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이영훈 = 5
총론 / 이대근 = 21
제1부 전통사회의 경제와 그 이행
제1장 조선 후기의 경제체제 : 中國ㆍ日本과의 비교론적 접근 / 박이택 = 37
Ⅰ. 머리말 = 37
Ⅱ. 집약적 소농경제의 성립과 시장규율 = 39
1. 동북아시아 소농경제의 특질 = 39
2. 집약적 소농경제의 성립과정 = 40
3. 18세기 소농경제의 생산성 = 43
4. 근로혁명과 시장규율 = 46
Ⅲ. 유통과 저장으로 본 미곡경제 = 47
1. 18세기 조선의 미곡유통 = 47
2. 미곡유통구조의 比較史 = 49
3. 미곡저장제도의 比較史 = 53
Ⅳ. 銀貨와 銅錢의 유통으로 본 화폐경제 = 56
1. 17세기 은화와 동전의 유통 = 56
2. 18세기 銀화경제의 소멸과 불완전한 銅錢경제 = 58
Ⅴ. 18세기 분배경제와 비시장경제적 특질 = 60
1. 均平과 安定을 지향한 국가개조 = 60
2. 재분배경제의 비시장경제적 특질 = 62
3. 細胞質型 시장경제와 전문화 및 혁신의 시장경제 = 65
Ⅵ. 맺음말 = 66
제2장 조선 후기의 생활수준 / 박기주 = 69
Ⅰ. 머리말 = 69
Ⅱ. 1인당耕地面積 = 71
Ⅲ. 土地生産性의 변화 = 79
Ⅳ. 취업기회와 임금수준 = 89
Ⅴ. 시장과 물가 = 96
Ⅵ. 맺음말 = 101
부록 = 103
제3장 전통적 경제체제의 전환 - 재분배경제에서 시장경제로 / 김재호 = 105
Ⅰ. 머리말 = 105
Ⅱ. 조선 후기의 경제통합과 재분배체제 = 107
Ⅲ. 재분배체제의 위기와 개항의 충격 = 114
Ⅳ. 대한제국과 시장경제의 전망 = 126
Ⅴ. 맺음말 = 136
제2부 국제관계와 시장경제제도의 발달
제4장 개항기ㆍ식민지기 국제경제관계 / 이헌창 = 141
Ⅰ. 국제경제관계의 획기 = 141
Ⅱ. 개항기 국제경제관계 = 144
1. 개항 이전 경제교류의 특성 = 144
2. 개항기 경제교류의 진전 = 146
3. 개항기 경제교류의 의의 = 153
Ⅲ. 식민지기 域外 경제관계 = 156
1. 일본경제권으로의 편입 = 156
2. 역외 경제관계의 확대 = 157
3. 식민지기 역외 경제관계의 영향 = 161
제5장 경제발전과 국제적 계기 / 이대근 = 165
Ⅰ. 序 - '국제적 계기'의 중요성 = 165
Ⅱ. 전후 세계경제의 재편과 한국경제 = 168
1. 세계경제 재편과 IMF/GATT체제 = 168
2. 8ㆍ15해방의 경제적 의의 = 171
Ⅲ. 1950년대 원조도입과 시장경제제도의 확립 = 175
Ⅳ. 1960년대 원조의 借款으로의 전환과 경제계획 = 179
1. 1960년대 미국 원조정책의 방향전환 = 179
2. 외자도입과 경제개발계획의 추진 = 181
Ⅴ. 1980년대 전환기적 성격과 경제개방화 = 185
Ⅵ. 맺음말 - 1997년의 외환위기와 관련하여 = 189
제6장 시장경제제도의 성립과 발전 / 이영훈 = 193
Ⅰ. 문제의 제기 = 193
Ⅱ. 사유재산제도의 성립 = 196
1. 근대적 民法의 도입 = 196
2. '朝鮮土地調査事業'의 실시 = 200
Ⅲ. 시장기구의 발달 = 204
1. 市場의 발달 = 205
2. 店鋪의 확대 = 207
3. 會社의 발달 = 209
4. 去來所의 발달 = 211
Ⅳ. 시장통합의 진전 = 213
Ⅴ. 맺음말 = 216
