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헌법불합치결정의 현안

남복현 지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헌법불합치결정의 현안 / 남복현 지음
개인저자남복현
발행사항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1
형태사항382 p. ; 25 cm
총서사항리걸플러스 ;49
헌법소송연구 ;01
ISBN9788926830352
9788926829912 (세트)
일반주기설명적 각주 및 색인(p.371-376) 수록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수록
참고문헌: p.366-370
분류기호342.51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161872 342.51 남복현 헌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75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헌법재판소는 1988년 9월 1일 개소 이래 2011년 8월 31일 현재까지 총 73건의 헌법불합치결정을 선고하였다. 헌법재판소가 이제까지 선고한 헌법불합치결정의 사례 전반을 살펴보면 근본적인 문제의 실체가 어디에 있는지를 추적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이 책에서는 이를 둘러싼 현안을 검토하였으며, 여기서 쟁점은 네 가지이다. ① 헌법불합치의 결정주문과 ...

목차 전체

헌법재판소는 1988년 9월 1일 개소 이래 2011년 8월 31일 현재까지 총 73건의 헌법불합치결정을 선고하였다. 헌법재판소가 이제까지 선고한 헌법불합치결정의 사례 전반을 살펴보면 근본적인 문제의 실체가 어디에 있는지를 추적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이 책에서는 이를 둘러싼 현안을 검토하였으며, 여기서 쟁점은 네 가지이다. ① 헌법불합치의 결정주문과 결정상 핵심쟁점의 부조화 문제이다. 계속적용 불합치주문의 남발이 초점이다. ② 부조화문제는 한정적 위헌심판청구나 한정적인 위헌판단을 회피함으로써 초래된 것이다. ③ 입법시한이 도과된 불합치법률은 그 효력이 상실된다는 논리의 부적절함이다. ④ 형벌법규에 대한 불합치결정의 가능여부와 그에 따른 법적 효과문제이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2009년 9월 24일 야간옥외집회금지를 규정한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의 관련조항을 헌법불합치로 결정하였다. 하지만, 국회가 시한 내에 개선입법을 하지 않아 2010년 7월 1일부로 위 불합치법률의 효력이 상실되었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서 대법원은 2011년 6월 23일 이 결정을 단순위헌결정으로 파악하는 판결을 선고하였다. 이들 기관의 국가작용은 위의 네 가지 쟁점에 모두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결정의 실체에 대한 이론적 규명이 있어야 하고, 또 개별 결정에 대한 평석의 형태로의 접근도 있어야 할 것이다. 게다가 이 결정유형에 대한 비교법적인 자료도 이 결정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이 책이 비단 한 사람의 연구성과로 머무르지 않고, 장기적으로는 이 분야에 관한 여러 연구자의 연구성과가 체계적으로 집적되는 계기로 작동하길 바란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