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헌법논쟁 : 민주주의 대 입헌주의

하세베 야스오, 스기타 아쓰시 [공]지음 ; 김일영, 아사바 유키 [공]옮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헌법논쟁 : 민주주의 대 입헌주의 / 하세베 야스오, 스기타 아쓰시 [공]지음 ; 김일영, 아사바 유키 [공]옮김
개인저자長谷部恭男
杉田敦
淺羽祐樹
김일영
발행사항서울 : 논형, 2010
형태사항200 p. ; 23 cm
원서명これが憲法だ!
ISBN9788963571027
분류기호342.53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76292 342.53 장곡부 헌-김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75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한국의 독자들께 / 하세베 야스오 = 5
이 책에 대하여 / 스기타 아쓰시 = 7
1장 헌법은 민주주의를 믿지 않는다 = 12
 1. 입헌주의란 무엇인가? = 12
  왜 새로운 입헌주의인가?
  공과 사를 구분한다
  천하국가에 관한 논의는 사적인 얘깃거리인가?
  가치관 대립의 첨예화
  하버마스와 롤스
  이슬람과 바티칸의 경우
 2. 민주주의는...

목차 전체

목차
한국의 독자들께 / 하세베 야스오 = 5
이 책에 대하여 / 스기타 아쓰시 = 7
1장 헌법은 민주주의를 믿지 않는다 = 12
 1. 입헌주의란 무엇인가? = 12
  왜 새로운 입헌주의인가?
  공과 사를 구분한다
  천하국가에 관한 논의는 사적인 얘깃거리인가?
  가치관 대립의 첨예화
  하버마스와 롤스
  이슬람과 바티칸의 경우
 2. 민주주의는 입헌주의와 대립하는가? = 26 
  개헌은 자주 하는 것이 더 민주적인가?
  헌법 조문에는 '원리'와 '준칙'이 있다
  헌법은 취해서 쓴 것인가?
  미국 헌정사상의 3대 변혁기
  개헌이 없으면 어딘가 부족한가?
  환경권은 규정하지 않아도 된다
  사회권은 입헌주의의 불순물인가?
  전쟁이 복지국가를 필요로 했다
  국민주권 대 국가권력
  헌법은 행위규범인가?
  칼 슈미트의 인권관
  헌법을 '관의 명령'으로 생각하는 정치인
  민주주의의 폭주를 막는다
2장 절대평화주의는 입헌주의와 양립할 수 없다 = 55
 1. 9조의 무엇이 문제인가? = 55
  절대평화주의로는 왜 안 되는가?
  개인의 자위권으로부터 생각한다
  헌법학의 주류는 '군민봉기론'
  민중이 전쟁을 원한다
  군의 정통성을 제한한다
  적이 공격해오면 도망친다
  9조는 준칙이 아니라 원리다
  헌법 해석은 '예술'이다
  법률가 공동체 내부의 합의가 깨져 있다
  9조를 전문가에게 맡기고 싶지 않다
  인도적 개입을 어떻게 할 것인가?
  9조로 세계는 평화로워지는가?
  9조는 제약으로 작동하는가?
  헌법 해석은 흔들리지 않는 편이 좋다
 2. 미일안보와 헌법의 관계 = 85
  냉전 시기 일본은 서방진영의 일원으로 싸웠다
  동맹관계는 헌법이 정한다
  헌법이 바뀌어서 전쟁이 끝나다
  헌법이 국제관계를 바꾼다?
  개헌은 체제의 선택이다
  헌법원리의 차이는 넘어설 수 있는가?
 3. 애국심과 안보 = 96
  헌법애국주의
  네이션을 차단할 수 있는가?
  다수파의 행복을 위해 배제당하는 사람들
  도와줄 의무는 없다
  국민은 모른다?
  자유보다 안전을 바라는 사람들
  작은 정부와 민주주의
  질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민주주의
3장 헌법 해석은 누구의 것인가? = 113
 수상공선제와 대통령제
 대립형인가 조정형인가?
 신생국에게 추천할 만한 일본형 의원내각제
 법원의 위헌판결이 적은 이유
 내각법제국이 방해를 한다?
 연방제 논의는 왜 활발해지지 않는가?
 이해하기 어려운 헌법재판소 대망론
4장 절대적 권리란 없다 = 128
 어디까지가 프라이버시인가?
 카메라 없는 감시 사회
 공인과 사인
 이중의 기준
 경제의 자유와 정신의 자유, 어느 쪽이 중요한가?
 헌법이 미치는 경계
 난민이 계속 들어온다면
 권리뿐이고 의무는 없다고요?
 권리는 무엇이나 주장할 수 있다는 뜻이 아니다
 헌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
5장 모든 헌법은 '강요된 헌법'이다 = 159
 헌법은 국가라는 법인의 정관
 헌법은 사회계약이 아니다
 헌법은 '조정 문제'의 해법이다
 '인류보편의 원리'인가?
 미국도 프랑스도 '강요된 헌법'?
 어린이에게는 가르칠 수 없는 이야기?
 누구에게서 강요당한 것인가?
 대일본제국 헌법은 조정 기능에 문제가 있었다
 헌법제국주의
6장 지금 헌법을 바꾸는 것은 무의미하다 = 181 
 국민투표법안의 문제점
 개정인가 신헌법의 제정인가?
 헌법전 물신주의
 위안을 위한 개헌?
역자 해제. 헌법 논쟁의 지평 = 195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