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01 인지적 학습과 수업 모형
학습 : 인지적 관점 = 2
학습에 대한 행동주의자들의 관점들 = 3
학습에 대한 인지주의적 관점 = 8
연구와 학습에서의 교사의 역할 = 15
교사들이 차이를 만든다 : 교사-효율성 연구 = 16
효율적인 수업을 넘어서 = 17
이해를 위한 수업 = 17
수업 대안에 대한 필요 = 19
수업 ...
목차 전체
목차
01 인지적 학습과 수업 모형
학습 : 인지적 관점 = 2
학습에 대한 행동주의자들의 관점들 = 3
학습에 대한 인지주의적 관점 = 8
연구와 학습에서의 교사의 역할 = 15
교사들이 차이를 만든다 : 교사-효율성 연구 = 16
효율적인 수업을 넘어서 = 17
이해를 위한 수업 = 17
수업 대안에 대한 필요 = 19
수업 전략 선택 : 교사의 역할 = 20
수업 전략의 선택 : 학습자의 영향 = 20
내용과 수업 전략 = 21
수업에 대한 모형접근 = 22
인지적 학습 목적 = 23
교실에서의 인지적 기능들 = 24
02 필수적인 수업 기능과 사고에 대한 수업
필수적인 수업 기능 : 교사-효율성의 기초 = 40
필수적인 수업 기능 : 그것이 무엇인가? = 40
필수적인 수업 기능과 수업 진행 : 생산적인 학습 환경 만들기 = 60
필수적인 수업 기능 : 이론적인 관점 = 62
효율적인 수업을 넘어서 : 사고와 이해를 위한 수업 = 64
사고를 위한 수업 : 계속적인 관심 = 64
사고를 위한 수업 : 학습자의 동기 증가시키기 = 65
비판적 사고 = 66
비판적 사고 : 태도와 성향 = 69
일상생활에서 비판적 사고 = 69
03 사회적 상호작용 모형
그룹 활동 모형 = 84
그룹 활동 계획 = 84
수업에서 그룹 활동 실행 = 86
협동 학습 모형 = 88
협동 학습의 구성 요소 = 88
협동 학습의 사회적 구조 = 90
STAD : 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s = 91
직소우 Ⅱ = 106
집단 탐구 = 115
토론 = 127
토론 모형의 개관 = 129
토론 실행 = 135
사회적 상호작용 모형에서 동기의 증가 = 138
04 귀납적 수업 모형 : 학습에 대한 구성주의적 관점
귀납적 모형 : 개관 = 155
모형의 사회적 구조 = 156
귀납적 모형 : 이론적 관점 = 157
귀납적 모형의 목적 = 159
개념 : 공통적 특성을 가진 범주 = 159
개념 간의 관계 : 원리, 일반화, 관습적 규칙 = 153
귀납적 모형을 이용한 수업 계획 = 166
주제 설정하기 = 166
목표 상세화하기 = 167
사례 선택하기 = 168
귀납적 모형을 이용한 수업의 실행 = 174
1단계 : 수업 안내 = 174
2단계 : 확산적 단계 = 174
3단계 : 수렴적 단계 = 178
4단계 : 정리 = 180
5단계 : 적용 단계 = 181
귀납적 모형 : 사고와 이해에 대한 강조 = 183
학습자의 동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귀납적 모형의 사용 = 185
학생 흥미 개발 = 185
자아 효능감 증진 = 186
귀납적 모형의 유연성 = 187
사례 = 187
개인차의 조절 = 187
수업의 창의성 = 188
'즉석' 수업 = 188
수업의 길이 = 191
협동심 기르기 = 191
학생의 학습 평가 = 192
05 개념 획득 모형
개념 획득 모형 : 개요 = 212
모형의 사회적 구조 = 213
개념 획득 모형 : 이론적 관점 = 214
개념 획득 모형의 목적 = 215
내용 목적들 = 215
비판적 사고 개발 = 216
개념 획득 모형을 이용한 수업 계획 = 216
주제 설정하기 = 216
목표 상세화하기 = 216
예시 선택하기 = 217
예시와 비예시 계열화하기 = 219
개념 획득 모형을 이용한 수업의 실행 = 221
학생들에게 개념 획득 모형 소개 = 221
개념 획득 모형의 단계 = 222
학습동기와 자기조절의 증진을 위한 개념 획득 모형의 사용 = 226
개념 획득 활동 수행 : 수정 = 228
발전적인 고찰 = 228
개념 획득 Ⅱ와 개념 획득 Ⅲ = 229
개념 획득 활동의 학생 결과 평가 = 233
