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 4
일러두기 = 12
머리말 = 13
제1장 아회의 의미와 표상
1. '아'와 아회의 의미 = 21
1) 회집의 용례와 기능 = 21
2) '아'의 개념 = 26
3) 고사와 아회 = 31
2. 아회의 표상 = 42
1) 풍류와 금기서화 = 42
2) 차와 전다상 = 49
...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 4
일러두기 = 12
머리말 = 13
제1장 아회의 의미와 표상
1. '아'와 아회의 의미 = 21
1) 회집의 용례와 기능 = 21
2) '아'의 개념 = 26
3) 고사와 아회 = 31
2. 아회의 표상 = 42
1) 풍류와 금기서화 = 42
2) 차와 전다상 = 49
3. 아회의 종류와 특징 = 57
제2장 아회의 연원과 형성 배경
1. 17세기 이전의 아회와 아회도 = 71
1) 고려시대 = 71
2) 조선시대 전반기 = 76
2. 문인 문화와 아회의 확산 = 85
1) 명말 문인 문화의 수용 = 85
2) 시은 생활의 유행 = 94
제3장 조선 후기 문인과 아회
1. 사대부 문인의 아회 = 103
1) 안동 김씨와 청풍계 아회 = 103
2) 강세황과 안산 아회 = 107
3) 이유수와 동원아집 = 116
4) 성대중과 아회 = 120
5) 「백사회첩」 = 124
2. 여항 문인의 아회 = 129
1) 옥계사의 아회첩 = 129
2) 「오로회첩」 = 140
제4장 조선 후기 아회도의 전개
1. 18세기 전반, 아회도의 새로운 모색 = 151
1) 실내를 부각한 아회도 = 151
2) 정원 아회도와 야외 아회도 = 163
2. 18세기 후반, 아회도의 성행과 변화 = 178
1) 전문 화사의 아회 참여와 아회도 = 178
2) 기념과 행사의 아회도 = 225
3. 19세기, 형식화 경향과 고금(古今)의 조화 = 247
1) 주학년 〈추사전별연도〉 형식의 작품 = 247
2) 유숙의 아회도 = 256
맺음말 = 268
부록
부연 자료 = 275
도판목록 = 348
참고문헌 = 355
찾아보기 = 37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