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부 탈냉전과 6ㆍ25전쟁의 재조명
1장 탈냉전과 6ㆍ25전쟁의 재인식 / 김영호 = 17
1. 들어가는 말 = 18
2. 첫 번째 이미지와 6ㆍ25전쟁 = 22
3. 두 번째 이미지와 6ㆍ25전쟁 = 25
4. 세 번째 이미지와 6ㆍ25전쟁 = 32
5. 세 번째 이미지와 미국과 유엔의 개입 = 37
6. 결론 = 46
...
목차 전체
목차
제1부 탈냉전과 6ㆍ25전쟁의 재조명
1장 탈냉전과 6ㆍ25전쟁의 재인식 / 김영호 = 17
1. 들어가는 말 = 18
2. 첫 번째 이미지와 6ㆍ25전쟁 = 22
3. 두 번째 이미지와 6ㆍ25전쟁 = 25
4. 세 번째 이미지와 6ㆍ25전쟁 = 32
5. 세 번째 이미지와 미국과 유엔의 개입 = 37
6. 결론 = 46
2장 소련 문서를 통해 본 6.25전쟁의 기원 : 모스크바, 베이징, 그리고 평양 / 강규형 = 55
1. 서론 = 56
2. 기존 연구 경향과 소련 비밀문서의 해제가 가져온 변화 = 57
3. 북한 지도부와 소련의 관계 = 59
4. 남한침공에 대한 긴밀한 논의 = 62
5. 정세의 변화와 남친 결정 = 64
6. 남침과 그 결과 = 67
7. 결론 = 72
3장 6ㆍ25전쟁과 소련의 군사적 역할 / 이재훈 = 81
1. 서론 = 82
2. 소련 군사고문단의 활동 = 84
3. 소련의 대북한 군수지원 = 92
4. 소련 제64전투비행군단의 전투활동 = 98
5. 결론 = 110
4장 6ㆍ25전쟁과 한국군의 대응 / 나종남 = 121
1. 서론 = 122
2. 전쟁 징후와 한국군의 대응 = 124
3. 전쟁 발발과 한국군의 대응 = 136
4. 휴전과 한국군의 대응 = 151
5. 결론 = 154
5장 한반도에서의 기독교와 공산주의의 대결 / 김광동 = 13
1. 공산주의 등장과 기독교 탄ㅇ바 = 164
2. 공산체제의 종교탄압과 기독교인의 월남 = 167
(1) 김일성 소비에트체제의 기독교 탄압 = 167
(2) 기독교인의 월남과 종교 활동 = 172
3. 6ㆍ25전쟁 시 인민군에 의한 기독교 피해 = 174
(1) 6ㆍ25전쟁에서의 양민 피해 = 174
(2) 전쟁 중 기독교의 활동과 피해 = 176
4. 기독교에 대한 집단 학살과 피해 = 178
(1) 충남 논산〈병촌교회〉 = 179
(2) 전남 영광의〈야월교회〉와〈염산교회〉 = 180
(3) 전북의 개신교에 대한 학살 = 184
(4) 천주교에 대한 학살과 피해 = 186
5. 기독교를 대체한 개인숭배 체제 = 189
제2부 6ㆍ25전쟁과 주변국가의 역할
1장 6ㆍ25전쟁과 한미동맹의 성립 / 차상철 = 203
1. 동맹의 제의와 거부 = 204
2.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 = 207
3. 한미합의의사록의 체결 = 216
4. 한미동맹의 역사적 의의 = 223
2장 6ㆍ25전쟁이 일본에 미친 영향 / 양영조 = 233
1. 서론 = 234
2. 일본 군정 상활과 재무 장화 = 235
3. 6ㆍ25전쟁에 대한 일본의 입장 = 239
4. 일본 경찰예비대 창설 = 242
5. 일본의 전쟁특수와 지원 활동 = 247
(1) 군수품의 생산과 수송 활동 지원 = 247
(2) 일본 소해대의 기뢰소해 활동 = 251
(3) 일본 민간기술자의 지원 활동 = 258
6. 결론 = 262
3장 세계혁명의 일환으로 결정된 중국의 6ㆍ25전쟁 개입 / 오규열 = 271
1. 서론 = 272
2. 연구방법과 연구목적 = 277
3. 김일성의 남침의도 인지시기와 출병 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본 중국의 6ㆍ25전쟁 개입 동기 = 280
(1) 김일성의 남침의도에 대한 마오쩌둥의 인지시기 = 280
(2) 중국의 한국전 출병 결정 과정 = 291
4. 결론 = 301
4장 6ㆍ25전쟁과 유엔의 역할 - 의미, 영향, 평가 / 박흥순 = 311
1. 서론 = 312
2. 6ㆍ25전쟁의 발발과 유엔의 개입과정 = 314
(1) 유엔 안보리의 결의문 채택 및 유엔군의 구성 = 314
(2) 유엔 집단안보제도의 성격과 발동 = 317
3. 6ㆍ25전쟁의 진행경과와 유엔의 역할 = 320
(1) 전면적 군사적 제재 = 320
(2) 대북 경제 제재 부과 = 323
(3) 휴전 협상 = 323
(4) 전쟁 피해 및 인도적 활동 = 325
4. 유엔의 역할 및 영향의 평가 = 327
(1) 유엔의 역할 일반 = 327
(2) 유엔의 구체적 역할 및 의미 = 328
(3) 미국의 역할 = 336
5. 6ㆍ25전쟁이 유엔 및 국제사회에 미친 영향 = 340
(1) 집단안보의 선례 = 340
(2) 유엔 체제 자체에 대한 영향 = 342
(3) 냉전의 심화와 대 유엔 활동 제약 = 346
(4) 유엔의 역할에 대한 영향 = 347
6. 결론 : 유엔의 역할과 한국 = 350
제3부 6ㆍ25전쟁의 영향
1장 6ㆍ25전쟁이 한국 정치발전에 끼친 영향 / 이지수 = 367
1. 서론 = 368
2. 6ㆍ25에 대한 연구의 추세에 대한 반성: 전통주의로의 귀환과 미래 지향적 모색 = 371
3. 6ㆍ25 이후 대한민국 정치 상황의 전개 = 377
(1) 통제와 지지의 길항 작용 = 377
(2) 이념, 정책, 대외 관계 = 383
4. 결론 = 389
2장 6ㆍ25전쟁 후 한국정부의 경제개발론 / 주익종 = 397
1. 서론 = 398
2. 전쟁 전후의 한국경제 = 400
(1) 전쟁 전 안정화 추이 = 400
(2) 전쟁의 경제적 유산 = 402
3. 한국정부의 경제재건ㆍ개발론 = 404
(1) 전후 부흥계획 = 404
(2) 경제개발계획으로의 진일보 = 408
(3) 문제의 뿌리 - 민족주의적 대국주의(大國主義) 지향 = 412
4. 결론 = 423
3장 6ㆍ25전쟁과 한국의 사회변동, 그리고 사회적 유산 / 전상인 = 429
1. 서론 = 430
2. 6ㆍ25전쟁과 사회구조적 변동 = 432
3. 6ㆍ25전쟁과 사회심리적 변화 = 441
4. 6ㆍ25전쟁의 사회적 유산 = 450
5. 결론 = 45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