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제1장 사회간접자본과 지역발전
1.1. 사회간접자본의 개요 = 18
1.1.1. 사회간접자본의 정의 = 18
1.1.2. 사회간접자본의 특성 = 19
1.1.3. 사회간접자본의 분류 = 20
1.2. 사회간접자본의 역할과 개발효과 = 21
1.2.1. 사회간접자본의 역할 = 21
1.2.2. 사회간접자본의 개발 및...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제1장 사회간접자본과 지역발전
1.1. 사회간접자본의 개요 = 18
1.1.1. 사회간접자본의 정의 = 18
1.1.2. 사회간접자본의 특성 = 19
1.1.3. 사회간접자본의 분류 = 20
1.2. 사회간접자본의 역할과 개발효과 = 21
1.2.1. 사회간접자본의 역할 = 21
1.2.2. 사회간접자본의 개발 및 효과 = 22
1.2.3. 사회간접자본의 개발관련 문제 = 23
1.3. 사회간접자본과 지역발전 = 24
1.3.1. 사회간접자본과 지역발전의 관계 = 24
1.3.2. 사회간접자본과 지역발전의 정도 = 25
요약 = 27
중요개념 = 28
연습문제 = 28
참고문헌 = 30
제2장 SOC 투자정책ㆍ여건 변화와 문제
2.1. SOC 투자정책의 변화 = 34
2.1.1. SOC의 시기별 투자정책 = 34
2.1.2. SOC의 투자추세 = 35
2.1.3. 지역경제와 SOC 투자 = 36
2.2. SOC 투자여건의 변화 = 37
2.2.1. SOC 수요여건과 구조변화 = 37
2.2.2. SOC 공급여건과 구조변화 = 39
2.2.3. SOC 투자여건과 구조변화 = 40
2.3. SOC 시설투자의 문제 = 42
2.3.1. SOC투자 추진과정의 문제 = 42
2.3.2. 교통 SOC 투자의 문제 = 45
요약 = 47
중요개념 = 48
연습문제 = 48
참고문헌 = 50
제3장 호남권 교통 SOC 실태와 계획
3.1. 호남권의 경제여건 = 52
3.1.1. 호남권의 여건 = 52
3.1.2. 호남권의 산업과 세부지표 = 52
3.2. 호남권 교통 SOC의 투자실적 = 55
3.2.1. 호남권의 교통 SOC 투자액 = 55
3.2.2. 호남권의 부문별 교통 SOC 투자 = 56
3.3. 호남권의 교통수요 특성과 교통 SOC 계획의 검토 = 58
3.3.1. 여객통행의 실태 = 58
3.3.2. 화물통행의 실태 = 59
3.3.3. 국가기간교통망 SOC계획의 개요 = 60
3.3.4. 호남권 교통 SOC계획의 검토 = 60
요약 = 64
중요개념 = 65
연습문제 = 65
참고문헌 = 68
제4장 호남고속철도와 호남권 발전방향
4.1. 고속철도 운행ㆍ특성과 계획 = 70
4.1.1. 고속철도의 추진경과 = 70
4.1.2. 고속철도의 운행특성 = 71
4.1.3. 고속철도의 운행현황 = 72
4.1.4. 호남고속철도의 건설계획 = 76
4.2. 고속철도 운행의 영향요인 = 77
4.2.1. 고속철도 운행의 영향 = 77
4.2.2. 선진국의 고속철도 운행영향 = 79
4.2.3. 호남고속철도의 운행의미 = 81
4.3. 호남고속철도 운행의 호남권 효과 = 82
4.3.1. 인구이동ㆍ분산에 미치는 효과 = 82
4.3.2. 교통체계에 미치는 효과 = 85
4.3.3. 도시경제ㆍ개발에 미치는 효과 = 90
4.3.4. 사회ㆍ문화에 미치는 효과 = 94
4.4. 호남고속철도와 호남권 발전방향 = 96
4.4.1. 지역발전 목표와 발전방향 = 96
4.4.2. 연계교통체계의 형성 = 97
4.4.3. 고속철도역의 역세권 개발 = 101
4.4.4. 역세권 중심 혁신 클러스터의 조성 = 102
4.4.5. 도시기능의 경쟁력 강화전략 = 104
4.4.6. 지역 관광산업의 발전전략 = 106
