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저자의 말 = ⅳ
제1편 시베리아에서 부는 볼셰비즘의 열풍(烈風)(上)
제1장 10월혁명(革命)과 조선인(한인)들의 초기 공산주의운동 = 3
제1절 시베리아 이주 조선인들 = 3
제2절 러시아의 내전(內戰)에서 = 12
제2장 두 개의 "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 출현 : '상해파(上海派)'와 이르꾸츠끄'파(派)의 각축 = 24
제1절 "...
목차 전체
목차
저자의 말 = ⅳ
제1편 시베리아에서 부는 볼셰비즘의 열풍(烈風)(上)
제1장 10월혁명(革命)과 조선인(한인)들의 초기 공산주의운동 = 3
제1절 시베리아 이주 조선인들 = 3
제2절 러시아의 내전(內戰)에서 = 12
제2장 두 개의 "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 출현 : '상해파(上海派)'와 이르꾸츠끄'파(派)의 각축 = 24
제1절 "한인사회당(韓人社會黨)"의 창립 = 24
제2절 양파(兩派)의 정체성(正體性) 차이 = 29
제3절 '흑하사변(黑河事變)'의 참극(慘劇) = 34
제3장 민족자결권(民族自決權)의 호소와 그 결말 - 소비에트정권(政權)의 실제 정책(政策)의 대표적 예 등 = 40
제1절 처절한 비극 - 우끄라이나 민족주의(民族主義) = 40
제2절 짜리 제국(帝國)에서 "붉은 제국"(帝國)으로 = 47
제4장 맑스-레닌주의 민족이론 = 56
제1절 원천(源泉) : 맑스와 엥겔스 = 56
제2절 "역사적 민족(歷史的 民族)"과 "역사 없는 민족" = 62
제3절 레닌-스탈린적(的) 전략(戰略) = 67
제2편 시베리아에서 부는 볼셰비즘의 열풍(烈風)(下)
제1장 "분리(分離)의 자유"냐 "분리반대(分離反對)의 자유"냐 = 79
제1절 궤변화(詭辯化)한 민족자결권(民族自決權) = 79
제2절 유혈(流血)적 통합에서 허무한 해체(解體)로 = 85
제2장 조선공상단(朝鮮共産黨)의 서막(序幕) = 92
제1절 코민테른의 공작(工作) = 92
제2절 이데올로기의 메카(Mecca) - 도쿄(東京) = 100
제3절 국내의 사회주의 써클운동 = 106
제3장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의 결성(結成)과 투쟁(鬪爭) = 113
제1절 청소(靑少)한 투사(鬪士)들 = 113
제2절 '조선공산당의 허망한 종말(終末)' = 118
제3편 만주(滿洲) : 혁명운동의 책원지(策源地)(上)
제1장 열강(列强)의 중국 - 조선 침략 = 127
제1절 청국(淸國) - 조선의 반(半)식민지화 방식(1) = 127
제2절 청국(淸國) - 조선의 반(半)식민지화 방식(2) = 135
제3절 '청-일(淸日)전쟁' : 대제국(大帝國)의 피날레 = 142
제2장 "3국간섭(三國干涉)" 이후의 만주와 조선 = 148
제1절 일본의 한-만(韓滿) 분할책동 = 148
제2절 러-일(日) 전쟁과 한(韓)-중(中)-몽(蒙)의 운명 = 154
제3절 '신해혁명(辛亥革命)'의 굴절(屈折) = 159
제3장 재만(在滿) 조선인 민족주의자들의 항전(抗戰) = 166
제1절 독립운동의 국외(國外) 근거지 건설 = 166
제2절 급증하는 이주민(移住民) 사태(沙汰) = 172
제4장 3ㆍ1운동 이후의 항일 무력투쟁(武力鬪爭) = 179