제7장 금융제도의 형성과 발전 / 이명휘 = 219
Ⅰ. 머리말 = 219
Ⅱ. 근대적 금융제도의 도입과 정착 = 221
1. 식민지 통화금융제도의 성립 = 221
2. 이중구조의 형성 = 223
3. 증권제도의 이식과 자본시장의 출현 = 229
Ⅲ. 해방 직후의 금융제도 재편 = 231
1. 통화금융제도의 개편 = 232
2. 私金融市場의 번성 = 236
3. 자본시장의 停止와 자금조달경로 = 240
Ⅳ. 금융제도의 정비와 금융시장의 확대 = 242
1. 개발자금의 조달과 금리현실화 = 242
2. 私金融市場의 제도화와 양성화 = 244
3. 중화학공업화를 위한 자금동원 = 247
Ⅴ. 맺음말 = 249
제3부 경제성장과 공업화전략
제8장 근현대 농업의 성장과 구조변동 / 장시원 = 253
Ⅰ. 머리말 = 253
Ⅱ. 식민지기 농업구조의 변화 = 254
1. 농업생산의 동향과 구조변화 = 254
2. 지주제와 소농민경영의 동향 = 260
Ⅲ. 농지개혁과 농지제도의 변화 = 263
1. 농지개혁과 자작농체제의 성립 = 263
2. 借地關係의 확대와 그 성격 = 266
Ⅳ. 1960년대 이후 농업의 성장과 변화 = 270
1. 농업생산의 동향과 구조변화 = 271
2. 농가경제의 변화 = 275
Ⅴ. 맺음말 = 281
제9장 식민지기 공업화의 전개 / 김낙년 = 283
Ⅰ. 머리말 = 283
Ⅱ. 공업화와 구조변화 : 장기적 추세 = 286
Ⅲ. 공업화정책의 평가 = 292
Ⅳ. 공산품시장과 자금조달 = 299
Ⅴ. 해방후로의 단절과 연속 = 308
제10장 식민지기 조선인의 생활수준 - 논쟁의 재검토 / 주익종 = 317
Ⅰ. 머리말 = 317
Ⅱ. 식민지기 국민소득과 소비의 동향 = 319
1. 1인당 소득ㆍ소비수준과 그 변동 = 319
2. 민족간 소득분배의 검토 = 322
Ⅲ. 계층별 임금과 수입 = 329
Ⅳ. 영양상태와 교육 = 333
1. 식량소비와 영양상태 = 333
2. 교육 = 343
Ⅴ. 맺음말 = 345
제11장 외국원조와 수입대체공업화 / 최상오 = 349
Ⅰ. 머리말 = 349
Ⅱ. 공업화의 초기조건 = 351
1. 미군정기의 경제동향 = 351
2. 한국전쟁의 영향 = 354
Ⅲ. 경제부흥계획과 원조 = 356
1. 경제부흥계획 = 357
2. 외국원조 = 361
Ⅳ. 수입대체 공업화정책의 전개 = 363
1. 원조물자의 구성 = 364
2. 환율정책 = 367
Ⅴ. 수입대체공업화의 성과 = 371
Ⅵ. 맺음말 = 374
제12장 수출주도공업화전략으로의 전환과 성과 / 이상철 = 377
Ⅰ. 머리말 = 377
Ⅱ. 수입대체, 수출주도 그리고 수출대체 = 378
1. 수입대체정책의 전개 = 378
2. 수출주도정책의 전개 = 381
3. 수출대체정책의 전개 = 385
Ⅲ. 수입대체에서 수출주도로의 정책전환 = 387
1. 1950년대의 무역정책 = 387
2. 1960년대초의 정책전환 = 391
Ⅳ. 수출대체와 경제성장 = 397
Ⅴ. 맺음말 = 400
제13장 구조변동과 중화학공업화 / 박영구 = 403
Ⅰ. 머리말 - 중화학공업화 연구의 의의 = 403
Ⅱ. 중화학공업화의 경과와 개발 내용 = 404
1. 중화학공업화 정책의 추진 배경과 경과 = 404
2. 추진과정과 주요 내용 = 406
3. 정책의 중단과 조정 = 410
Ⅲ. 개발전략과 특징 = 411
