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3
서문 = 5
제1장 원시사회
제1절 원시군(原始群)에서 씨족제의 출현 = 13
제2절 씨족공동체 시기 = 16
제3절 고문헌(古文獻) 기록의 중국 원시사회 = 20
제2장 노예제도
제1절 하(夏) 노예제 국가의 형성 = 23
제2절 상(商) 노예사회의 발전 및 붕괴 = 27
1. 상의 흥기, 상 왕조의 건립과 발전 = 27
2. 상의 경제와 계급구조 = 29
3. 상의 정치제도 = 33
4. 상의 멸망 = 36
5. 상조(商朝)의 문화예술 = 37
제3장 중국 봉건사회의 개시
제1절 서주 중국 봉건영주제 사회 = 41
1, 주족(周族)의 흥기와 서주 봉건왕조의 건립 = 41
2. 서주의 경제구조와 계급관계 = 47
3. 서주의 정치제도 = 53
4. 주와 기타 민족과의 관계 = 55
5. 서주의 쇠망 = 59
제2절 춘춘 봉건영주제 경제의 발전과 지주경제의 맹아 = 61
1. 춘추시기의 정치형세 = 61
2. 춘추시기 경제발전과 봉건지주 토지소유제의 발생 = 70
3. 서주·춘추의 문화 = 73
제3절 전국 봉건영주제에서 지주제로 가는 과도의 시기 = 75
1. 사회경제의 발전 = 75
2. 각국의 변법과 군주집권의 형성 = 83
3. 7국의 겸병전쟁과 진의 통일 = 88
4. 소수민족 = 94
5. 전국의 문화 = 95
제4장 진·한 봉건 지주경제의 발전과 봉건통일국가 형성의 확립시기
제1절 진 - 통일적 봉건 전제국가의 형성 = 103
1. 진시황의 봉건 전제통치의 건립과 통일적 활동의 공고화 = 103
2. 진승(陳勝)·오광(吳廣)영도의 농민전쟁 = 109
제2절 서한 시기 통일적 봉건 전제국가의 확립 = 113
1. 서한 초기 '휴양생식'정책과 왕국 세력의 삭감 = 113
2. 서한 사회경제의 발전 = 120
3. 서한사회 각 계급의 상황 = 125
4. 한무제 시기 통일의 공고화와 전제주의 중앙집권제도의 강화 = 131
5. 서한 왕조와 변경 각 민족과의 관계 = 141
6. 계급모순의 발전과 왕망의 제도개혁 = 152
7. 녹림(綠林)·적미(赤眉) 대기의 = 160
제3절 동한시기 호강대족 세력의 확장과 통일국가의 와해 = 164
1. 봉건경제의 발전과 호강세력의 확장 = 164
2. 봉건 전제체제의 완비와 통치계급 내부의 모순 = 172
3. 동한 왕조와 변경 각 민족과의 관계 = 180
4. 동한 후기의 계급투쟁과 황건 대기의 = 188
제4절 진·한 시기의 문화 = 193
1. 철학과 종교 = 193
2. 사학·문학·예술 = 204
3. 자연과학 = 210
제5장 삼국·양진·남북조
제1절 삼국 정립과 서진의 짧은 통일 = 225
1. 봉건 할거세력의 혼전(混戰)과 삼국 정립국면의 형성 = 225
2. 위국(魏國)의 정치와 경제 = 229
3. 촉국(蜀國)의 정치와 경제 = 237
4. 오국(吳國)의 정치와 경제 = 240
5. 서진 통일부터 8왕의 난까지 = 245
6. 서·북 변강 각족의 내천(內遷) = 249
7. 한족 유민(流民)과 내천(內遷) 각족 인민의 대기의 = 254
제2절 16국 북조(北朝)의 민족투쟁과 민족융합 = 256
1. 16국 시기 각족 귀족의 봉건할거 = 256
2. 북위 전기(A.D 396~451) 각 민족 인민의 반압박투쟁 = 263
3. 북방사회 각 계급의 상황 = 267
4. 북위 중기(A.D 452~499)의 계급투쟁과 효문제의 개혁 = 271
5. 북위 후기(A.D 500~534)의 사회경제 = 277
6. 6진(六鎭)·관롱(關롱)·하북 등지 각 민족 인민 대기의 = 281