제1절 청산리대첩(靑山里大捷)과 훈춘(琿春) 참극 = 179
제2절 부활하는 불사조(不死鳥) = 185
제5장 민족주의와 공산주의의 착종(錯綜) = 193
제1절 '조선공산당'의 만주 진출 = 193
제2절 조공(朝共) 3파와 '민족유일당(民族唯一黨)'의 전술 = 198
제6장 항일(抗日) 통일전선의 시도와 분열 = 205
제1절 사상투쟁에서 유혈참변으로 = 205
제2절 "1국1당(一國一黨)" 방침하의 동요 = 210
제3절 '중국공산당'의 전술 = 215
제4편 만주(滿洲) : 혁명운동의 책원지(策源地)(下)
제1장 '만주사변(滿洲事變)'의 전야(前夜) = 221
제1절 '중공당(中共黨)'의 조공3파(朝共三派) 흡수 = 221
제2절 '중공만주성위(中共滿洲省委)'의 조직과 활동 = 226
제2장 '만주사변'의 발발과 항일(抗日)유격전 = 233
제1절 유조호(柳條湖)의 포성(砲聲) = 233
제2절 '중공당'의 전략 : "항일전쟁을 '국민당' 타도에로" = 241
제3장 "항일의용군(抗日義勇軍)"의 궐기와 성쇠(盛衰) = 250
제1절 중국 민족주의자들의 항전(抗戰) = 250
제2절 이들에 대한 중공의 당략적(黨略的) 평가 = 257
제4장 중공 유격대의 조직과 공작 활동 = 264
제1절 '중공만주성위'의 혼미(混迷)와 전의(戰意) 상실 = 264
제2절 10대 소년 김일성의 만주 유전(流轉) 생활 = 267
제3절 김일성의 사칭(詐稱) : '조선혁명군' - 역사의 허구화(虛構化) 계보의 시작 = 271
제5장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 그 실화(實話)와 신화(神話) = 276
제1절 '중공당' 산하 '항일유격대' 가담 = 276
제2절 '조선인민혁명군'의 조작 = 282
제3절 김일성, 시베리아로 퇴각 - 소련극동군 휘하 '88특별여단'의 대대장으로 훈련 = 288
제4절 재만한인조국광복회(在滿韓人祖國光復會)의 진실은 = 295
제5편 해방된 북한(北韓) 소비에트화(化)로 폭주(暴走)
제1장 붉은 군대의 북조선(北朝鮮) 진주(進駐) = 309
제1절 카이로(Cairo)에서 얄타(Yalta)까지 = 309
제2절 북위(北緯) 38도선 : 군사적 편의주의(便宜主義)의 결과 = 318
제2장 소련 '붉은 군대(軍隊)'의 역할 = 324
제1절 조선의 "해방선언" = 324
제2절 위성국화(衛星國化)의 서곡(序曲) = 331
제3장 스탈린의 북조선 정치설계도(政治設計圖)(1) = 339
제1절 기본 목표 : 북한에 단독정부(單獨政府)수립 = 339
제2절 인민위원회(人民委員會)의 조직과 실태 = 345
제3절 영도자(領導者)의 선발과 육성 - 김일성(金日成)의 등장 = 351
제4장 스탈린의 북조선 정치설계도(政治設計圖)(2) = 357
제1절 레닌주의 당(黨)의 조직을 준비 = 357
제2절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 북조선분국(北朝鮮分局)"의 설치 = 363
제5장 스탈린의 북조선 정치설계도(政治設計圖)(3) = 370
제1절 연립정부의 구성(構成)과 그 단계적 변천 = 370
제2절 평양(平壤)의 운명 = 377
제3절 "일체적 연합(一體的聯合)" : 공산당의 일원적(一元的) 지배체제로 = 384
제6장 승리의 비결 : 통일전선 전술(統一戰線戰術)의 활용 = 391