요약 = 110
중요개념 = 111
연습문제 = 112
참고문헌 = 114
제5장 호남고속철도역의 운영 및 역세권 개발방향
5.1. 고속철도 개통과 역세권의 기본이론 = 118
5.1.1. 고속철도 개통과 정차도시의 과제 = 118
5.1.2. 고속철도 역세권의 개념, 범위와 개발유형 = 120
5.2. 호남고속철도 계획과 광주권 고속철도역의 운영방안 = 123
5.2.1. 호남고속철도사업과 광주권 고속철도역 계획 = 123
5.2.2. 광주권 고속철도역의 현황 및 이용실태 = 126
5.2.3. 광주권 고속철도역의 운영방안 = 131
5.3. 광주권 고속철도역의 역세권 개발방향 = 135
5.3.1. 정부의 고속철도(KTX)경제권 및 역세권 개발방향 = 135
5.3.2. KTX 역세권 도입기능의 선정 = 139
5.3.3. 광주권 KTX 역세권별 환승체계의 구축 = 141
5.3.4. 광주권 KTX 역세권 개발사업의 추진방안 = 143
요약 = 146
중요개념 = 148
연습문제 = 148
참고문헌 = 151
제6장 호남권 공항의 기능설정과 발전대안 종류
6.1. 공항의 개념, 기능과 지역발전 = 156
6.1.1. 공항의 개념과 기능 = 156
6.1.2. 공항시스템과 지역발전 = 158
6.2. 호남권 공항운영과 실태분석 = 159
6.2.1. 전국 공항의 구분과 운영 = 159
6.2.2. 광주공항의 현황과 이용실적 = 161
6.2.3. 무안공항의 현황과 이용실적 = 166
6.3. 광주ㆍ무안공항의 기능설정과 쟁점 = 170
6.3.1. 광주공항과 무안공항의 관계검토 = 170
6.3.2. 외국 광역생활권의 복수공항 사례 = 171
6.3.3. 광주 및 무안공항간 운영과 쟁점내용 = 173
6.4. 광주ㆍ무안공항의 환경분석과 발전대안 종류 = 176
6.4.1. 국내외 공항환경의 변화 = 176
6.4.2. 무안공항의 서남권 거점공항화 분석 = 177
6.4.3. 광주 및 무안공항간 기능설정 요인과 대안 = 178
요약 = 182
중요개념 = 184
연습문제 = 184
참고문헌 = 186
제7장 서남권 무안국제공항의 활성화 방안
7.1. 지방공항의 환경변화와 운영상태 = 188
7.1.1. 지방공항의 환경변화 = 188
7.1.2. 국내공항의 위계와 운영상태 = 189
7.2. 무안국제공항의 운영실태와 문제점 = 194
7.2.1. 무안국제공항의 시설현황과 수요전망 = 194
7.2.2. 무안국제공항의 운영실태 = 197
7.2.3. 무안국제공항 운영의 문제점 = 199
7.2.4. 무안공항의 거점공항화 분석 = 203
7.3. 서남권 무안국제공항의 활성화 방안 = 205
7.3.1. 기본방향의 설정 = 205
7.3.2. 행정ㆍ제도면의 무안공항 활성화 방안 = 206
7.3.3. 지역경제면의 무안공항 활성화 방안 = 208
7.3.4. 수요창출면의 무안공항 활성화 방안 = 210
7.3.5. 항공정책면의 무안공항 활성화 방안 = 213
요약 = 217
중요개념 = 218
연습문제 = 219
참고문헌 = 221
제8장 광양항 친수공간 개발정책의 방향
8.1. 항만친수공간의 기본이론 = 224
8.1.1. 항만친수공간의 개념, 개발환경과 배경 = 224
8.1.2. 항만친수공간의 개발위치 및 시설유형 = 227
8.1.3. 항만친수공간의 문헌적 고찰 = 229
8.2. 항만친수공간의 개발사례와 문제점 분석 = 230
8.2.1. 한국의 항만친수공간 개발계획 = 230
8.2.2. 외국 항만친수공간의 개발사례 = 232
8.2.3. 항만친수공간 개발의 문제점 = 232
8.3. 광양항 친수공간개발의 유형과 정책방향 = 235
8.3.1. 광양의 도시ㆍ항만특성 검토 = 235
8.3.2. 광양항 친수공간 개발유형의 설정 = 237
8.3.3. 광양항 친수공간의 개발구상 = 239