1. 규모의 경제와 해외시장 지향 전략 = 411
2. 민간 개발 주체 및 民需(민수) 중심 전략 = 414
3. 수요견인 전략 = 417
Ⅳ. 중화학공업화의 성과와 문제점 = 418
1. 공업구조의 변동 = 418
2. 문제점과 평가 = 422
Ⅴ. 맺음말 - 중화학공업화의 역사적 성격과 시사점 = 427
제4부 과제와 전망
제14장 기업집단과 재벌정책 / 신장섭 = 431
Ⅰ. 머리말 = 431
Ⅱ. 재벌조직의 보편성과 그 확장의 원리 = 432
Ⅲ. 재벌의 '비효율성'批判에 대한 反批判 = 439
Ⅳ. 재벌의 '비민주성'批判에 대한 反批判 = 447
Ⅴ. 금융위기 이후의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평가 = 451
Ⅵ. 중진국 경제와 기업집단 = 455
Ⅶ. 맺음말 = 460
제15장 노동정책과 노사관계 / 박덕제 = 463
Ⅰ. 서론 = 463
Ⅱ. 한국 노동정책의 史的 개관 = 465
1. 노사관계정책 = 465
2. 노동시장정책 = 470
Ⅲ. 1980년대 후반 이후 노동정책과 인력관리 = 475
1. 1987년 변화의 의미 = 475
2. 노동정책 = 477
3. 노사관계의 관리 = 480
Ⅳ. 무원칙한 노동정책과 노무관리의 영향 = 483
1. 파업으로 인한 손실 = 483
2. 경쟁력 하락과 임금ㆍ생산성간 괴리 = 483
3. 비정규 근로자의 증가와 기업 규모별 임금격차 확대 = 486
Ⅴ. 노사관계의 안정과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방안 = 490
제16장 금융시장 개방화와 정책과제 / 김석진 = 493
Ⅰ. 금융자율화와 금융시장 개방 = 493
1. 금융규제로부터 자율화로의 전환 = 493
2. OECD 가입과 금융개선의 한계 = 497
Ⅱ. IMF 구제금융과 금융구조조정 = 498
1. IMF 구제금융의 원인 = 498
2. 금융구조조정 = 500
Ⅲ. 금융업의 구조전환과 불균형의 심화 = 504
1. 신용카드업의 급성장과 신용위기 = 504
2. 기업금융의 위축 = 505
3. 외국금융의 확장 = 506
4. 간접투자업의 변환 = 507
5. 非銀行圈의 위축 = 508
6. 지방금융의 축소 = 509
Ⅳ. 금융산업의 정책과제 = 510
1. 신용사회의 정착 = 510
2. 기업금융의 활성화 = 511
3. 국내금융의 경쟁력 강화 = 512
4. 간접투자업의 건전한 발전 = 513
5. 금융업의 균형적 발전 = 514
6. 지방금융의 역할 제고 = 515
7. 금융시스템의 최적화 = 516
8. 동북아 금융허브의 모색 = 517
제17장 한국경제의 국제화 전략 / 이대근 = 521
Ⅰ. 머리말 = 521
Ⅱ. 최근의 세계경제 동향 = 523
1. 세계경제의 리저널化 = 523
2. 글로벌化와 FTA전략 = 525
Ⅲ. 동아시아 경제발전과 역내협력 = 530
1. 아시아 NIEs의 후퇴와 중국경제의 부상 = 530
2. 동아시아 域內協力의 세 가지 길 = 533
Ⅳ. 신발전모델과 한국의 국제화 전략 = 538
1. NIEs型 성장모델의 한계 = 538
2. 한국의 대응전략 = 541
Ⅴ. 맺음말 - 민족과 경제의 트레이드 옵 = 545
도ㆍ표목차 = 549
참고문헌 = 553
색인 = 577
필자약력 = 590