제1절 해방 직후의 도식(圖式) = 391
제2절 회유와 협박의 양면성(兩面凌) = 396
제6편 민주주의냐 독재(獨裁)냐의 노선투쟁
제1장 민주주의 이념(民主主義理念)의 변천 = 405
제1절 사회주의의 선구자들 = 405
제2절 레닌주의의 등장 = 411
제2장 맑스-레닌주의에서의 민주주의 개념 = 417
제1절 "민주주의"의 유형(類型)들 = 417
제2절 레닌의 "부르죠아 민주주의" 혁명전술(革命戰術) = 425
제3장 "부르죠아 민주주의"냐 "프롤레타리아트의 독재"냐 = 433
제1절 민주주의의 계급적 본질 = 433
제2절 레닌의 프롤레타리아트 독재관(獨裁觀) = 439
제4장 당(黨)의 재건(再建)을 둘러싼 노선 투쟁 = 447
제1절 수도(首都) 서울의 양상 = 447
제2절 투쟁의 서막 : "재건파(再建派)"와 "장안파(長安派)"의 대결 = 454
제5장 평양의 양상(樣相) : '북조선 분국'의 설치를 둘러싼 투쟁 = 463
제1절 박헌영파(朴憲永派)의 잠정적 승리 = 463
제2절 김일성(金日成)파(派)의 개가(凱歌) - 1인 지배의 길로 = 469
제6장 "북조선 민주기지"(民主基地)의 창설(創設) = 476
제1절 "민주기지"란 무엇인가? = 476
제7장 북한에서의 "민주주의"의 실천 과정 = 485
제1절 제1단계 : 부르죠아[반제-반봉건적] 민주주의 혁명의 완수 = 485
제2절 김일성의 '20개조 정강' : '민주기지' 이념에서 정책으로 = 493
제3절 제2단계 : "사회주의적 민주주의"의 실시 = 499
제4절 "한국민족민주주의 전선" : 남조선사회의 "자유화"와 "민주화"를 위한 투쟁 = 504
제8장 결론 : 현실적 상황 = 507
제7편 대남 인민민주주의 혁명투쟁 - "자주적 평화통일"의 길로
제1장 "북조선 민주기지"의 창설 전략 = 515
제1절 "민주기지"란 무엇인가? = 515
제2절 근거 있던 김일성의 확신과 좌절 = 521
제2장 6ㆍ25 이후의 "남조선 혁명" 노선 = 527
제1절 민주기지 전략의 부활과 "혁명적 낙관주의" = 527
제2절 좌절된 구상 = 533
제3장 남조선 혁명전략의 틀 = 540
제1절 통일은 "자주적"으로 = 540
제2절 혁명계급과 혁명의 이데올로기 = 548
제4장 혁명의 승리를 위하여 = 556
제1절 계급혁명의 준비 = 556
제2절 미완성의 꿈 = 562
제5장 "평화통일 선전"의 만개(滿開) - 4ㆍ19에서 5ㆍ16까지 = 568
제1절 4ㆍ19 이후의 남한사회의 혼란상 = 568
제2절 "제2공화국"에 대한 북의 파상공세 = 574
제6장 5ㆍ16 군사혁명 이후의 남-북 정치공방전 = 580
제1절 남-북간의 사상 공방전 = 580
제2절 한-일 회담과 베트남 파병 = 587
제7장 남-북대화 속의 "남조선해방" 전략 = 594
제1절 동상이몽(同床異夢)의 적십자회담 = 594
제2절 남-북조절위원회 : 화해 아닌 냉전의 격돌장(激突場) = 603
제8편 반제(反帝) 반(反)봉건적 민주개혁
제1장 "민주개혁"의 기본방향 = 615
제1절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의 수립 = 615
제2절 '20개조 정강'의 발표 :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의 기본노선 = 620
