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부 조직행위론 입문
제1장 조직과 조직행위론 = 3
1. 조직의 성격 = 3
2. 조직유효성 = 5
2.1 조직유효성의 개념 = 5
2.2 조직유효성과 조직효율성 = 6
2.3 조직유효성 기준과 종류 = 7
2.4 조직유효성의 평가 = 10
3. 조직행위론의 범위 = 12
3.1 조직행위론의 분석수준 = 12...
목차 전체
목차
제1부 조직행위론 입문
제1장 조직과 조직행위론 = 3
1. 조직의 성격 = 3
2. 조직유효성 = 5
2.1 조직유효성의 개념 = 5
2.2 조직유효성과 조직효율성 = 6
2.3 조직유효성 기준과 종류 = 7
2.4 조직유효성의 평가 = 10
3. 조직행위론의 범위 = 12
3.1 조직행위론의 분석수준 = 12
3.2 조직행위론의 관련 학문 = 13
4. 조직행위론의 역사적 배경 = 14
4.1 전통적 경영이론 = 15
4.2 호손공장실험 = 17
4.3 인간관계론의 태동 = 20
5. 조직을 보는 현대적인 관점 = 20
5.1 개방시스템 관점 = 21
5.2 학습조직 관점 = 24
5.3 복잡성 이론 = 27
제2장 조직행위론의 연구방법 = 35
1. 이론 = 36
1.1 개념 = 36
1.2 구성개념 = 37
1.3 변수 = 38
1.4 진술과 형식 = 38
2. 연구의 과학적 방법 = 43
2.1 가설의 설정과 검증 = 44
2.2 측정수단의 신뢰성과 타당성 = 45
2.3 연구설계의 내적 타당성 = 46
2.4 연구결과의 외적 타당성 = 46
3. 연구설계의 전략 = 47
4. 조직행위 연구에서의 윤리문제 = 49
4.1 연구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대우 = 50
4.2 연구 전문직 윤리의 준수 = 51
제2부 개인행위의 수준
제3장 가치관, 태도 및 정서 = 61
1. 가치관 = 61
1.1 가치관의 정의 = 61
1.2 가치관의 중요성 = 62
1.3 가치관의 유형 = 63
1.4 가치관의 문화 = 67
2. 태도 = 70
2.1 태도의 정의 = 70
2.2 태도의 종류 = 71
2.3 태도와 행위와의 관계 = 74
2.4 인지의 부조화 = 77
2.5 태도와 가치관 = 79
2.6 직무 및 조직 관련 태도의 유형 = 79
3. 정서 = 91
3.1 정서, 감정, 무드 = 91
3.2 감정 = 92
제4장 지각, 성격 및 능력 = 103
1. 지각 = 103
1.1 지각의 과정 = 103
1.2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05
1.3 인상형성이론 = 109
1.4 귀인 이론 = 110
1.5 왜곡된 지각 = 114
2. 성격 = 120
2.1 성격구조 = 121
2.2 성격과 행동 = 122
3. 능력 = 137
3.1 적성 = 138
3.2 학습기회 = 138
3.3 조직에서의 관리자의 능력 = 139
제5장 동기부여 = 141
1. 내용이론 = 142
1.1 욕구단계이론 = 142
1.2 ERG 이론 = 148
1.3 성취ㆍ친교ㆍ권력 욕구이론 = 149
1.4 2요인이론 = 153
2. 과정이론 = 159
2.1 기대이론 = 159
2.2 형평이론 = 164
2.3 목표설정이론 = 166
2.4 인지적 평가이론 = 168
2.5 조직공정성 이론 = 168
제6장 학습과 행위변화 = 183
1. 학습 = 183
1.1 고전적 조건화 = 184
1.2 작동적 조건화 = 185
1.3 인지적 학습 = 186
1.4 관찰학습 = 187
2. 행위의 변화 = 189
2.1 강화이론 = 189
2.2 조직행위 수정 = 198
2.3 징계 = 201
제7장 스트레스 관리 = 203
1.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 203
1.1 스트레스의 정의 = 204
1.2 스트레스의 심각성 = 205
1.3 스트레스의 진행단계 = 206
