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일러두기 = 3
역자 서문 = 5
들어가며 = 7
제1장 장애학을 향해 = 13
1. 장애학이란 무엇인가? = 13
2. 장애학에 의한 역사의 재검토 = 14
3. 임페어먼트와 디스어빌리티, 신체와 사회 = 16
4. 영국과 미국 장애학의 제도적 틀 = 24
5. 장애인이라는 것 = 25
6.『데프토피아』가 지니는 의미 = 28
7. 장애...
목차 전체
목차
일러두기 = 3
역자 서문 = 5
들어가며 = 7
제1장 장애학을 향해 = 13
1. 장애학이란 무엇인가? = 13
2. 장애학에 의한 역사의 재검토 = 14
3. 임페어먼트와 디스어빌리티, 신체와 사회 = 16
4. 영국과 미국 장애학의 제도적 틀 = 24
5. 장애인이라는 것 = 25
6.『데프토피아』가 지니는 의미 = 28
7. 장애학을 = 31
제2장 장애, 테크놀로지, 정체성 = 43
1. 방법을 생각하는 것과 의미를 주는 것 = 43
2. 존재 증명의 정치 = 50
3. 의미를 주는 테크놀로지로서의 감정 관리 = 57
4. 테크놀로지에 대한 장애인의 양의적 태도 = 63
5. 극복론의 현대적 버전 = 68
제3장 자기결정하는 자립 = 81
Ⅰ. 말소된 역사에 대해 = 82
Ⅱ. 무엇보다,가 아니지만, 매우, 중요한 것 = 92
제4장 '장애'와 출생전진단 = 109
1. 출생전진단이란? = 109
2. 선택적 인공임신중절 = 111
3. '유전자'의 등장에 의해 = 113
4. '본인의 불행'과 '가족의 부담' = 115
5. 부모에 의한 인권침해 = 116
6. '우생학'과의 만남 = 118
7. '치료'와 '예방'의 음지애 = 121
8. 맺으며 = 124
제5장 우생사상의 계보 = 127
1. 장애학과 우생학 = 127
2. 고대 그리스 = 130
3. 유대교와 기독교 = 136
4. '자연'이라는 개념 = 142
5. 근대적 개인(주체)의 개념 = 147
6. 우생학과 복지국가 = 151
7. 마치며 = 156
제6장 농문화와 장애, 장애인 = 161
1. '야쿠자'로서의 '농' = 162
2. 농문화의 센터 = 165
3. '난청'이라는 수화어휘로부터 본 농문화 = 170
4. 장애의 커뮤니티 = 176
제7장 농교육에 있어서의 '장애'의 구축 = 187
1. 사회적 구축물로서의 농 = 187
2. 매스 미디어에 있어 농의 구축 = 189
3. 청인 부모에 있어서의 농 = 193
4. 청인 부모와 전문가 = 195
5. 농교육이 지향하는 것 = 198
6. 구화법의 옹호 시스템 = 200
7. '놀이가 중요'하다는 수사학 = 205
8. 농교육과 수화 = 208
9. 청인에 의한 '장애'의 구축 = 214
10. '옹호 시스템'을 극복하기 위해 = 216
제8장 이형(異形)의 패러독스 = 223
1. '차이파' 장애인운동과 문화라는 주제 = 223
2. '내적인 비장애인 환상'과의 투쟁:「푸른 잔디」의 모임 = 225
3. 이화(異化)로서의 장애인 프로레슬링:「독렉스」 = 233
4. 반전하는 장애인신체:「극단 態變」 = 240
5. '차이화된 신체'에서 '차이화하는 신체'로 = 249
제9장 역사는 만들어진다 = 259
1. 여흥 등이 아니라 = 260
2. 선별 육아의 수수께끼 = 261
3. 장애아를 둘러싼 "죽이기"와 살리기 = 265
4. "ふく"와 "ふぐ" = 267
5. "손님(まろうど)"이 의미하는 것 = 269
6. 발로는 못가도 = 272
7. 정보를 지배하는 자 = 274
8. 선명한 작자의 투영 = 276
9. 역사ㆍ문학ㆍ기술자 = 279
10. 일본어ㆍ일본문의 확립자는? = 281
11. 허약한 영웅 = 283
12. 장애는 특징 = 285
제10장 장애학에서 바라본 정신장애 = 287
Ⅰ. 정신으료복지라는 권력 = 291
Ⅱ. 권력ㆍ수용주의와 정체성의 정치 = 298
Ⅲ. 장애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인가? = 304
저자 프로필 = 313
후기 = 315
찾아보기 = 32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