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장학선과 오복녀의 창법을 중심으로 20세기 서도소리의 음악적 변천과정에 따른 창법을 살펴보다. 장학선은 서도소리가 대중적 인기를 누렸던 일제강점기에 자신의 예술성을 발휘하여 20세기 전기의 서도소리 창법을 대표하였고, 오복녀는 분단이후 무형문화재 지정을 통해 제도적 뒷받침에 힘입어 현행과 같은 서도소리 창법을 정리하여 전승의 토대를 공고히 하였다는 점에서 두 사람의 음악적 위상을 찾을 수 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