권대봉 녹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37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서장 대한민국의 녹색미래 만들기 ... 1
녹색희망 찾기 ... 3
녹색 성장을 위한 국가인재개발의 지향점 ... 5
녹색성장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국가인재개발 전략 ... 8
대한민국의 녹색미래 만들기 ... 13

Chapter1 왜 녹색직업인가? ... 15
녹색성장의 대두 ... 17
주요 선진국의 녹색성장전략 ... 25
녹색기업의 등장 ... 28...

목차 전체

서장 대한민국의 녹색미래 만들기 ... 1
녹색희망 찾기 ... 3
녹색 성장을 위한 국가인재개발의 지향점 ... 5
녹색성장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국가인재개발 전략 ... 8
대한민국의 녹색미래 만들기 ... 13

Chapter1 왜 녹색직업인가? ... 15
녹색성장의 대두 ... 17
주요 선진국의 녹색성장전략 ... 25
녹색기업의 등장 ... 28
녹색직업의 출현 ... 35
녹색직업의 규모-현황과 전망 ... 40
녹색직업의 주요 특징 ... 46
녹색직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 49

Chapter2 녹색직업의 특성은 무엇인가? ... 51
녹색경제와 직업의 녹색화 ... 53
녹색직업의 특성 ... 55
녹색직업의 요구 숙련 ... 67
녹색직업 육성을 위한 정책 ... 77

Chapter3 탄소거래 확대에 따른 관련 유망직업 ... 81
탄소거래 관련 유망직업 등장 배경 ... 83
탄소거래와 탄소시장 ... 86
탄소거래 확대와 기업경영 변화 ... 96
탄소거래 관련 서비스직종 유망직업 ... 99
인력양성과 활용방안 ... 107
정책 대응 ... 115

Chapter4 생태, 녹색관광 활성화를 통한 녹색일자리 창출 ... 117
관광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 119
생태, 녹색관광의 정의 ... 122
생태, 녹색관광의 현황과 문제점 ... 128
생태, 녹색관광의 일자리 유형과 전망 ... 133
생태, 녹색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 139

Chapter5 제조업에서의 녹색직업 ... 145
녹색경제로의 전환과 제조업 ... 147
제조업 부문의 국내외 산업환경 변화 ... 149 
녹색기술 확산과 주요 제조업의 변화 ... 153
녹색제조업과 직업세계의 변화 ... 160
자동차산업의 사례 ... 168
녹색제조업 전문인력 확보방안 ... 175

Chapter6 녹색성장을 통한 농업에서의 유망직업 ... 177
녹색성장에서의 농업 ... 179
농업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 ... 183
농업에서의 유망직업 ... 194
농업 부문에서 녹색직업 창출을 위한 정책과제 ... 207

Chapter7 녹색인재, 어떻게 키울 것인가? ... 211
녹색인재, 녹색성장의 파이프라인 ... 213
녹색성장과 녹색인재 ... 216
녹색인재, 어떻게 키울 것인가? ... 223
녹색인재를 통한 녹색성장사회 구현 ... 240

Chapter8 녹색직업능력개발로 대응하자 ... 243
녹색일자리는 숙련인력을 필요로 하는가? ... 245
녹색일자리 게이트웨이로서 직업능력개발 ...  248
외국의 녹색직업능력개발 우수사례 및 시사점 ... 253
녹색경제로의 공정한 이행과 직업능력개발 ... 265
우리나라 녹색직업능력개발 현황 및 과제 ... 268

Chapter9 녹색자격제도를 도입하자 ... 277
왜 녹색자격인가? ... 279
녹색성장을 위한 자격제도의 의의와 중요성 ... 283
녹색자격제도의 현황 ... 294
녹색성장과 자격제도의 발전방향 ... 307

Chapter10 녹색진로교육이 필요하다 ... 311
왜 녹색진로교육을 말하는가? ... 313
녹색경제체제에서의 일자리 변화 ... 316
녹색역량, 진로개발역량, 녹색진로교육 ... 321
녹색진로교욱, 어떻게 할 것인가? ... 327
녹색가치에 기초한 녹색진로교육 ... 333

Chapter11 녹색 문화운동을 전개하자 ... 337
녹색문화운동이 왜 필요한가? ... 339
녹색국가와 시민운동 ... 342
녹색문화 확산을 위한 정부의 정책추진 현황 ... 351
녹색문화운동의 추진방향 ... 357
생태적 삶으로의 전환을 위한 녹색문화운동 ... 372

참고문헌 ... 375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