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내면서 ... 4
제1부 제도 변화와 선거 현장 ... 11
1장 중선거구제 도입과 선거 운동의 변화: 경기도 [고선규] ... 13
2장 중선거구제와 정당공천제의 효과: 경상북도 경산시 [정준표] ... 47
3장 중선거구제, 정당공천제 그리고 지역주의
: 경상남도 마산시, 창원시, 김해시 [김용복] ... 82
4장 선거 제도 변화와 여성 참여...
목차 전체
책을 내면서 ... 4
제1부 제도 변화와 선거 현장 ... 11
1장 중선거구제 도입과 선거 운동의 변화: 경기도 [고선규] ... 13
2장 중선거구제와 정당공천제의 효과: 경상북도 경산시 [정준표] ... 47
3장 중선거구제, 정당공천제 그리고 지역주의
: 경상남도 마산시, 창원시, 김해시 [김용복] ... 82
4장 선거 제도 변화와 여성 참여: 부산광역시 [황아란] ... 109
5장 후보 공천 과정과 도지사 선거: 제주특별자치도 [양길현] ... 138
6장 선거 제도의 변화와 지방의원의 충원: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김용철] ... 185
제2부 지역주의와 선거 과정
7장 지역색을 넘어: 부산광역시 [강경태] ... 219
8장 지역주의에 대한 도전: 대구광역시 [하세헌] ... 244
9장 2006년 지방 선거 결과 분석: 충청북도 [엄태석] ... 267
10장 지방 선거의 구조와 동학: 대전광역시 [유재일] ... 293
11장 신지역주의 정당의 한계와 문제점: 충청도 [정연정] ... 323
제3부 이슈, 정당, 매니페스토와 선거 과정 ... 349
12장 이미지, 심판론, 매니페스토: 서울특별시 [윤종빈] ... 351
13장 인물론 대(對) 정당론: 경기도 [박명호] ... 377
14장 노동자 정치 세력화 운동의 미래: 울산광역시 [유종선] ... 397
15장 혁신도시 이슈: 강원도 [김재한] ... 423
16장 매니페스토 도입과 정책 선거: 경기도 [이현출] ... 446
제4부 종합 정리 ... 479
17장 5.31 지방 선거: 변화와 지속성 [이준한] ... 481
부록 ... 50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