발간사 / 이영훈 = 5
총론 / 이대근 = 21
제1부 전통사회의 경제와 그 이행
제1장 조선 후기의 경제체제 : 中國ㆍ日本과의 비교론적 접근 / 박이택 = 37
Ⅰ. 머리말 = 37
Ⅱ. 집약적 소농경제의 성립과 시장규율 = 39
1. 동북아시아 소농경제의 특질 = 39
2. 집약적 소농경제의 성립과정 = 40
3. 18세기 소농경제의 생산성 = 43
4. 근로혁명과 시장규율 = 46
Ⅲ. 유통과 저장으로 본 미곡경제 = 47
1. 18세기 조선의 미곡유통 = 47
2. 미곡유통구조의 比較史 = 49
3. 미곡저장제도의 比較史 = 53
Ⅳ. 銀貨와 銅錢의 유통으로 본 화폐경제 = 56
1. 17세기 은화와 동전의 유통 = 56
2. 18세기 銀화경제의 소멸과 불완전한 銅錢경제 = 58
Ⅴ. 18세기 분배경제와 비시장경제적 특질 = 60
1. 均平과 安定을 지향한 국가개조 = 60
2. 재분배경제의 비시장경제적 특질 = 62
3. 細胞質型 시장경제와 전문화 및 혁신의 시장경제 = 65
Ⅵ. 맺음말 = 66
제2장 조선 후기의 생활수준 / 박기주 = 69
Ⅰ. 머리말 = 69
Ⅱ. 1인당耕地面積 = 71
Ⅲ. 土地生産性의 변화 = 79
Ⅳ. 취업기회와 임금수준 = 89
Ⅴ. 시장과 물가 = 96
Ⅵ. 맺음말 = 101
부록 = 103
제3장 전통적 경제체제의 전환 - 재분배경제에서 시장경제로 / 김재호 = 105
Ⅰ. 머리말 = 105
Ⅱ. 조선 후기의 경제통합과 재분배체제 = 107
Ⅲ. 재분배체제의 위기와 개항의 충격 = 114
Ⅳ. 대한제국과 시장경제의 전망 = 126
Ⅴ. 맺음말 = 136
제2부 국제관계와 시장경제제도의 발달
제4장 개항기ㆍ식민지기 국제경제관계 / 이헌창 = 141
Ⅰ. 국제경제관계의 획기 = 141
Ⅱ. 개항기 국제경제관계 = 144
1. 개항 이전 경제교류의 특성 = 144
2. 개항기 경제교류의 진전 = 146
3. 개항기 경제교류의 의의 = 153
Ⅲ. 식민지기 域外 경제관계 = 156
1. 일본경제권으로의 편입 = 156
2. 역외 경제관계의 확대 = 157
3. 식민지기 역외 경제관계의 영향 = 161
제5장 경제발전과 국제적 계기 / 이대근 = 165
Ⅰ. 序 - '국제적 계기'의 중요성 = 165
Ⅱ. 전후 세계경제의 재편과 한국경제 = 168
1. 세계경제 재편과 IMF/GATT체제 = 168
2. 8ㆍ15해방의 경제적 의의 = 171
Ⅲ. 1950년대 원조도입과 시장경제제도의 확립 = 175
Ⅳ. 1960년대 원조의 借款으로의 전환과 경제계획 = 179
1. 1960년대 미국 원조정책의 방향전환 = 179
2. 외자도입과 경제개발계획의 추진 = 181
Ⅴ. 1980년대 전환기적 성격과 경제개방화 = 185
Ⅵ. 맺음말 - 1997년의 외환위기와 관련하여 = 189
제6장 시장경제제도의 성립과 발전 / 이영훈 = 193
Ⅰ. 문제의 제기 = 193
Ⅱ. 사유재산제도의 성립 = 196
1. 근대적 民法의 도입 = 196
2. '朝鮮土地調査事業'의 실시 = 200
Ⅲ. 시장기구의 발달 = 204
1. 市場의 발달 = 205
2. 店鋪의 확대 = 207
3. 會社의 발달 = 209
4. 去來所의 발달 = 211
Ⅳ. 시장통합의 진전 = 213
Ⅴ. 맺음말 = 216
제7장 금융제도의 형성과 발전 / 이명휘 = 219
Ⅰ. 머리말 = 219
