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김충남 = 7
제1부 '추'의 개념 및 역사
미적 범주로서의 추 / 라영균 = 17
추의 역사 / 제여매 = 45
제2부 '추'와 문학
괴테의《파우스트》 1부에 나타난 추 - 메피스토와 마녀 그리고 그 수하들 / 김영옥 = 73
여성의 미와 추에 대한 문학적 재고 - 슈티프터와 박민규를 중심으로 / 서유정 = 97
추한 것이 아름다운...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김충남 = 7
제1부 '추'의 개념 및 역사
미적 범주로서의 추 / 라영균 = 17
추의 역사 / 제여매 = 45
제2부 '추'와 문학
괴테의《파우스트》 1부에 나타난 추 - 메피스토와 마녀 그리고 그 수하들 / 김영옥 = 73
여성의 미와 추에 대한 문학적 재고 - 슈티프터와 박민규를 중심으로 / 서유정 = 97
추한 것이 아름다운 무대 : 포스트드라마 시대의《보이체크》 / 장은수 = 123
벤의 초기 시에 나타난 죽음과 추의 문제 / 김충남 = 147
마르틴 발저의 라디오 방송극에 나타난 추 / 김종대 = 175
전략적 표현기법으로서의 추 - 하이너 뮐러의 작품에 나타난 추의 기능 / 정민영 = 199
그로테스크와 현대문학 / 최성욱 = 227
제3부 '추'와 영화
영화의 스펙터클과 추의 미학 / 김형래 = 257
표현주의 영화〈노스페라투〉에 나타난 공포의 미학 / 이주봉 = 285
필자 소개 = 31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