개념에 대한 이해도 평가 = 234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평가 = 236
06 통합적 수업 모형 : 조직화된 지식체계의 수업
통합적 수업 모형 : 개관 = 257
모형의 사회적 구조 = 258
교사의 역할 = 259
통합적 수업의 목적 = 261
조직화된 지식체계 : 사실, 개념, 일반화 사이의 관계 = 261
비판적 사고 개발 = 263
통합적 수업 모형을 이용한 수업 계획 = 264
주제 설정하기 = 264
목표 상세화하기 = 264
제시 자료 준비하기 = 265
통합적 수업 모형을 사용한 수업의 실행 = 268
1단계 : 경향을 묘사하고 비교하고 찾아보기 = 269
2단계 : 비슷한 점과 다른 점 설명하기 = 273
3단계 : 다른 조건에서 가설세우기 = 277
4단계 : 넓은 관계로 일반화하기 = 278
통합적 수업 모형에서의 학습동기 증진 = 280
통합적 수업 모형의 부분 수정 = 281
어린 아이들에게 통합적 수업 모형의 사용 = 281
효율성 증진 : 준비시간 감소 = 282
학습자중심의 통합적 수업 모형 만들기 = 291
통합적 수업 모형 활동의 평가 = 293
내용 결과의 평가 = 293
비판적 사고력의 측정 = 295
07 문제중심 학습 모형
문제중심 학습 모형 : 개요 = 306
문제중심 학습의 목표 = 306
모형의 이론적, 개념적 기초 = 308
문제해결 모형 = 310
문제해결 모형 : 개요 = 314
모형의 사회적 구조 = 314
문제해결 활동 계획 = 315
문제해결 수업 실행 = 316
사례중심 문제해결 = 320
탐구 모형 = 323
탐구 모형 : 개요 = 326
모형의 사회적 구조 = 327
탐구 활동 계획 = 328
탐구 수업 실행 = 333
문제중심 학습을 돕기 위해 기술 이용 = 341
수학에서의 문제중심 학습 : 제스퍼 시리즈 = 341
컴퓨터를 이용한 협동 학습 = 343
문제중심 학습에서 학습 동기 유발 증진 = 344
문제중심 학습에서 학습 평가 = 347
참평가와 문제중심 학습 = 347
탐구 수업에서 사례를 이용하여 이해를 평가 = 351
08 직접 교수 모형
직접 교수 모형 : 개관 = 373
모형의 사회적 구조 = 374
직접 교수 모형 : 이론적 관점 = 374
교사-효율성 연구 = 375
모델형성 : 다른 사람을 관찰함으로서 학습하기 = 376
비고츠스키 : 기능 학습의 사회적인 면 = 376
직접 교수 모형의 수업 계획 = 378
목표 상세화하기 = 378
선행지식 확인하기 = 380
예시와 문제 선택하기 = 381
직접 교수 모형을 이용한 수업의 실행 = 382
도입 = 383
제시 = 384
안내된 연습 = 386
독자적 연습 = 387
직접 교수 모형의 동기 증진 = 388
직접 교수 모형 : 변형 = 389
계획 = 390
수행 = 390
직접 교수와 다양성 = 394
학생 이해 평가 = 396
09 강의-토의 모형
강의-토의 모형 : 개관 = 412
강의-토의 모형 : 이론적 관점 = 412
스키마 이론 : 학생들의 배경지식에 관한 구조 = 413
유의미 언어학습 : 오슈벨의 연구 = 416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 = 418
강의-토의 수업에 대한 계획 = 420
목표 확인하기 = 420
학생들의 배경지식을 진단하기 = 421
내용 구성하기 = 422
선행 조직자 준비하기 = 426
강의-토의 모형을 이용한 수업의 실행 = 427
도입 = 428
제시 = 430
이해 점검 = 431
통합 = 433
정리와 결말 = 434
모형의 변형 = 434
내용을 제시하는 대안적인 방법 = 434
동기 증진과 집단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 438
강의-토의 수업에서 학생의 이해 평가 = 440
10 효과적 교수를 위한 적용
수업 모형 : 적응 = 459
목표 검토 = 459
모형 종합 = 462
모형과 목표 : 재검토 = 463
교수 전문성 : 수업 모형을 넘어서 = 464
참고문헌 = 471
찾아보기 = 47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