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Ⅰ. 백제 무령왕의 출자(出自)에 관한 소고(小考) = 11
1. 무령왕릉의 묘지석 발굴 = 15
2. 왕의 출자에 관해 사서는 불일치 = 15
3. 무령왕의 생애 = 18
Ⅱ. 스다하지만경(鏡)의 명문을 보고 = 23
1. 머리말 = 27
2. 스다하지만鏡 명문의 판독 = 28
3. 스다하지만鏡 명문의 해석 = 30
4....
목차 전체
목차
Ⅰ. 백제 무령왕의 출자(出自)에 관한 소고(小考) = 11
1. 무령왕릉의 묘지석 발굴 = 15
2. 왕의 출자에 관해 사서는 불일치 = 15
3. 무령왕의 생애 = 18
Ⅱ. 스다하지만경(鏡)의 명문을 보고 = 23
1. 머리말 = 27
2. 스다하지만鏡 명문의 판독 = 28
3. 스다하지만鏡 명문의 해석 = 30
4. 청동鏡에 대한 고대인의 생각과 관행 = 36
5. 스다하지만鏡은 사마(斯麻)가 계체(}?S)천황에게 하사 한 鏡 = 39
6. 대왕년(大王年)의 참주인은 사마왕(斯麻王) 한 분 = 49
7. 맺는말 = 56
Ⅲ. 『일본서기』의 「천황ㆍ붕(崩)」ㆍ「백제왕ㆍ훙(薨)」은 날조 = 59
1. 머리말 = 63
2.『일본서기』의 성립배경 = 64
3.『일본서기』는 변개, 조작된 것 = 68
4. 『붕(崩)』과 『훙(薨)』의 차이는 '대왕'과 '후왕'의 차이 = 72
5. 맺는말 = 78
Ⅳ. 칠지도 명문의 새로운 해석 = 81
1. 머리말 = 85
2. 칠지도 명문 = 86
3. 일본학계의 칠지도 명문의 해석 = 90
4. 일본 학계의 「통설」을 반박한다 = 93
5. 칠지도 명문의 새로운 해석 = 97
6. 「왜왕 旨」그는 누구인가? = 101
7. 맺는말 = 104
Ⅴ. 왜왕 武의 상표문(478년)을 보고 = 107
1. 머리말 = 113
2. 『송서』에 보이는 「왜 5왕(倭五王)」들 = 114
3. 왜왕 武의 상표문 = 116
4. 상표문을 통해서 본 왜왕 武 = 121
5. 왜왕 武 그는 누구인가? = 124
6. 맺는말 = 128
Ⅵ. 무령왕陵 유물로 비정한 후나야마(船山) 고분의 피장자 = 131
1. 머리말 = 135
2. 후나야마 고분의 발굴 = 136
3. 일본서 출토된「관(冠)」과「이(履)」= 142
4. 백제 지역 출토의「관(冠)」과「이(履)」= 148
5. 후나야마의 피장자는 백제왕의「후왕」= 154
6. 맺음말 = 157
Ⅶ. 일본 남향촌(南鄕村)의「大王」명 말방울 = 159
1. 감은사 터에서「大王방울」출토 = 163
2. 일본 남향촌의「大王방울」 = 164
3. 감은사 터 출토「大王방울」은 백제왕의 하사물 = 167
Ⅷ. 『양직공도』로 본 백제 무령왕의 강토 = 169
1. 머리말 = 173
2.『양직공도』의 성립 배경 = 173
3.「백제국」의 출자에 관하여 = 175
4. 백제의 해외영토 = 177
5. 백제의 9개「방소국(芳小國)」= 183
6. 해양강국 = 188
7. 맺는말 = 194
Ⅸ. 『수서(隋書)』의 백제 부용국ㆍ담모라국은 어디? = 197
1. 머리말 = 201
2.『수서』권81, 열전 백제전 = 201
3.「담모라국」은 어디인가? = 203
4. 이 전선(戰船)은 백제의 것? = 208
5. 맺는말 = 212
Ⅹ. 일본 「기도라(龜虎)」고분 피장자, 그는 누구인가? = 215
1. 머리말 = 221
2. 고분의 발굴 = 221
3.「기도라」의 4신수(四神獸)와 성수도(星宿圖) = 224
4. 고분의 피장자는 누구? = 226
5. 피장자는 백제왕족(侯王)이다 = 229
6. 맺는말 = 235
XI. 중국 광서(廣西) 백제향 탐방記 = 237
1. 머리말 = 241
2.「옹령현(邕寧縣) 백제향(百濟鄕)」으로 가는 길 = 242
3.「百濟」기명의 간판을 온통 뒤집어쓴 마을 = 243
4. '장족(壯族)'들은 백제를「대백제(大百濟)」로 호칭 = 245
5. 백제장군 흑치상지(黑齒常之)의 고향은 어디? = 246
6. 방문 소감 = 249
XII.『위서(魏書)』의 흑치국은 어디인가? = 251
1. 머리말 = 255
2. 흑치상지의 묘지銘의 발굴 = 256
3.『위지(魏志)』로 본 '흑치국'의 방위 = 259
4. 백제향(百濟鄕)의 '장족'은 흑치족의 후예 = 263
5.「백제향」은「진평현(晉平縣)」의 치소? = 265
6. 맺는말 = 270
XIII. 『위지왜인전』으로 본「왜국ㆍ대왜(大倭)」 = 273
1. 머리말 = 277
2.「왜국」의 위치와 구성국 = 278
3.「왜국」의 정치 = 283
4.「왜국」의 사회 = 293
5. 맺는말 = 299
결어 = 305
참고문헌 = 309
찾아보기 = 32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