제2장 계급투쟁으로써의 토지개혁(土地改革) = 628
제1절 토지개혁의 실태 = 628
제2절 토지개혁의 난맥상과 정치적 목표 = 636
제3장 '노동법령'(勞動法令)의 시행 = 647
제1절 '법령'의 본질과 '건국사상 총동원운동' = 647
제2절 '남녀평등권'(男女平等權)에 대한 법령 = 656
제4장 중요산업의 국유화(國有化) - "사회주의"로 가는 길 = 663
제1절 목적 : "부강한 자주독립 국가의 기초" 건설 = 663
제2절 "필요"했던 은폐전술(隱蔽戰術) = 669
제5장 전승국(戰勝國)의 횡포 = 677
제1절 스탈린의 물자 및 시설의 반출(搬出) = 677
제2절 동(東)유럽에서의 식민지적(植民地的) 약탈 = 683
제3절 "쏘련의 후원(後援)에 뜨거운 감사"를 = 687
제6장 개인기업의 창발력(創發力) 발휘에 대한 결정서(決定書) = 694
제1절 사기업(私企業)의 과도적 이용가치 = 694
제2절 그 후의 사태 - 사기업(私企業)의 전멸 = 702
제7장 역사상의 "첫 민주선거" = 710
제1절 단일후보와 흑백함 투표 강요에 대한 저항 = 710
제2절 사이비(似而非) "민주정권 하의 사회주의적 개조" = 715
</vol>
<vol>하
<count>
목차
저자의 말 = ⅳ
제9편 국제공산주의에서의 인민민주주의
제1장 인민민주주의의 전기(前期) 이론 = 721
제1절 "특수한 형태"의 민주주의 = 721
제2절 "프롤레타리아트의 독재"로 가는 길 = 729
제2장 인민민주주의의 후기(後期) 이론 = 736
제1절 "프롤레타리아트의 독재" 선언 = 736
제2절 소련의 경험을 모델로 = 742
제3절 흐루시초프-브레즈네프 시대의 공산권 내 동요 = 749
제4절 국제적 격동 속에서 공식화(公式化)된 북한의 인민민주주의 이론 = 755
제3장 모택동의 신민주주의론 = 761
제1절 "새로운" 부르죠아 민주주의 혁명 = 761
제2절 '민족자본가 계급'의 "2중성"과 "이용" 가치 = 767
제4장 인민민주주의를 둘러싼 중-소의 대립 = 774
제1절 '모택동사상'에 대한 스탈린의 견제 = 774
제2절 사회주의적 개조의 방법 : 설득이냐 강제냐 = 781
제3절 "사회주의에로의 이행(移行)" 시기의 통일전선 문제 = 788
제4절 긴장, 타협, 대립의 교착(交錯) = 798
제5장 북한에 미친 중-소 논쟁의 여파 = 808
제1절 "프롤레타리아트의 독재"론에 대한 입장 = 808
제2절 "사회주의적 개조"와 통일전선의 전술 = 813
제3절 사활(死活)을 건 "반당 종파 분자들"과의 투쟁 = 818
제4절 "사회주의 건설" 노선의 선언 = 822
제10편 중-소의 대립(對立)과 북한의 곡예(曲藝)
들어가는 말 : 중-소 논쟁의 발단과 결말 = 831
제1장 대전 후의 중-소 밀월(蜜月) = 836
제1절 "소련을 배우자!" = 836
제2절 중-소 동맹의 안팎 = 840
제2장 중-소 대립의 저류(底流) = 845
제1절 스탈린의 모택동 불신(不信) = 845
제2절 코민테른의 실패 = 849
제3장 중-소 논쟁의 전개(展開) = 853
제1절 흐루시초프의 스탈린 비판이 몰고 온 파란 = 853
제2절 중-소의 혁명전략 상의 대립 = 857
제4장 북한의 대(對) 중-소 관계에서의 특수성(特殊性) = 862
제1절 한반도의 전략상의 위치 = 862
제2절 중-소의 북한 공산주의에 대한 기여(寄與) = 864
