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내면서 = 4
1장 끝나지 않은 수난 = 13
1. 충무공 이순신의 위토 및 유물 수난기 = 15
1) 일제의 충무공 이순신에 대한 왜곡 = 17
2) 충무공 종가의 퇴락 = 24
3) 동아일보 드디어 분기하다 = 27
4) 이충무공유적보존회의 발족 = 38
5) 현충사 중건 = 43
6) 일제의 음모 = 50
7) 충...
목차 전체
목차
책을 내면서 = 4
1장 끝나지 않은 수난 = 13
1. 충무공 이순신의 위토 및 유물 수난기 = 15
1) 일제의 충무공 이순신에 대한 왜곡 = 17
2) 충무공 종가의 퇴락 = 24
3) 동아일보 드디어 분기하다 = 27
4) 이충무공유적보존회의 발족 = 38
5) 현충사 중건 = 43
6) 일제의 음모 = 50
7) 충무공『난중일기』도난 사건 = 54
8) 또 다시 경매에 붙여진 충무공의 유허 = 58
2. 경주 서봉총의 발굴과 수난 = 59
3. 경주 문화재 발굴 보존의 선구자 석당 최남주 = 75
1) 박물관에 입사하기 전의 최남주 = 75
2) 경주박물관에서의 활동 = 79
3) 최남주에 대한 해방 전 일본인의 기록 = 82
4) 누락되거나 해방 후 알려진 것 = 86
5) 왜곡시킨 예 = 91
6) 몽양과의 만남 = 108
7) 해방 후 박물관 인수에서 제외 = 110
8) 인재 활용의 아쉬움 = 114
4. 부여신궁 조영과 부여 유적지 파괴 = 117
1) 내선일체의 강요 = 117
2) 부여신궁 계획과 조영 = 124
3) 신공 조영 근로봉사 = 133
4) 신궁 조영으로 인한 백제유적 파괴 = 140
5. 일제의 의병토벌에 따른 한국 사찰의 피해 = 148
1) 의병토벌의 잔악상 = 148
2) 한국 사찰의 피해 = 152
3) 석조물의 반출 = 155
4) 상원사종의 행방 = 156
5) 사라사철불(?那那鐵佛) = 160
6. 유점사 53불의 수난 = 162
7. 문화재와 속설 = 174
2장 해방 직후 혼란기의 문화재 = 181
1. 광분한 일본인 = 183
2. 위기일발의『일본공사관기록』 = 188
3. 다시 찾은『우리말광』원고 = 190
4. 해방 직후 일본인의 송환과 민간 소장의 고미술품 = 196
1) '일본인세화회' 발족과 미군 진주 전의 일본인 송환 = 196
2) 미군 진주 후의 일본인 송환 = 204
3) 일본의 패망을 알고 해방 직전에 떠난 수장가 = 211
4) 해방 직후의 문화재 반출 = 214
5) 철수를 미루다가 문화재를 두고 간 자들 = 218
6) 일본 민간인 소장 문화재 접수 현황 = 225
7) 해방 후 접수 미술품 = 228
5. 박물관을 비롯한 각 기관의 문화재 접수 = 237
1) 해방 직후의 국내 사정 = 237
2) 해방 직전의 박물관 상황 = 241
3) 무사히 접수한 박물관 = 245
4) 지방 분관 및 기타 기관의 문화재 접수 = 260
5) 개성박물관 유물 이송 = 273
6. 대일 문화재 반환 요구 = 278
7. 경복궁 내의 미군간이병사 건설 = 287
3장 한국전쟁중의 문화재 수호 = 295
1. 목숨 걸고 지킨 문화재 = 297
1) 정부의 태도 = 297
2) 북한군 점령하에 들어간 국립중앙박물관 = 302
3) 위기일발의 간송미술관 = 309
4) 국사편찬위원회 = 313
2. 문화재 소개 작전 = 322
1) 국립중앙박물관 유물 소개 = 322
2) 기타 기관의 문화재 소개 = 332
3) 금덩어리와 함께 미국으로 소개한 미술품 = 343
3. 미국으로의 미술품 소개계획 = 351
4. 부산 피난시대와 환도 = 356
4장 해방 이후의 문화재 관련 사건 = 361
1.『조선왕조실록』등 장서각 도서 분실 사건 = 363
1) 해방 전까지의 장서각 관리 = 363
2)『조선왕조실록』1차 도난 사건 = 366
3)『조선왕조실록』2차 도난 사건 = 368
4) 북으로 이송된『조선왕조실록』 = 375
5) 6ㆍ25혼란기의 장서각 도서 분실 사건 = 379
6) 용두산 화재 때 불타버린 어진 = 385
2. 화엄사 화엄경석(華嚴經石: 보물 제1040호)의 산일과 사찰 수호 = 386
3. 소실된 희방사 불경언해관『월인석보』 = 396
4. 송광사 유물의 수난 = 402
1) 제14연대 여순발란 사건 발생 = 403
2) 목조삼존불감의 위기 = 405
3) 화마로부터 구출한 국사전과 그 외 전각들 = 408
4) 유물 도난 사건 = 411
5. 소실된 안심사와 불경언해판 = 413
6. 소위 금부처 사건 = 419
7. 석가탑 도굴 사건 = 428
1) 석가탑 파손의 논란 = 428
2) 국보 도굴단 일망타진 = 433
3) 압수한 도굴품 = 438
4) 석가탑 해체 복원 공사 = 440
5) 석가탑 도굴을 통해 본 당시 문화재 보존의 소홀 = 444
8. 신라 最古의 금관 도굴 사건 = 450
9. 모조금관 사건 = 456
10. 일본으로 발출되었다가 찾아온 윤두서의〈미인도〉 = 461
11. 일본서 강탈해 반입했다가 되돌려준 골동품 = 465
1) 범행동기 = 467
2) 국내 반응 = 468
3) 결말 = 472
참고문헌 = 475
찾아보기 = 49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