Ⅱ. 근대적 금융제도의 도입과 정착 = 221
1. 식민지 통화금융제도의 성립 = 221
2. 이중구조의 형성 = 223
3. 증권제도의 이식과 자본시장의 출현 = 229
Ⅲ. 해방 직후의 금융제도 재편 = 231
1. 통화금융제도의 개편 = 232
2. 私金融市場의 번성 = 236
3. 자본시장의 停止와 자금조달경로 = 240
Ⅳ. 금융제도의 정비와 금융시장의 확대 = 242
1. 개발자금의 조달과 금리현실화 = 242
2. 私金融市場의 제도화와 양성화 = 244
3. 중화학공업화를 위한 자금동원 = 247
Ⅴ. 맺음말 = 249
제3부 경제성장과 공업화전략
제8장 근현대 농업의 성장과 구조변동 / 장시원 = 253
Ⅰ. 머리말 = 253
Ⅱ. 식민지기 농업구조의 변화 = 254
1. 농업생산의 동향과 구조변화 = 254
2. 지주제와 소농민경영의 동향 = 260
Ⅲ. 농지개혁과 농지제도의 변화 = 263
1. 농지개혁과 자작농체제의 성립 = 263
2. 借地關係의 확대와 그 성격 = 266
Ⅳ. 1960년대 이후 농업의 성장과 변화 = 270
1. 농업생산의 동향과 구조변화 = 271
2. 농가경제의 변화 = 275
Ⅴ. 맺음말 = 281
제9장 식민지기 공업화의 전개 / 김낙년 = 283
Ⅰ. 머리말 = 283
Ⅱ. 공업화와 구조변화 : 장기적 추세 = 286
Ⅲ. 공업화정책의 평가 = 292
Ⅳ. 공산품시장과 자금조달 = 299
Ⅴ. 해방후로의 단절과 연속 = 308
제10장 식민지기 조선인의 생활수준 - 논쟁의 재검토 / 주익종 = 317
Ⅰ. 머리말 = 317
Ⅱ. 식민지기 국민소득과 소비의 동향 = 319
1. 1인당 소득ㆍ소비수준과 그 변동 = 319
2. 민족간 소득분배의 검토 = 322
Ⅲ. 계층별 임금과 수입 = 329
Ⅳ. 영양상태와 교육 = 333
1. 식량소비와 영양상태 = 333
2. 교육 = 343
Ⅴ. 맺음말 = 345
제11장 외국원조와 수입대체공업화 / 최상오 = 349
Ⅰ. 머리말 = 349
Ⅱ. 공업화의 초기조건 = 351
1. 미군정기의 경제동향 = 351
2. 한국전쟁의 영향 = 354
Ⅲ. 경제부흥계획과 원조 = 356
1. 경제부흥계획 = 357
2. 외국원조 = 361
Ⅳ. 수입대체 공업화정책의 전개 = 363
1. 원조물자의 구성 = 364
2. 환율정책 = 367
Ⅴ. 수입대체공업화의 성과 = 371
Ⅵ. 맺음말 = 374
제12장 수출주도공업화전략으로의 전환과 성과 / 이상철 = 377
Ⅰ. 머리말 = 377
Ⅱ. 수입대체, 수출주도 그리고 수출대체 = 378
1. 수입대체정책의 전개 = 378
2. 수출주도정책의 전개 = 381
3. 수출대체정책의 전개 = 385
Ⅲ. 수입대체에서 수출주도로의 정책전환 = 387
1. 1950년대의 무역정책 = 387
2. 1960년대초의 정책전환 = 391
Ⅳ. 수출대체와 경제성장 = 397
Ⅴ. 맺음말 = 400
제13장 구조변동과 중화학공업화 / 박영구 = 403
Ⅰ. 머리말 - 중화학공업화 연구의 의의 = 403
Ⅱ. 중화학공업화의 경과와 개발 내용 = 404
1. 중화학공업화 정책의 추진 배경과 경과 = 404
2. 추진과정과 주요 내용 = 406
3. 정책의 중단과 조정 = 410
Ⅲ. 개발전략과 특징 = 411
1. 규모의 경제와 해외시장 지향 전략 = 411
