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5
머리말 = 13
1. 조선후기의 사회 변동과 국가권력 = 13
2.『심리록』의 특징과 본서의 구성 = 25
제1장 조선시대 처벌 체계와 사건의 처리 절차 = 31
1. 조선시대 사회 통제(社會統制)와 처벌 체계 = 31
1) 조선시대 사회 통제의 기구와 성격 = 31
2) 형사법(刑事法)의 특징과 처벌 ...
목차 전체
책머리에 = 5
머리말 = 13
1. 조선후기의 사회 변동과 국가권력 = 13
2.『심리록』의 특징과 본서의 구성 = 25
제1장 조선시대 처벌 체계와 사건의 처리 절차 = 31
1. 조선시대 사회 통제(社會統制)와 처벌 체계 = 31
1) 조선시대 사회 통제의 기구와 성격 = 31
2) 형사법(刑事法)의 특징과 처벌 체계 = 42
2. 사형 범죄(死刑犯罪)의 유형과 처리 절차 = 50
1) 사형 범죄의 유형 = 50
2) 사형 범죄의 처리 절차 = 64
제2장 조선후기 형사판례집과『심리록』의 성격 = 73
1. 형사판례집(刑事判例集)의 종류와『심리록』 = 73
1) 형사판례집의 종류 = 73
2)『심리록』의 편찬 과정과 체재 = 86
2.『심리록』수록 사건의 통계적 분석 = 103
1) 범죄 분석의 시각 = 103
2)『심리록』수록 범죄의 사례 분석 = 111
제3장『심리록』을 통해 본 조선후기 범죄상 = 143
1. 인명 사건(人命事件)에 나타난 사회 갈등 양상 = 143
1) 인명 사건의 유형 = 143
2) 사회적 갈등과 일탈의 양상 = 160
2. 경제 범죄와 관권 침해 및 사회풍속 범죄 = 181
1) 경제 범죄의 유형과 서울의 도시 문제 = 181
2) 관권 침해 범죄와 사회풍속 범죄의 특징 = 194
제4장 사건 판결의 특징과 사회 통제의 성격 = 207
1.『심리록』수록 사건의 판결 분석 = 207
1) 정조의 사건 심리(審理) 및 판결(判決)의 특징 = 207
2) 범죄 유형별 판결 내용과 감형의 논리 = 232
2. 정조대 형사 정책과 사회 통제의 성격 = 253
1) 공형벌권(公刑罰權)의 강화와 지배체제 정비 = 253
2) 처벌 방식의 변화 = 273
맺음말 = 285
참고문헌 = 297
부록 = 309
Abstract = 333
찾아보기 = 33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