2. 스트레스의 원인과 결과 = 207
2.1 스트레스원 = 207
2.2 스트레스 결과 = 210
2.3 스트레스의 조절변수 = 212
3. 스트레스 관리 = 214
3.1 개인수준의 스트레스 관리방안 = 215
3.2 조직차원의 스트레스 관리방안 = 217
제3부 집단행위의 수준
제8장 집단행위와 팀 관리 = 223
1. 집단의 본질 = 223
1.1 집단의 정의 및 분류 = 223
1.2 집단형성의 이유 = 224
1.3 집단 발전의 단계 = 225
2. 집단 구조 = 226
2.1 역할 = 226
2.2 규범 = 229
2.3 지위 = 234
2.4 집단 응집성 = 234
3. 집단의 성과 = 236
3.1 집단의 잠재적 자산과 잠재적 부채 = 236
3.2 다른 사람이 있을 때의 성과 = 239
3.3 상호 작용하는 집단에서의 성과 = 239
4. 집단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방법 = 244
4.1 팀제의 활용 = 244
4.2 집단과 팀의 차이 = 244
4.3 팀의 유형 = 245
4.4 효과적인 팀 구축 방법 = 248
제9장 의사소통 = 259
1. 의사소통의 과정 = 260
2. 의사소통의 방법 = 262
2.1 언어적 의사소통 = 262
2.2 비언어적 의사소통 = 264
3. 의사소통 네트워크 = 266
3.1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유형 = 266
3.2 의사소통 네트워크와 집단의 유효성 = 267
3.3 비공식집단의 의사소통 = 267
4. 의사소통의 장애요인 = 269
4.1 여과 = 269
4.2 선택적 지각 = 269
4.3 정서 = 270
4.4 어의상의 문제 = 270
4.5 비언어적 단서 = 270
5. 의사소통의 효과적인 관리 = 271
5.1 사후검토와 피드백의 활용 = 271
5.2 언어의 단순화 = 271
5.3 적극적인 경청 = 271
5.4 감정의 억제 = 272
5.5 죠하리 창 = 272
제10장 의사결정 = 277
1. 합리적 의사결정모형 = 277
1.1 의사결정의 단계 = 278
1.2 합리적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요인 = 280
2. 관리적 의사결정모형 = 282
2.1 최적화 대신 만족화 = 282
2.2 대안의 순차적 고려 = 282
3. 쓰레기통 모형 = 283
4. 집단의사결정의 장단점 = 286
4.1 집단의사결정의 장점 = 286
4.2 집단의사결정의 단점 = 286
5. 집단의사결정의 유형 = 287
6. 집단의사결정의 오류 = 288
6.1 집단사고 = 288
6.2 집단 극화 또는 선택 쏠림 = 290
7. 효과적인 집단의사결정기법 = 292
7.1 브레인스토밍 = 292
7.2 명목집단법 = 293
7.3 델파이법 = 294
제11장 갈등과 협상 = 301
1. 갈등에 관한 기초개념 = 301
1.1 갈등의 정의 = 301
1.2 갈등현상의 기본 모형 = 302
1.3 갈등의 조건 = 304
1.4 갈등의 기능과 역기능 = 305
1.5 갈등의 과정 = 306
2. 개인적 갈등 = 308
2.1 좌절갈등 = 308
2.2 목표갈등 = 309
2.3 역할갈등 = 311
3. 개인 간 갈등 = 312
3.1 개인 간 갈등의 성격 = 312
3.2 개인 간 갈등의 해소방안 = 314
4. 집단 간 갈등 = 318
4.1 집단 간 갈등의 성격 = 318
4.2 집단 간 갈등의 해소방안 = 320
5. 협상 = 322
5.1 협상의 성격 = 322
제12장 리더십과 신뢰 = 343
1. 리더의 영향력의 원천 = 343
1.1 보상적 권력 = 343
1.2 강압적 권력 = 344
1.3 합법적 권력 = 344
1.4 전문적 권력 = 344
1.5 준거적 권력 = 345
2. 전통적 리더십 이론 = 346
2.1 리더십에 대한 보편적 접근법 = 346
