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유라시아 지역의 국가·민족 정체성 = (The) state and national identities in Eurasia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연구사업단 엮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유라시아 지역의 국가·민족 정체성 = (The) state and national identities in Eurasia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연구사업단 엮음
개인저자Blank, Steven
Ibrahimov, Rovshan
홍석우
박정호
김성진
엄구호
김연규
김영진
김상철
강봉구
김영식
정세진
단체저자명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연구사업단
발행사항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0
형태사항583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한울아카데미 ;1223
러시아·유라시아연구총서 ;09/2
ISBN9788946052239
일반주기공저자 : 스티븐 블랭크, 홍석우, 박정호, 김성진, 엄구호, 로브샨 이브라히모프(Rovshan Ibrahimov), 김연규, 김영진, 김상철, 강봉구, 김영식, 정세진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
색인 : p.568-578
분류기호320.95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68688 320.95 유라시 한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31 대출가능
2 1068689 320.95 유라시 한 c2 보존서고B3 B341-6-6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머리말 = 5
총설 유라시아 국가의 국가정체성 개관 / 강봉구 정리 = 13
제1부 동슬라브와 인근지역의 국가ㆍ민족정체성
   제1장 러시아의 정체성과 대외정책 / 스티븐 블랭크 = 42
      1. 국가 정의하기 - 국내정책 = 50
      2. 러시아 관제 정체성의 몇몇 아이러니들 = 53
      3. 주권 민주주의 - 비자유주의적인 성격을 ...

목차 전체

머리말 = 5
총설 유라시아 국가의 국가정체성 개관 / 강봉구 정리 = 13
제1부 동슬라브와 인근지역의 국가ㆍ민족정체성
   제1장 러시아의 정체성과 대외정책 / 스티븐 블랭크 = 42
      1. 국가 정의하기 - 국내정책 = 50
      2. 러시아 관제 정체성의 몇몇 아이러니들 = 53
      3. 주권 민주주의 - 비자유주의적인 성격을 띤 러시아의 제국적 민족주의 = 61
      4. 대외정책 요소로서의 정체성 분석 = 69
      5. 러시아의 제국의 민족주의 = 88
      6. 나가는 글 = 91
   제2장 우크라이나의 국가정체성 - 구성요소와 형성과정 / 홍석우 = 99
      1. 들어가는 글 = 99
      2. 포스트 - 소비에트 정체성의 분석을 위한 틀 = 103
      3. 우크라이나 정체성의 문화적 토대 - 우크라이나인의 기본적 가치 = 104
      4. 우크라이나의 종교정체성 = 111
      5. 우크라이나의 언어정체성 = 118
      6. 우크라이나의 역사정체성 - 역사의 재해석과 새로운 역사관의 구축 = 124
      7. 우크라이나의 대외정치와 정체성 = 127
      8. 우크라이나의 국가ㆍ민족정체성 - 충돌, 타협 그리고 건설과정 = 132
      9. 나가는 글 = 145
   제3장 벨라루스의 국가건설과정과 정체성 요인 / 박정호 = 151
      1. 들어가는 글 = 151
      2. 이론적 쟁점과 분석 틀 = 154
      3. 벨라루스의 역사발전과정과 민족정체성 = 160
      4. 벨라루스 국가발전전략과 민족정체성 = 168
      5. 나가는 글 = 184
   제4장 몰도바공화국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특징 / 김성진 = 189
      1. 들어가는 글 = 189
      2. 탈사회주의체제 이행과정의 정체성 문제 = 193
      3. 정체성 형성의 구조적 요인 = 199
      4. 몰도바 정체성의 발전과정 = 210
      5. 몰도바의 정체성과 대외정책 = 220
      6. 나가는 글 = 224
제2부 코카서스 지역의 국가ㆍ민족정체성
   제5장 그루지야의 국가정체성 / 엄구호 = 232
      1. 들어가는 글 = 232
      2. 광역권-중역권 분석과 국가정체성 = 238
      3. 그루지야의 대외적 환경과 외인적 정체성 = 244
      4. 그루지야의 역사적 유산과 제도적 정체성 = 257
      5. 그루지야의 친서구적 자기정체성 = 263
      6. 나가는 글 = 269
   제6장 아르메니아의 국가 건설과 대외정체성 / 로브산 이브라히모프 ; 김연규 = 277
      1. 들어가는 글 = 277
      2. 아르메니아 민족정체성의 구성요인들 = 278
      3. 아르메니아 민족정체성과 국내정치 = 291
      4. 아르메니아 민족정체성과 외교정책 = 303
      5. 나가는 글 = 308
   제7장 아제르바이잔 정체성의 복합적 성격과 대외정책에의 함의 / 김영진 = 312
      1. 들어가는 글 = 312
      2.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개념 - 민족정체성인가, 국민정체성인가? = 316
      3. 민족정체성 형성의 역사적 배경 = 320
      4. 아제르바이잔 민족정체성의 복합적인 원천 = 325
      5. 독립 직후 PFA 정부의 실패와 정체성의 재형성 = 332
      6. 나가는 글 = 342
제3부 중앙아시아 지역의 국가ㆍ민족정체성
   제8장 카자흐스탄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특징 / 김상철 = 350
      1. 들어가는 글 = 350
      2. 카자흐스탄 국가정체성의 특징 = 352
      3. 단일 민족공동체 시기의 정체성 = 357
      4. 다민족공동체 시기의 정체성 형성과 변화 = 365
      5. 현대 카자흐스탄 국민정체성의 형성과 발전 = 379
      6. 나가는 글 = 396
   제9장 우즈베키스탄의 국가정체성 형성 - 민족국가의 발명 / 강봉구 = 399
      1. 들어가는 글 = 399
      2. 종족정체성, 민족정체성, 종족-민족정체성, 그리고 민족국가의 발명 = 401
      3. 우즈베키스탄 국가정체성의 구성요소 = 405
      4. 나가는 글 = 436
   제10장 키르기스스탄 국가정체성 형성의 특징과 대외정책 정향의 변화 / 강봉구 = 443
      1. 들어가는 글 = 443
      2. 국가ㆍ민족정체성을 보는 시각과 용어 = 445
      3. 키르기스 종족의 기원과 국가성의 역사 = 449
      4. 민족정체성의 원류 -「마나스 서사시」 = 455
      5. 언어ㆍ종교정체성 = 459
      6. 대외정치적 정체성과 대외정책의 흐름 = 471
      7. 나가는 글 = 489
   제11장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정체성 형성에 대해 / 김영식 = 497
      1. 들어가는 글 = 497
      2. 투르크메니스탄의 민족ㆍ종교적 정체석에 대해 = 499
      3. 투르크메니스탄의 정체성에 대해 = 506
      4. 나가는 글 = 526
   제12장 타지키스탄 국가정체성 형성과정과 특징 - 시민적, 종족적 민족주의와 지역주의를 중심으로 / 정세진 = 529
      1. 들어가는 글 = 529
      2. 타지키스탄 역사와 문화정체성 = 531
      3. 타지키스탄의 시민적 민족주의 = 544
      4. 타지크 국가정체성 - 민족주의와 지역주의 = 550
      5. 나가는 글 = 563
찾아보기 = 568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