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실행 패러다임의 지향이라는 이유로 섣불리 경험적 지식을 근간으로 처방책을 진술하는 방향의 구현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 즉, 특정 문법 지식에 대한 모종의 교육적 구체물을 구안하는 일을 문법 교육 내용화의 구현 실제로 단순화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교육 내용의 실체화라는 작업을 광범위하게 매개하고 관통할 수 있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이를 이론화의 실천적 준거들로 환류할 필요가 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