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3
1장 이상심리학의 역사 / 육성필 = 13
1. 고대사회 = 15
2. 그리스 로마시대 = 16
3. 중세서양의 귀신론 = 17
4. 중세 이후의 발전 = 18
1) 경험적 접근 = 19
2) 인간으로서의 정신병자 = 19
5. 과학적 접근의 시작 = 20
6. 실험정신병리학의 태동 = 22
7. 이상행동의 측정과 관...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3
1장 이상심리학의 역사 / 육성필 = 13
1. 고대사회 = 15
2. 그리스 로마시대 = 16
3. 중세서양의 귀신론 = 17
4. 중세 이후의 발전 = 18
1) 경험적 접근 = 19
2) 인간으로서의 정신병자 = 19
5. 과학적 접근의 시작 = 20
6. 실험정신병리학의 태동 = 22
7. 이상행동의 측정과 관찰: 심리검사의 시작 = 23
8. 1950년대 이후의 발전 = 24
1) 행동주의적 접근 = 25
2) 인지행동적 접근 = 25
3) 인본주의적 접근 = 26
4) 가족체계 접근 = 26
5) 항정신성 약물치료 = 27
6) 지역사회 정신건강 운동 = 27
7) 생물심리사회적 접근 = 28
8) 통합적 접근 = 28
9. 한국에서의 이상심리학 = 29
2장 이상행동의 이론적 조망과 치료 / 박경 = 35
1. 이상행동의 생물학적 조망 = 37
2. 정신분석적 조망 = 39
1) 이상행동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의 관점 = 39
2) 정신분석적 치료 = 42
3. 행동주의적 조망 = 44
1) 이상행동에 대한 행동주의 관점 = 44
2) 행동주의 치료 = 47
4. 인본주의적 조망 = 50
1) 이상행동에 대한 인본주의 관점 = 50
2) 인본주의적 치료 = 52
5. 인지주의적 조망 = 56
1) 이상행동에 대한 인지주의 관점 = 56
2) 인지치료 = 58
6. 체계이론적 조망 = 65
1) 전체론 = 66
2) 비정상성과 하위체계 = 67
3) 다층적인 분석 내의 공통 과정 = 68
4) 이상행동과 인간발달 = 69
3장 이상심리의 진단분류 및 평가체계 / 오상우 = 75
1. 이상행동의 분류 = 77
1) 이상행동의 분류 목적 = 77
2) 범주적 진단분류와 차원적 진단분류 = 78
3) 진단분류의 변천 = 79
4) 분류체계의 신뢰도와 타당도 = 80
2. 정신장애의 분류체계: 『DSM-Ⅳ』 = 82
1) 다축평가적 접근 = 82
2) 정신장애의 유형 = 88
3. 장애인의 종류와 기준: 한국의 장애인복지법 = 95
1) 지적장애인 = 96
2) 자폐성장애인 = 96
3) 뇌병변장애인 = 97
4) 정신장애인 = 98
5) 중복된 장애의 합산 판정 = 100
4. 이상행동의 평가와 정신장애의 진단 = 100
1) 감별 진단 과정 = 100
2) 심리평가를 위한 자료 = 103
4장 아동 정신병리 / 조선미 = 109
1. 발달 정신병리 = 111
1) 발달 정신병리학 = 111
2) 다중결정론 및 발달경로 = 112
3)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113
2. 정신지체 = 114
1) 임상적 특징과 분류 = 114
2) 병인론 = 116
3) 감별 진단이 필요한 장애 = 117
4) 치료 = 118
3. 학습장애 = 118
1) 임상적 특징과 분류 = 118
2) 병인론 = 120
3) 감별 진단이 필요한 장애 = 121
4) 치료 = 121
4. 의사소통장애 = 122
1) 임상적 특징과 분류 = 122
2) 병인론 = 124
3) 감별 진단이 필요한 장애 = 124
4) 치료 = 125
5. 광범위성 발달장애 = 125
1) 임상적 특징과 분류 = 125
2) 병인론 = 128
3) 감별 진단이 필요한 장애 = 128
4) 치료 = 129
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130
1) 임상적 특징과 분류 = 130
2) 병인론 = 133
3) 감별 진단이 필요한 장애 = 134
4) 치료 = 135
7. 품행장애 = 136
1) 임상적 특징과 분류 = 136
2) 병인론 = 138
3) 감별 진단이 필요한 장애 = 139
4) 치료 = 139
5장 뇌기능 및 인지적 장애 / 정진복 = 147
1. 뇌기능 및 인지적 장애란 = 149
1) 정의와 개념 = 149
2) 뇌기능 및 인지적 장애의 DSM 체계식 접근 = 150
2. 원인 = 151
1) 뇌 질환 = 151
2) 뇌 외상 = 152
3) 신체질환 = 153
4) 뇌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 154
3. 분류 및 진단 = 155
1) 섬망 = 155
2) 치매 = 157
3) 알츠하이머형 치매 = 161
4) 혈관성 치매 = 163
5) 기억상실장애 = 164
6) 기타 뇌기능 장애 = 166
