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고고학자 조유전과 이기환의)한국사 기행

조유전, 이기환 [공]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고고학자 조유전과 이기환의)한국사 기행 / 조유전, 이기환 [공]저
개인저자조유전
이기환
발행사항파주 : BM책문 : 성안당, 2010
형태사항528 p. : 천연색삽화 ; 23cm
총서사항지식기행 ;5
ISBN9788931574821
일반주기색인: p. 522-528
서지주기참고문헌: p.500-521
분류기호951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86645 951 조유전 한-기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62 대출가능
2 1086646 951 조유전 한-기 c2 보존서고B3 B371-6-2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들어가면서 1 발굴로 보는 우리 역사 답사기 = 6
들어가면서 2 미래를 위해 과거의 흔적을 찾아가는 행복한 여정 = 9
제1부 충청 : 하늘이 내려준 고대사의 흔적 = 12
 1장 마한의 비밀을 간직한 공주 장선리 유적 = 14
 2장 무령왕릉 이후 최대 발굴, 공주 수촌리 고분 = 24
 3장 철강 강국 백제의 위용을 보여 준 청주 신봉동 유적 =...

목차 전체

목차
들어가면서 1 발굴로 보는 우리 역사 답사기 = 6
들어가면서 2 미래를 위해 과거의 흔적을 찾아가는 행복한 여정 = 9
제1부 충청 : 하늘이 내려준 고대사의 흔적 = 12
 1장 마한의 비밀을 간직한 공주 장선리 유적 = 14
 2장 무령왕릉 이후 최대 발굴, 공주 수촌리 고분 = 24
 3장 철강 강국 백제의 위용을 보여 준 청주 신봉동 유적 = 42
 4장 나ㆍ당 국제회담이 열린 철옹성, 보은 삼년산성 = 60
 5장 발 끝에 걸려 머리를 내민 단양 적성비 = 72
 6장 어느 향토사학회가 발견한 중원 고구려비 = 82
 7장 위덕왕의 뼈저린 반성이 담긴 부여 왕흥사 = 96
제2부 호남ㆍ제주 : 고고학, 동북아의 중심에서 역사를 만나다 = 116
 8장 서동과 선화의 파란만장한 사랑이야기가 깃든 익산 미륵사지 = 118
 9장 고대사의 블랙박스가 열린 나주 복암리 유적 = 138
 10장 고철에서 국보로 운명이 뒤바뀐 화순 대곡리 청동예기 = 164
 11장 2,000년 전의 무역항, 해남 군곡리 유적 = 174
 12장 또 다른 역사, 탐라의 흔적을 간직한 제주 고산리 유적 = 184
제3부 영남 : 역사가 바뀐 곳, 역사가 이루어진 곳 = 200
 13장 한국 고고학의 출발지가 된 영도 동삼동 패총 = 202
 14장 임나일본부설을 폐기해 버린 동래 복천동 고분군 = 218
 15장 전쟁고고학의 성과를 담아낸 동래읍성 = 234
 16장 주인을 따라 순장된 창녕 송현동 소녀 = 250
 17장 태풍을 타고 떠오른 8,000년 전의 배, 창녕 비봉리 유적 = 274
 18장 구국의 일념이 절절이 배인 경주 사천왕사터 = 290
 19장 농부가 찾아낸 신라 최고 고비, 포항 중성리비 = 306
 20장 일연선사의 체취가 묻은 군위 인각사 = 324
 21장 세계를 눈물로 적신 사랑이야기, 안동 원이 엄마의 편지 = 348
 22장 고구려와 신라가 지하에서 만나는 영풍 읍내리 벽화고분 = 362
제4부 강원 : 문명을 낳은 땅, 국난을 이기다 = 378
 23장 국난의 아픔을 온몸으로 껴안은 원주 법천사 = 380
 24장 전설과 역사가 어우러진 정선 아우라지 청동기 마을 = 392
 25장 신석기인들의 도시, 강릉 초당동 유적 = 404
 26장 3,000년 전의 청동기 마을, 화천 용암리ㆍ위라리 유적 = 416
제5부 서울ㆍ경기 : 학문과 거래, 일상이 담긴 곳 = 426
 27장 한성백제인들의 논어책이 나온 인천 계양산성 = 428
 28장 '조선의 부활'을 알린 서울 청진동 유적 = 436
 29장 출산 직전에 사망한 산모, 파주 파평 윤씨 미라 = 446
 30장 2,000년 전 백제의 대장간 마을, 연천 삼곶리 유적 = 474
참고문헌 = 500
찾아보기 = 522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