7. 북제(北齊)·북주(北周)의 단기간의 대치, 수(隋)의 남북통일 = 285
8. 북조(北朝)의 변경 각 민족 = 290
제3절 동진(東晋) 남조(南朝) 사회경제의 발전 = 296
1. 동진의 통치와 남북전쟁 = 296
2. 손은(孫恩)·노순(盧循)이 이끈 농민전쟁 = 303
3. 남조(南朝)의 통치 = 307
4. 남방의 사회경제와 계급상황 = 315
5. 남방 각 민족 = 323
제4절 삼국 양진(兩晋) 남북조의 문화 = 326
1. 현학과 종교 = 326
2. 사학, 문학과 예술 = 339
3. 자연과학 = 350
제6장 수(隋)·당(唐)
제1절 수(隋) - 통일국가의 재건 = 367
1. 남북통일 전후의 신국면 = 367
2. 변강 각족과 인근 국가들의 수와의 관계 = 372
3. 수말(隨末) 농민 대기의 = 375
제2절 당(唐) 전기 중앙집권 정치제도의 강화와 사회경제의 번영 = 378
1. 당 왕조의 건립과 중앙집권 정치경제의 강화 = 378
2. 당 초 생산의 회복과 발전을 위한 정치경제적 조치 = 383
3. 영휘(永徽)에서 개원(開元)초기까지의 정치발전 = 389
4. 당 전기 사회경제의 발전·번영 = 394
5. 개원(開元)·천보(天寶) 시기의 정치·군사상황 = 401
6. 당 전기의 변강 각족 = 406
제3절 당 후기의 정치경제 = 413
1. 안사(安史)의 난과 그 후의 정치군사형세 = 413
2. 양세법(兩稅法))의 실행과 사회경제의 회복·발전 = 417
3. 당 후기 통치계급 내부의 모순 = 422
4. 당조 말년의 농민기의 = 427
5. 변강 각국 = 434
제4절 수·당 문화 = 439
1. 철학과 종교 = 439
2. 사학과 지리학 = 446
3. 문학 = 449
4. 예술 = 455
5. 과학기술 = 459
제5절 당대 중국과 아주(亞洲) 각국의 경제문화 교류 = 463
역자 서문 = 3
서문 = 5
제1장 원시사회
제1절 원시군(原始群)에서 씨족제의 출현 = 13
제2절 씨족공동체 시기 = 16
제3절 고문헌(古文獻) 기록의 중국 원시사회 = 20
제2장 노예제도
제1절 하(夏) 노예제 국가의 형성 = 23
제2절 상(商) 노예사회의 발전 및 붕괴 = 27
1. 상의 흥기, 상 왕조의 건립과 발전 = 27
2. 상의 경제와 계급구조 = 29
3. 상의 정치제도 = 33
4. 상의 멸망 = 36
5. 상조(商朝)의 문화예술 = 37
제3장 중국 봉건사회의 개시
제1절 서주 중국 봉건영주제 사회 = 41
1, 주족(周族)의 흥기와 서주 봉건왕조의 건립 = 41
2. 서주의 경제구조와 계급관계 = 47
3. 서주의 정치제도 = 53
4. 주와 기타 민족과의 관계 = 55
5. 서주의 쇠망 = 59
제2절 춘춘 봉건영주제 경제의 발전과 지주경제의 맹아 = 61
1. 춘추시기의 정치형세 = 61
2. 춘추시기 경제발전과 봉건지주 토지소유제의 발생 = 70
3. 서주·춘추의 문화 = 73
제3절 전국 봉건영주제에서 지주제로 가는 과도의 시기 = 75
1. 사회경제의 발전 = 75
2. 각국의 변법과 군주집권의 형성 = 83
3. 7국의 겸병전쟁과 진의 통일 = 88
4. 소수민족 = 94
5. 전국의 문화 = 95
제4장 진·한 봉건 지주경제의 발전과 봉건통일국가 형성의 확립시기
제1절 진 - 통일적 봉건 전제국가의 형성 = 103
1. 진시황의 봉건 전제통치의 건립과 통일적 활동의 공고화 = 103
2. 진승(陳勝)·오광(吳廣)영도의 농민전쟁 = 109
제2절 서한 시기 통일적 봉건 전제국가의 확립 = 113
1. 서한 초기 '휴양생식'정책과 왕국 세력의 삭감 = 113
2. 서한 사회경제의 발전 = 120
3. 서한사회 각 계급의 상황 = 125
