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Ⅰ '결어'로서의 국(문)학 = 19
갱생(更生)의 도(道) 혹은 미로(迷路) - 최현배의『朝鮮民族更生의 道』를 중심으로 = 45
두 개의 거울 : 민족 담론의 자화상 그리기 - 장혁주와 김사량을 중심으로 = 97
Ⅱ 프롤레타리아 소설과 노스탤지어의 시공(時空) = 129
우울한 형/명랑한 동생 - 중일 전쟁기 '신세대 논쟁'의 재독(再讀) = ...
목차 전체
목차
Ⅰ '결어'로서의 국(문)학 = 19
갱생(更生)의 도(道) 혹은 미로(迷路) - 최현배의『朝鮮民族更生의 道』를 중심으로 = 45
두 개의 거울 : 민족 담론의 자화상 그리기 - 장혁주와 김사량을 중심으로 = 97
Ⅱ 프롤레타리아 소설과 노스탤지어의 시공(時空) = 129
우울한 형/명랑한 동생 - 중일 전쟁기 '신세대 논쟁'의 재독(再讀) = 157
동화(同化) 혹은 초극(超克) - 식민지 조선에서의 근대초극론 = 199
Ⅲ 그녀를 죽인 것은 나였을까? = 227
저항과 절망 = 249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무정』을 읽는 몇 가지 방법 = 267
세계인의 초상 = 283
공자ㆍ아우얼바하ㆍ유종호 = 297
세계화ㆍ번역ㆍ노벨상 = 30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