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인간은 자신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해 내는가. 지식의 습득과 이론 분석에 쾌감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아들러의 학문 체계에 별 흥미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그는 학자의 틀 안에 머물기보다, 일반 대중에게 인간성에 대한 믿음을 설파하고 사회를 긍정적으로 변모시키도록 돕는 데 사명과도 같은 관심을 두었기 때문이다. 아들러는 어린 시절 원치 않는 시련을 반복적으로 겪었지만, 무력하게 포기하지 않고 그것을 극복해 가는 과정에서 사회적 협력의 중요성을 절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