7) 기타 인지적 장애 = 169
6장 노년기 정신장애 / 이명선 = 173
1. 노년기에 대한 이해 = 175
1) 노년기의 의미와 중요성 = 175
2) 정상적인 노화 = 176
3) 성공적인 노화 = 178
2. 노년기의 인지장애 = 179
1) 치매 = 179
2) 섬망 = 191
3. 노년기의 신경증적 장애 = 193
1) 노년기 우울증 = 193
2) 불안장애 = 197
4. 노년기 정신병적 장애 = 198
1) 후기발병 정신분열병 = 199
2) 후기발병 망상장애 = 200
5. 기타 노년기 정신장애 = 201
1) 물질사용장애 = 201
2) 신체형 장애 = 202
3) 수면장애 = 203
4) 자살 = 203
5) 성기능 장애 = 204
6. 갱년기 = 205
1) 신체ㆍ생리적 증상 = 206
2) 심리적 증상 = 207
7장 정신분열병 / 고영건 ; 김진영 = 213
1. 정신분열병 진단의 역사적 배경 = 217
1) Emil Kraepelin의 조발성 치매 = 217
2) Eugen Bleuler의 정신분열병 = 218
3) Kurt Schneider의 일급 증상 = 218
2. 현대의 진단적 개념 = 219
1) 진단기준 = 219
2) 하위 유형 = 221
3) 증상 = 222
4) 유병률 = 225
5) 병식 = 226
6) 예후 = 226
3. 정신분열병의 병인론 = 228
1) 생물학적 접근 = 228
2) 심리사회적 접근 = 232
4. 정신분열병의 치료 = 235
1) 치료의 역사 = 235
2) 현대의 치료 = 236
8장 기분장애 / 서혜희 = 255
1. 임상적 특징과 하위 유형 = 257
1) 임상적 특징 = 258
2) 하위 유형 = 265
2. 병인론 = 272
1) 유전적 요인 = 272
2) 신경생화학적 요인 = 273
3) 신경생리학적 요인 = 274
4) 심리적 요인 = 274
3. 치료 = 276
1) 우울기 = 277
2) 조증기 = 278
9장 불안장애 / 김지혜 = 283
1. 범불안장애 = 288
1) 진단기준 및 임상적 특징 = 288
2) 원인과 치료 = 290
2. 공포증 = 291
1) 특정 공포증 = 292
2) 사회공포증 = 296
3) 광장공포증 = 300
3. 공황장애 = 303
1) 진단기준 및 임상적 특징 = 304
2) 원인과 치료 = 308
4. 강박장애 = 310
1) 진단기준 및 임상적 특징 = 310
2) 원인과 치료 = 313
5.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 314
1) 진단기준 및 임상적 특징 = 314
2) 원인과 치료 = 317
10장 신체형 장애 / 이경희 = 323
1. 신체화 장애 = 325
1) 신체화 장애의 증상 = 325
2) 신체화 장애의 원인 = 329
3) 신체화 장애의 치료 = 334
2. 전환장애 = 336
1) 전환장애의 증상 = 336
2) 전환장애의 원인 = 340
3) 전환장애의 치료 = 343
3. 동통장애 = 345
1) 동통장애의 증상 = 345
2) 동통장애의 원인 = 347
3) 동통장애의 치료 = 349
4. 건강염려증 = 350
1) 건강염려증의 증상 = 350
2) 건강염려증의 원인 = 352
3) 건강염려증의 치료 = 354
5. 신체변형장애 = 356
1) 신체변형장애의 증상 = 356
2) 신체변형장애의 원인 = 357
3) 신체변형장애의 치료 = 359
11장 해리성 장애 / 이은영 = 367
1. 해리성 장애의 역사와 정의 = 369
2. 해리성 장애의 종류 = 370
1) 해리성 기억상실 = 371
2) 해리성 둔주 = 374
3) 해리성 정체감 장애 = 376
4) 이인성 장애 = 382
3. 해리성 장애에 대한 이론적 접근 및 치료방법 = 384
1) 정신분석적 설명 = 385
2) 행동주의적 설명 = 387
3) 인지적 설명 = 388
4) 생물학적 설명 = 389
12장 성 장애 및 성정체감 장애 / 안귀여루 = 393
1. 성기능장애 = 395
1) 성기능장애의 유형 = 396
2) 성기능장애의 원인과 치료 = 401
2. 성도착증 = 407
1) 성도착증의 유형 = 407
2) 성도착증의 원인과 치료 = 411
3. 성정체감 장애 = 414
1) 성정체감 장애의 유형 = 414
2) 성정체감 장애의 원인과 치료 = 416
13장 섭식장애와 충동조절장애 그리고 병적 인터넷사용 / 이임순 ; 이형초 = 423
1. 섭식장애 = 425
1) 섭식장애의 분류 = 426
2) 섭식장애의 치료 = 439
2. 충동조절장애와 병적 인터넷 사용 = 440
1) 충동조절장애 = 440
2) 병적 인터넷 사용 = 452
14장 성격장애 / 이현수 = 467
1. 성격장애의 정의 = 469
2. 성격장애의 유형과 진단기준 및 양상 = 470
1) A군 성격장애 = 470
2) B군 성격장애 = 481
3) C군 성격장애 = 498
4) 기타 성격장애 = 510
찾아보기 = 51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