4. 한무제 시기 통일의 공고화와 전제주의 중앙집권제도의 강화 = 131
5. 서한 왕조와 변경 각 민족과의 관계 = 141
6. 계급모순의 발전과 왕망의 제도개혁 = 152
7. 녹림(綠林)·적미(赤眉) 대기의 = 160
제3절 동한시기 호강대족 세력의 확장과 통일국가의 와해 = 164
1. 봉건경제의 발전과 호강세력의 확장 = 164
2. 봉건 전제체제의 완비와 통치계급 내부의 모순 = 172
3. 동한 왕조와 변경 각 민족과의 관계 = 180
4. 동한 후기의 계급투쟁과 황건 대기의 = 188
제4절 진·한 시기의 문화 = 193
1. 철학과 종교 = 193
2. 사학·문학·예술 = 204
3. 자연과학 = 210
제5장 삼국·양진·남북조
제1절 삼국 정립과 서진의 짧은 통일 = 225
1. 봉건 할거세력의 혼전(混戰)과 삼국 정립국면의 형성 = 225
2. 위국(魏國)의 정치와 경제 = 229
3. 촉국(蜀國)의 정치와 경제 = 237
4. 오국(吳國)의 정치와 경제 = 240
5. 서진 통일부터 8왕의 난까지 = 245
6. 서·북 변강 각족의 내천(內遷) = 249
7. 한족 유민(流民)과 내천(內遷) 각족 인민의 대기의 = 254
제2절 16국 북조(北朝)의 민족투쟁과 민족융합 = 256
1. 16국 시기 각족 귀족의 봉건할거 = 256
2. 북위 전기(A.D 396~451) 각 민족 인민의 반압박투쟁 = 263
3. 북방사회 각 계급의 상황 = 267
4. 북위 중기(A.D 452~499)의 계급투쟁과 효문제의 개혁 = 271
5. 북위 후기(A.D 500~534)의 사회경제 = 277
6. 6진(六鎭)·관롱(關롱)·하북 등지 각 민족 인민 대기의 = 281
7. 북제(北齊)·북주(北周)의 단기간의 대치, 수(隋)의 남북통일 = 285
8. 북조(北朝)의 변경 각 민족 = 290
제3절 동진(東晋) 남조(南朝) 사회경제의 발전 = 296
1. 동진의 통치와 남북전쟁 = 296
2. 손은(孫恩)·노순(盧循)이 이끈 농민전쟁 = 303
3. 남조(南朝)의 통치 = 307
4. 남방의 사회경제와 계급상황 = 315
5. 남방 각 민족 = 323
제4절 삼국 양진(兩晋) 남북조의 문화 = 326
1. 현학과 종교 = 326
2. 사학, 문학과 예술 = 339
3. 자연과학 = 350
제6장 수(隋)·당(唐)
제1절 수(隋) - 통일국가의 재건 = 367
1. 남북통일 전후의 신국면 = 367
2. 변강 각족과 인근 국가들의 수와의 관계 = 372
3. 수말(隨末) 농민 대기의 = 375
제2절 당(唐) 전기 중앙집권 정치제도의 강화와 사회경제의 번영 = 378
1. 당 왕조의 건립과 중앙집권 정치경제의 강화 = 378
2. 당 초 생산의 회복과 발전을 위한 정치경제적 조치 = 383
3. 영휘(永徽)에서 개원(開元)초기까지의 정치발전 = 389
4. 당 전기 사회경제의 발전·번영 = 394
5. 개원(開元)·천보(天寶) 시기의 정치·군사상황 = 401
6. 당 전기의 변강 각족 = 406
제3절 당 후기의 정치경제 = 413
1. 안사(安史)의 난과 그 후의 정치군사형세 = 413
2. 양세법(兩稅法))의 실행과 사회경제의 회복·발전 = 417
3. 당 후기 통치계급 내부의 모순 = 422
4. 당조 말년의 농민기의 = 427
5. 변강 각국 = 434
제4절 수·당 문화 = 439
1. 철학과 종교 = 439
2. 사학과 지리학 = 446
3. 문학 = 449
4. 예술 = 455
5. 과학기술 = 459
제5절 당대 중국과 아주(亞洲) 각국의 경제문화 교류 =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