2.2 리더십에 대한 상황적합접근법 = 351
3. 최근의 리더십 이론 = 366
3.1 수직쌍 연결이론 = 366
3.2 카리스마적 리더십 = 368
3.3 변혁적 리더십 = 368
3.4 윤리적 리더십 = 369
3.5 셀프리더십 = 372
3.6 서번트 리더십 = 372
3.7 GLOBE 모형 = 373
4. 신뢰 = 382
4.1 신뢰의 의의와 특성 = 382
4.2 신뢰의 형성과정 = 383
4.3 신뢰구축의 필수적 요소 = 385
4.4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조직창출 = 386
제4부 조직 전체의 수준
제13장 조직구조와 직무설계 = 393
1. 직무설계의 개념과 의의 = 393
2. 직무설계의 대안적 방법 = 394
2.1 직무순환 = 394
2.2 직무확대 = 395
2.3 직무충실화 = 395
3. 직무특성모형 = 396
3.1 핵심직무특성 = 397
3.2 중요 심리상태 = 398
3.3 작업 및 개인적 결과 = 399
3.4 직무특성모형에서의 조절변수 = 399
3.5 핵심직무특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 400
4. 조직구조설계를 위한 고려요인 = 401
4.1 복잡성 = 401
4.2 공식화 = 404
4.3 집권화 = 405
5. 조직구조설계의 전통적 관점과 상황적합적 관점 = 406
5.1 조직구조설계의 전통적 관점 = 407
5.2 조직구조설계의 상황적합적 관점 = 409
6. 조직구조의 일반적 형태 = 412
6.1 기능별 조직구조 = 412
6.2 사업부제 조직구조 = 414
6.3 혼합형 조직구조 = 417
6.4 매트릭스 조직구조 = 418
7. 민쯔버그의 조직유형론 = 421
7.1 단순구조 = 422
7.2 기계적 관료제 = 423
7.3 전문적 관료제 = 424
7.4 사업부제 = 424
7.5 애드호크라시 = 425
제14장 조직문화 = 429
1. 조직문화란 무엇인가? = 429
1.1 조직문화의 연구배경 = 430
1.2 조직문화의 개념 = 432
1.3 조직문화의 기능 = 435
1.4 조직문화의 종류 = 437
2. 조직문화는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되는가? = 439
2.1 조직문화의 형성 = 439
2.2 조직문화의 학습과 유지 = 440
2.3 조직문화의 변화 = 446
3. 조직문화와 관련된 기타 이슈들 = 449
3.1 조직문화의 유형과 조직성과 = 449
3.2 조직문화와 합병 = 450
3.3 조직문화와 국가문화 = 452
제15장 조직변화와 학습조직 = 459
1. 조직성장과 조직변화: 조직수명주기모형 = 459
1.1 창업단계 = 460
1.2 집단공동체 단계 = 461
1.3 공식화 단계 = 462
1.4 정교화 단계 = 463
2. 조직변화의 압력요인과 저항요인 = 464
2.1 조직변화의 압력요인 = 464
2.2 조직변화의 저항요인 = 465
3. 조직변화의 접근방법과 대상 = 466
3.1 조직변화의 접근방법: 점진적 변화와 급진적 변화 = 466
3.2 조직변화의 주요 내용과 대상 = 468
4. 조직구성원에 대한 변화기법: 조직개발 = 469
4.1 조직개발의 개념 = 469
4.2 조직개발의 과정 = 470
4.3 조직개발의 기법 = 472
5.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혁신기법: 리엔지니어링 = 478
6. 학습조직과 지식창조조직으로의 변화 = 481
6.1 지식창조와 조직변화 = 481
6.2 지식의 두 가지 유형: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 = 482
6.3 지식변환의 4가지 경로 = 485
6.4 지식창조기업의 조직관리 = 489
찾아보기 = 49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