제5장 중-소 환경 속의 북한 = 868
제1절 한국전쟁 개입 후의 중공의 영향 = 868
제2절 휴전 후 중-소의 원조 경쟁 = 870
제3절 스탈린 격하(格下) 운동과 김일성정권의 위기 = 874
제6장 중-소 분쟁이 북한에 준 충격 = 879
제1절 자주노선(自主路線)의 모색 = 879
제2절 김일성의 양다리 걸치기 외교 = 882
제7장 중-소의 파경(破鏡)과 북한 = 888
제1절 소련의 대중(對中) 원자탄 기술제공 거부 = 888
제2절 김일성의 고뇌(苦惱) = 891
제3절 소련공산당 제22차 대회 = 894
제8장 김일성의 친(親) 북경으로의 급선회(急旋回) = 898
제1절 기점(起点) : 중-인(中-印) 국경분쟁과 쿠바 위기 = 898
제2절 소련의 대(對)북한 원조내막 폭로(暴露) = 903
제9장 후루시쵸프의 실각 이후의 정세변화 = 907
제1절 소련공산당 새 지도부의 대북 접근 = 907
제2절 중국 대륙: "문화대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 910
제10장 결론 : 주체사상의 본성(本性) = 916
제11편 북한에서의 개인숭배(個人崇拜)
제1장 개인숭배란 무엇인가? = 923
제1절 "수령 없는" 독재체제의 출범 = 923
제2절 원형(原型) : 스탈린 개인숭배 공격 - 흐루시초프의 "비밀연설" = 929
제3절 모택동(毛澤東) 개인숭배의 비판 - 등소평의 "역사결의" 방식 = 934
제2장 개인숭배 공방(攻防)속의 소용돌이 - 모스크바와 북경(北京)의 대 숙청극 = 941
제1절 해빙과 결빙 = 941
제3장 평양의 우상화(偶像化) 선풍(旋風) : 그 목표ㆍ구도(構圖)ㆍ전술 = 950
제1절 모스크바 방식을 추종 = 950
제2절 이데올로기의 위치 설정 = 955
제3절 우상화의 상승과 확대 = 960
제4장 계속 부는 평양의 우상화 선풍 = 967
제1절 스탈린의 "괴뢰"에서 "민족의 태양"으로 = 967
제2절 대(大) 숙청과 지도자의 신격화(神格化) = 972
제3절 권력에 만취(滿醉) = 978
제5장 장년기의 "수령"에 대한 신격화(神格化) = 983
제1절 인민민주주의의 "세계적 선구자(先驅者)" = 983
제2절 "사회주의 대건설"과 전체주의 폭주(暴走) = 987
제6장 개인숭배의 세습화(世襲化) = 994
제1절 출생의 수수께끼 = 994
제2절 김정일 우상화의 취약성(脆弱性) = 1000
맺는 말 : 강성대국(强盛大國) - 군사적 강국 건설 = 1005
제12편 '자주적' 대외정책의 노선(上)
들어가는 말 = 1011
제1장 "3대혁명"이란 무엇인가 = 1014
제1절 김일성의 정의(定義) = 1014
제2절 확대되는 "혁명"의 개념 = 1018
제2장 '사회주의 혁명'과 '사회주의 건설' = 1021
제1절 "계속혁명"론의 논리 = 1021
제2절 모택동의 신기축(新機軸) - "사회주의의 총 노선" = 1023
제3절 '대약진' 운동의 질풍 속에서 = 1026
제3장 '대약진운동'과 '천리마운동'의 공통특징 = 1030
제1절 강제된 정신주의 = 1030
제2절 "정치선행"과 "군중노선"에 의한 총동원체제 = 1035
제3절 "기술 신비주의"에 대한 공격 = 1038
제4장 김일성의 "공산주의"관 = 1042
제1절 "두개의 요새"론 = 1042
제2절 공산주의로 가는 지름길 - '인민공사'의 이상과 환상 = 1044
