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중국과 일본 거주 한인의 이주역사 재고찰
1. 서론 : 한인 이주역사 상한선 ... 17
2. 한국인의 이주역사에 관한 이해 ... 19
3. 중국과 일본의 한인역사 재고 ... 27
4. 결론 : 한인 이주역사의 현장 확인 필요성 ... 34
제2장 한인 디아스포라와 해외입양
1. 서론 : 지구화 시대의 한인 해외입양 ... 39
2. 한인...
목차 전체
제1장 중국과 일본 거주 한인의 이주역사 재고찰
1. 서론 : 한인 이주역사 상한선 ... 17
2. 한국인의 이주역사에 관한 이해 ... 19
3. 중국과 일본의 한인역사 재고 ... 27
4. 결론 : 한인 이주역사의 현장 확인 필요성 ... 34
제2장 한인 디아스포라와 해외입양
1. 서론 : 지구화 시대의 한인 해외입양 ... 39
2. 한인 디아스포라와 해외입양 ... 41
3. 한인 해외입양의 과정과 원인 ... 47
4. 해외입양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54
5. 결론 : 버림받은 자가 버린 자를 위로하는 역설 ... 60
제3장 재일한인 집거지역 : 신주쿠와 이쿠노
1. 서론 : 재외한인 연구의 의미와 필요성 ... 67
2. 재일한인 연구와 집거지역 형성과정 ... 69
3. 재일한인의 사회적 실태 ... 78
4. 재일한인 집거지역 현황 : 신주쿠와 이쿠노 ... 91
5. 결론 : 재일한인사회 연구의의 ... 102
제4장 중앙아시아 정치체제와 소수민족으로서 고려인
1. 서론 : 현 시기 중앙아시아 고려인 연구 의미 ... 107
2.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정치체제 ... 109
3.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민족주의와 소수민족 ... 116
4. 중앙아시아 지역의 고려인 ... 126
5. 결론 : 중앙아시아 고려인 사회의 전망 ... 131
제5장 재미한인 문화생활과 민족문화
1. 서론 : 재미한인사회 탐구의 의미 ... 137
2. 재미한인사회의 문화사 ... 141
3. 재미한인의 문화생활 일반 ... 153
4. 재미한인의 민족문화 향유정도 ... 160
5. 결 론 : 민족문화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 ... 166
제6장 중국 조선족의 문화생활과 민족문화
1. 서론 : 중국 조선족사회 연구 의미 ... 171
2. 중국 조선족의 문화생활 일반 ... 173
3. 중국 조선족의 민족문화 향유정도 ... 180
4. 결론 : 민족문화를 기반한 네트워킹 ... 193
제7장 재외한인의 문화생활 비교
1. 서론 : 민족문화와 재외한인사회 ... 199
2. 재외한인의 문화생활 일반 ... 203
3. 재미한인의 민족문화 향유정도 ... 215
4. 결론 : 민족문화를 유지하고 있는 재외한인사회 ... 236
제8장 재외한인사회와 민족문화 네트워크
1. 서론 : 지구화 시대 재외한인 ... 243
2. 재외한인사회의 현황과 특징 ... 245
3. 재외한인의 문화생활과 한류 ... 259
4. 민족문화 네트워크의 구축방안 모색 ... 272
5. 결론 : 지구화 시대 민족문화 네트워크의 의미 ... 284
제9장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의 고려인 예술가 활동현황
1. 서론 : 재외동포와 문화 ... 289
2. 중앙아시아 고려인 현황과 민족문화 ... 290
3.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고려인 예술가 활동현황 ... 299
4. 결론 : 모국과의 교류를 원하는 동포예술가 ... 310
보 론 한국 다문화가족 복지정책
1. 서론 : 다문화사회에 들어선 한국 ... 317
2. 한국 사회와 다문화사회론 ... 319
3. 한국의 결혼이민자 현황과 문제점 ... 324
4. 결혼이민자 가족의 복지정책과 개선방안 ... 329
5. 결론 : 다문화사회 지향적인 지원정책 ... 33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