2. 민간 개발 주체 및 民需(민수) 중심 전략 = 414
3. 수요견인 전략 = 417
Ⅳ. 중화학공업화의 성과와 문제점 = 418
1. 공업구조의 변동 = 418
2. 문제점과 평가 = 422
Ⅴ. 맺음말 - 중화학공업화의 역사적 성격과 시사점 = 427
제4부 과제와 전망
제14장 기업집단과 재벌정책 / 신장섭 = 431
Ⅰ. 머리말 = 431
Ⅱ. 재벌조직의 보편성과 그 확장의 원리 = 432
Ⅲ. 재벌의 '비효율성'批判에 대한 反批判 = 439
Ⅳ. 재벌의 '비민주성'批判에 대한 反批判 = 447
Ⅴ. 금융위기 이후의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평가 = 451
Ⅵ. 중진국 경제와 기업집단 = 455
Ⅶ. 맺음말 = 460
제15장 노동정책과 노사관계 / 박덕제 = 463
Ⅰ. 서론 = 463
Ⅱ. 한국 노동정책의 史的 개관 = 465
1. 노사관계정책 = 465
2. 노동시장정책 = 470
Ⅲ. 1980년대 후반 이후 노동정책과 인력관리 = 475
1. 1987년 변화의 의미 = 475
2. 노동정책 = 477
3. 노사관계의 관리 = 480
Ⅳ. 무원칙한 노동정책과 노무관리의 영향 = 483
1. 파업으로 인한 손실 = 483
2. 경쟁력 하락과 임금ㆍ생산성간 괴리 = 483
3. 비정규 근로자의 증가와 기업 규모별 임금격차 확대 = 486
Ⅴ. 노사관계의 안정과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방안 = 490
제16장 금융시장 개방화와 정책과제 / 김석진 = 493
Ⅰ. 금융자율화와 금융시장 개방 = 493
1. 금융규제로부터 자율화로의 전환 = 493
2. OECD 가입과 금융개선의 한계 = 497
Ⅱ. IMF 구제금융과 금융구조조정 = 498
1. IMF 구제금융의 원인 = 498
2. 금융구조조정 = 500
Ⅲ. 금융업의 구조전환과 불균형의 심화 = 504
1. 신용카드업의 급성장과 신용위기 = 504
2. 기업금융의 위축 = 505
3. 외국금융의 확장 = 506
4. 간접투자업의 변환 = 507
5. 非銀行圈의 위축 = 508
6. 지방금융의 축소 = 509
Ⅳ. 금융산업의 정책과제 = 510
1. 신용사회의 정착 = 510
2. 기업금융의 활성화 = 511
3. 국내금융의 경쟁력 강화 = 512
4. 간접투자업의 건전한 발전 = 513
5. 금융업의 균형적 발전 = 514
6. 지방금융의 역할 제고 = 515
7. 금융시스템의 최적화 = 516
8. 동북아 금융허브의 모색 = 517
제17장 한국경제의 국제화 전략 / 이대근 = 521
Ⅰ. 머리말 = 521
Ⅱ. 최근의 세계경제 동향 = 523
1. 세계경제의 리저널化 = 523
2. 글로벌化와 FTA전략 = 525
Ⅲ. 동아시아 경제발전과 역내협력 = 530
1. 아시아 NIEs의 후퇴와 중국경제의 부상 = 530
2. 동아시아 域內協力의 세 가지 길 = 533
Ⅳ. 신발전모델과 한국의 국제화 전략 = 538
1. NIEs型 성장모델의 한계 = 538
2. 한국의 대응전략 = 541
Ⅴ. 맺음말 - 민족과 경제의 트레이드 옵 = 545
도ㆍ표목차 = 549
참고문헌 = 553
색인 = 577
필자약력 = 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