제3절 스탈린과 모택동 사이에서 = 1047
제5장 '3대혁명소조(三大革命小組)'의 발기(發起) = 1051
제1절 "소조"의 은밀한 조직 = 1051
제2절 확장하는 조직망 = 1054
제3절 간부정책(幹部政策)의 딜레마 = 1057
제6장 '3대혁명소조'에 대한 평가 = 1059
제1절 '위로부터의' 비판 = 1059
제2절 드러난 북한농촌의 빈곤상 = 1061
제3절 다그치는 "속도전"(速度戰) - 마지막 탈출구 = 1064
제4절 맺는 말 : '3대혁명 소조운동'이 남겨 놓은 것 = 1066
제13편 '자주적' 대외정책의 노선(下)
제1장 해소되지 않은 한반도의 냉전 - 전사(前史)의 간략한 회고 = 1071
제1절 세계는 변하고 있는데 = 1071
제2절 절정을 달리는 북한의 대남 테러리즘과 정치공세 = 1075
제3절 대남정책의 2중 구조 = 1077
제2장 '자주적 대외정책' 노선의 원점(原點) : '주체사상' = 1082
제1절 '주체사상'의 정의(定義)와 위상 = 1082
제2절 위성국에서 '자주노선'의 선언으로 = 1086
제3절 '자주노선'의 이념설정 = 1092
제3장 대외정책의 기본원칙 = 1097
제1절 출발점 : "조선혁명의 이익" = 1097
제2절 목표 : '남조선혁명'과 '남조선해방' = 1099
제3절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의 견지 = 1102
제4절 초(超)반미주의의 고수 = 1106
제5절 동요하는 중-소의 대미정책 이용 = 1108
제4장 대외정책 범주(範疇)의 확대 = 1112
제1절 "일본 군국주의 재생"(再生)에 대한 투쟁 = 1112
제2절 '북방 3각 관계'의 불협화(不協和) 활용 = 1115
제3절 비(非)동맹운동에 대한 지지 성원 = 1118
제4절 "지배주의"(支配主義) 단호 반대 = 1123
맺는말 : 벽에 부딪힌 "지배주의 반대" 원칙 = 1126
제14편 핵(核)무기의 어두운 그림자 - 다가오는 파멸의 위기의식 속에서
들어가는 말 = 1133
제1장 김일성의 야망 = 1135
제1절 소련으로부터의 핵기술 지원 = 1135
제2절 김일성의 집념(執念) = 1139
제3절 사찰 금제(禁制)의 성역(聖域) = 1143
제2장 벼랑 끝으로 향하는 핵외교(核外交) = 1147
제1절 개방ㆍ교류에 대한 공포 = 1147
제2절 강경ㆍ온건 정책의 싸이클 = 1151
제3절「제네바 합의」의 성립과 무산 - 상실한 평화의 기회 = 1155
제3장 햇볕정책과 김정일의 대응 = 1158
제1절 김대중정권의 출발 = 1158
제2절 남북정상회담과「남북공동선언」 = 1161
제3절 김정일의 신(新) 군사파시즘과 부시의 강경책 = 1166
제4절 대북 유화정책(宥和政策)의 평가 = 1169
제4장 핵위기(核危機)의 중폭 = 1174
제1절 켈리 특사의 평양 방문 = 1174
제2절 고농축(高濃縮)우라늄 계획 공방(攻防) = 1179
제3절 제2차 핵 위기의 진감(震d?) = 1183
제4절 미국 대통령에 대한 내외의 견제 = 1187
제5장 '6자회담'으로 가는 길 = 1193
들어가는 말 - 요약된 회고 = 1193
제1절 전기침(錢其琛)의 은밀한 방북(2003.3.8) = 1195
제2절 전(錢)-김(金) 대화의 중심문제 = 1197
제3절 '3자회담'의 난항 = 1198
제4절 '3자회담'의 미봉적 타협 = 1201