8.3.4. 광양항 친수공간의 개발방향 = 241
8.3.5. 광양항 친수공간의 개발전략 = 243
요약 = 247
중요개념 = 249
연습문제 = 249
참고문헌 = 251
제9장 환경친화적 광양항관리정책의 발전방향
9.1. 녹색성장과 환경친화적 항만의 개요 = 254
9.1.1. 녹색성장의 개요 = 254
9.1.2. 환경친화적 항만(Green Port)의 개요 = 256
9.2. 광양항의 수송수요와 환경실태 분석 = 257
9.2.1. 광양항 물동량 수송실적과 전망 = 257
9.2.2. 광양항의 교통환경과 해상교통량 = 259
9.2.3. 광양항의 환경실태 분석 = 260
9.3. 환경친화적 광양항관리정책의 발전방향 = 261
9.3.1. 환경친화적 항만물류 수송체계의 전환 = 261
9.3.2. 항만컨테이너 부두의 에너지절감 = 264
9.3.3. 환경친화적 항만운영기술의 적용 = 266
9.3.4. 환경친화적 항만친수공간의 조성 = 269
9.3.5. 해양폐기물의 환경친화적 처리 = 272
9.3.6. 항만환경계획의 수립ㆍ시행 = 274
요약 = 277
중요개념 = 278
연습문제 = 278
참고문헌 = 281
제10장 광양항 배후단지의 복합운송체계 형성전략
10.1. 항만 배후단지와 복합운송체계의 개관 = 284
10.1.1. 항만 물류ㆍ운송환경의 변화 = 284
10.1.2. 항만 배후단지의 개념과 기능 = 286
10.1.3. 복합운송체계의 과정과 특성 = 288
10.1.4. 항만 배후단지 경쟁력과 복합운송체계 = 289
10.2. 광양항 배후단지와 복합운송체계 실태와 문제점 = 292
10.2.1. 광양항 물동량 처리 및 복합운송 실태 = 292
10.2.2. 광양항 배후단지의 개발실태 = 294
10.2.3. 광양항 복합운송체계의 문제점 = 298
10.2.4. 외국 복합운송체계정책의 검토 = 300
10.3. 광양항 배후단지의 복합운송체계 형성전략 = 301
10.3.1. 복합운송체계의 물류동향과 환경분석 = 301
10.3.2. 복합운송체계 형성목표와 시행방향 = 304
10.3.3. 복합운송체계 기반시설 확충과 연계성 강화 = 305
10.3.4. 광양항 복합운송 지원시설의 확충 = 309
10.3.5. 복합운송체계 기술의 개발전략 = 311
10.3.6. 광양항만 네트워크의 확충 = 312
10.3.7. 세계적 종합물류ㆍ복합운송업체의 육성ㆍ유치 = 313
10.3.8. 항만 배후단지 개발과 물류거점기능의 활성화 = 315
10.3.9. 복합운송체계의 물류정보화 이용 = 317
요약 = 318
중요개념 = 321
연습문제 = 322
참고문헌 = 325
제11장 호남광역경제권과 교통 SOC의 구축방안
11.1. 광역경제권과 교통 SOC의 기본이론 = 332
11.1.1. 광역경제권과 교통 SOC의 개념 = 332
11.1.2. 광역경제권과 교통 SOC 투자의 관계 = 334
11.1.3. 광역경제권과 교통 SOC 연구의 고찰 = 335
11.2. 호남광역경제권 형성과 교통 SOC의 실태분석 = 337
11.2.1. 정부 광역경제권정책의 내용 = 337
11.2.2. 호남광역경제권의 현황과 교통 SOC 투자 = 339
11.2.3. 호남광역경제권 교통 SOC 계획의 검토 = 343
11.3. 호남광역경제권 교통 SOC의 구축방안 = 348
11.3.1. 교통 SOC구축의 고려사항과 방향 = 348
11.3.2. 계획면의 호남광역경제권 교통 SOC사업 구축방안 = 349
11.3.3. 관리면의 호남광역경제권 교통 SOC사업 구축방안 = 354
요약 = 358
중요개념 = 359
연습문제 = 360
참고문헌 = 362
SOC 관련 사이트: 호남권 = 36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