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부 총론
1 박태원의 문학과 고현학 / 김흥식 = 13
2 박태원의 역사소설 / 이상경 = 40
3 의사(擬似) 탈근대성과 모더니즘 / 문흥술 = 77
4 일제 말기 '사소설'의 문학사적 의미 - 김남천, 박태원, 이효석을 중심으로 / 장성규 = 96
5 1930년대 식민지와 미궁의 심상지리 - 박태원과 이효석을 중심으로 / 오현숙 = ...
목차 전체
목차
제1부 총론
1 박태원의 문학과 고현학 / 김흥식 = 13
2 박태원의 역사소설 / 이상경 = 40
3 의사(擬似) 탈근대성과 모더니즘 / 문흥술 = 77
4 일제 말기 '사소설'의 문학사적 의미 - 김남천, 박태원, 이효석을 중심으로 / 장성규 = 96
5 1930년대 식민지와 미궁의 심상지리 - 박태원과 이효석을 중심으로 / 오현숙 = 114
제2부 작품론
1 박태원의 중편소설「적멸」론 / 안미영 = 143
2 1930년대 경성과『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방민호 = 165
3 박태원의『천변풍경』과 제임스 조이스의『더블린 사람들』의 '도시' / 정하늬 = 201
4 '소문'으로 다시 쓰는 박태원의『천변풍경』론 / 손유경 = 234
5 박태원의『금은탑』, 통속극 넘어서기의 서사전략 -『우맹』과『금은탑』의 판본 비교를 중심으로 / 김미지 = 266
6 확장된 산책, 기차와 내성적 탐정소설 - 박태원의 장편소설『우맹』에 대한 연구 / 류수연 = 293
7 박태원의 1940년대 연작형 사소설의 의미 / 방민호 = 324
8 박태원의 통속소설과 시대의 '명랑성' / 박진숙 = 352
9 박태원의 역사소설을 다시 읽다 - 인물 창조를 중심으로 / 정호웅 = 381
제3부 미발표 원문 자료
해제 해방기 박태원 문학의 두 가지 갈래 / 오현숙 = 405
「고부민란」 = 417
「어린이 일기」 = 425
부록 박태원 작품 총목록 = 434
저자 약력 = 44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