제6장 '6자회담'의 명암(明暗) = 1204
제1절 회담의 개막 = 1204
제2절 북한대표의 좌충우돌 = 1205
제3절 반(反) 외교적 안하무인의 행동 = 1207
제4절 청천벽력의 '2ㆍ10선언'(2005년) = 1209
제7장 출구(出口) 안 보이는 북핵(北核)의 미로(迷路) = 1212
제1절 "미국과는 전쟁상태에 있다" = 1212
제2절「9ㆍ19 공동성명」의 무지개 = 1213
제3절 '원조제공'(미)과 '핵무기 포기'(북), 어느 것이 먼저인가 = 1215
제4절 6자회담의 새로운 장애 = 1217
제8장 머나먼 비핵화(非核化)의 길 = 1220
제1절 북한의 핵실험이 몰고온 충격파 = 1220
제2절 '2ㆍ13합의'에서 '10ㆍ3합의'에로 = 1222
제3절 비핵화는 과연 실현될 수 있을까 = 1224
제15편 남ㆍ북한의 만성적 대결상태는 언제까지 - 50년 냉전에서 얼어붙은 빙벽의 체제
제1장 스탈린 사후에 제시된 김일성(金日成)의 민족-계급정책 = 1229
제1절 역사적 전변기(轉變期)의 정책 전환인가 = 1229
제2절 "부르죠아 민족주의"냐 "사회주의적 애국주의"냐 = 1235
제2장 민족이론의 새로운 포장(包裝) - "전 사회의 혁명화", "전 사회의 로동계급화"란 = 1243
제1절 사람의 개조(人間改造) : "공산주의의 새 인간"으로 = 1243
제2절 "주체적 민족관"(主體的 民族觀)의 제창 = 1249
제3장 햇볕정책에 대한 북의 맹공격 = 1256
들어가는 말 -「남-북공동선언」의 함정 = 1256
제1절 "개혁-개방" 정책에 대한 사상적-군사적 도전 = 1259
제2절 군사 절대 우선주의의 천명(闡明) = 1263
제3절 김대중정권에 대한 "혁명적 사상공세" = 1270
제4절 "부르죠아 사상 문화의 침투를 철저히 막아내" = 1275
제4장 "우리민족끼리" 함께 미궁(迷宮)으로 가는 길 = 1278
제1절 3개 신문「공동사설」이 지향하는 것 = 1278
제2절 "남조선 보수대연합을 짓부수자" = 1283
제5장 "남조선해방" 전략의 불변성(不變性), 전술의 다양성(多樣性) = 1287
들어가는 말 = 1287
제1절 일관된 투쟁노선 = 1289
제2절 "우리민족끼리"의 허상(虛像) = 1296
제16편 자유와 평화에 대한 근본적 장애: 북의 '미제국주의론' - 그 구조와 목표
들어가는 말 = 1301
제1장 레닌의 영향 : 제국주의의 도식화(圖式化)
제1절 독점자본주의란 무엇인가 = 1303
제2절 전쟁과 평화공존의 문제 = 1306
제3절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타당성 재고(再考) = 1312
제2장 김일성-김정일의 반미원리주의(反美原理主義) = 1318
제3장 김정일의 "미 제국주의론"의 자체수정 = 1325
제4장 민족의 평화적 통합(統合)은 가능한가? = 1332
제1절 재고 : 민족이란 무엇인가? = 1332
제2절 김정일정권 하의 민족통합이 뜻하는 것 = 1339
제5장 북한의 변화에 대하여 = 1342
제1절 역사의 드라마 = 1342
제2절 세습독재정권에 대한 지원(支援)의 함정 - 불변의 대남 초강경정책을 겪어오면서 = 1347
제3절 '강성대국(强盛大國)'의 논리 = 1352
찾아보기 = 135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