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감사의 말 = 4
서론
01 '과학자사회'의 개념과 연구의 의의 = 11
1부 역사적 접근 - 한국 과학자사회의 형성
02 한국 과학자사회의 기원 = 43
03 해방공간과 과학자사회의 이념적 모색 = 67
04 박정희 시대의 과학과 동원된 계몽 - '전국민과학화운동'을 중심으로 = 105
05 과학자의 전국조직 결성 - '한국과학기술단체총...
목차 전체
목차
감사의 말 = 4
서론
01 '과학자사회'의 개념과 연구의 의의 = 11
1부 역사적 접근 - 한국 과학자사회의 형성
02 한국 과학자사회의 기원 = 43
03 해방공간과 과학자사회의 이념적 모색 = 67
04 박정희 시대의 과학과 동원된 계몽 - '전국민과학화운동'을 중심으로 = 105
05 과학자의 전국조직 결성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의 탄생을 중심으로 = 127
06 한국 대학에서의 과학연구의 성격과 변화 = 147
07 연구자집단의 성장과 변천 -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 = 183
2부 구조적 접근 - 한국 과학자사회의 구조
08 한국 과학자들의 과학자사회 규범에 대한 인식과 평가 = 223
09 우리나라 과학상을 통해서 본 보상체계의 특성 = 259
10 한국 과학자사회의 불평등 - 마태효과
11 한국 과학자사회에서의 규범과 연구부정행위의 관계 - 머턴 - 주커먼 명제의 검토 = 347
12 과학부정행위의 구조적 원인과 과학상업화의 영향 = 373
3부 미시적 접근 - 한국 과학자의 사회화와 정체성
13 이과 대학원생의 정체성 구성과 사회화 = 399
14 대학원생들의 실험실경험과 과학자 되기 - 암묵지와 과학자사회 규범의 전수 = 427
15 한국 이과계 대학원 실험실문화의 특성 = 461
16 이과 대학원생의 사회화와 다양성 - 실험실을 중심으로 = 479
부록 : 표본 특성 및 설문지
〈부록 1〉설문조사 및 포커스그룹 인터뷰 자료 개요 = 507
〈부록 2〉현직 과학자 설문지 = 512
〈부록 3〉대학원생 설문지 = 523
찾아보기 = 53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