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이 책을 간행하면서 = 3
나의 語文觀 / 李熙昇 = 11
國語의 槪念과 그 特性 / 金敏洙 = 21
1. 國語와 韓國語의 槪念 = 21
2. 국어의 개념과 漢字語 = 22
3. 國字의 개념과 한자 = 22
4. 南北統合과 國語, 國字 = 23
국어와 漢字語 / 姜信沆 = 25
국어의 개념 정립을 위하여 / 申昌淳 = 28
漢字의 올바른 認識을...
목차 전체
목차
이 책을 간행하면서 = 3
나의 語文觀 / 李熙昇 = 11
國語의 槪念과 그 特性 / 金敏洙 = 21
1. 國語와 韓國語의 槪念 = 21
2. 국어의 개념과 漢字語 = 22
3. 國字의 개념과 한자 = 22
4. 南北統合과 國語, 國字 = 23
국어와 漢字語 / 姜信沆 = 25
국어의 개념 정립을 위하여 / 申昌淳 = 28
漢字의 올바른 認識을 위하여 / 安秉禧 = 43
文化上의 孤兒가 되지 않기 위하여 漢字도 배워야 한다 / 金成植 = 47
1. 文化上의 孤兒 = 47
2. 漢字도 배워야 한다 = 50
外勢와 左派에 협공당한 東아시아의 한자 / 金正剛 = 54
1. 베트남의 한자 폐기와 알파벳化 = 55
2. 일본 좌파의 한자 폐기운동 = 56
3. 중국 좌파의 라틴화 포기 = 59
4. 金日成의 한자 부활 = 61
5. 중국 대륙의 방언을 통합해 온 한자 = 63
6. 일본식 또는 증국식 단어를 척결한다? = 67
한국의 한자교육 宋載소 = 71
1. 한글과 한자의 역사적 상호관계 = 71
2. 한글 전용론과 한자 혼용론 = 73
3. 한국의 한자교육 정책 = 77
4. 한자ㆍ한문 교육에 대한 관견 = 81
일본의 한자교육 - 李漢燮 = 85
1. 들어가며 = 85
2. 일본의 한자 문제 = 86
3. 한자교육의 추이 = 87
4. 각급 학교의 한자교육 = 94
5. 마치면서 = 98
북한의 한자교육 / 金敏洙 = 101
1. 남북 한자교육의 차이 = 101
2. 한자교육의 목적 = 102
3. 한자교육의 실태 = 105
4. 한자교육의 전망과 대책 = 110
한글 전용이 科學敎育을 망쳤다! / 高銀珠 = 115
1. 「정립허상」을 기호로 외는 학생들 = 115
2.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과학용어의 90.5%가 漢字語源 = 116
3. 用語 理解度를 조사해 보니… = 117
4. 輻射를 複寫로 해석 = 120
5. 문맥 속에서 찾을 수 있다지만… = 121
6. 「이런 것도 과학용어인가요」 = 124
7. 無線의 순 우리말 「민이음줄」 - 학생들은 「탯줄」로… = 125
8. 許雄 : 「모든 과학용어는 순 우리말로 고쳐야」 = 126
9. 李應百 : 「漢字만 알면 모든 전문용어를 안다」 = 129
10. 용어가 어려우면 계산도 안 된다 = 130
11. 名分이냐 實用이냐 = 132
國漢混用論의 이론적 배경 / 沈在箕 = 134
1. 서언 = 134
2. 論議의 根據 = 135
3. 文字政策의 흐름 = 136
4. 文化主義 復歸論 = 158
5. 결어 = 167
한자교육론 / 間賢植 = 171
1. 한자, 한문문화에 대한 의식 = 171
2. 한자 어문 정책의 역사와 쟁점 = 183
3. 한자교육의 필요성 문제 = 197
4. 한자 한문 교육의 방향과 전략 = 21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