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해양관광개발의 이론과 현황
제1장 해양관광의 개발
제1절 해양의 개념 및 특성23
1. 해양의 개념23
2. 해양의 특성24
제2절 해양관광의 개요26
1. 해양관광의 개념과 특성26
2. 해양관광의 유형29
제2장 해양관광의 현황 및 전망
제1절 해양관광의 현황32
1. 방문횟수 및 지역33
1) 바닷가 여행횟수33
2) 계절별 여행횟수33
3) 방문지역33
2. 해양관광활동 및 시설의 내용34
1) 참가한 해양관광활동34
2) 원하는 시설 및 활동37
3. 여행행태 및 해외경험40
1) 바닷가여행시 주로 이용하는 장거리 교통편40
2) 바닷가여행시 주로 이용하는 숙박시설40
3) 바닷가여행시 느끼는 문제점40
4) 해외 해양관광지 방문경험40
제2절 해양관광의 전망41
1. 해양관광수용에 대한 전망42
2. 해양관광장비에 대한 전망43
제3장 해양 관광자원
제1절 해양관광자원의 특성44
1. 관광자원의 개념44
1) 자원의 개념44
2) 관광자원의 정의와 특징46
2. 해양관광자원의 정의49
제2절 해양관광자원의 종류51
1. 자연자원53
1) 해수욕장53
2) 바다낚시터53
3) 갯벌 및 철새도래지54
4) 해안경관지55
5) 해양 스포츠공간56
6) 기타58
2. 인문자원59
1) 해양관련 전시시설 및 수족관59
2) 지역축제63
3) 바다음식63
4) 어구,어법64
5) 어항 및 항만65
제4장 해양관광 개발의 개요
제1절 해양관광개발의 개념 및 특성66
1. 해양관광개발의 개념66
2. 해양관광개발의 특성과 필요성69
1) 자연조건에 대한 높은 의존도69
2) 입지에 따른 지역사회와의 마찰가능성70
3) 어메니티 수준에 의한 제약71
4) 해양관광개발의 필요성72
제2절 해양관광개발계획74
1. 전제조건75
2. 시설계획의 기본적 사고방식75
3. 계획요건77
1) 계획조건의 정리77
2) 원활한 이용79
3) 자질의 활용79
4) 공생환경의 창출80
5) 위화감의 배제81
4. 각종 환경에 대한 배려81
1) 자연환경에 대한 배려82
2) 생태계에 대한 배려82
3) 어업활동에 대한 배려83
4) 자연경관에 대한 배려84
5) 주변환경에 대한 배려85
5. 계획결정의 단계85
1) 조사,분석86
2) 기본구상86
3) 기본계획87
4) 실시계획87
5) 사업계획87
6. 계획의 내용87
제5장 국내의 해양관광 개발
제1절 국내 해양관광개발의 현황90
1. 해안별 지형 및 관광개발의 특성90
1) 서해안90
2) 남해안91
3) 동해안91
4) 제주해안91
2. 해양관광개발 현황93
제2절 국내 해양관광개발의 문제점과 방향97
1. 국내 해양관광개발의 문제점97
1) 해양에 관한 국민인식 및 이용에 관한 문제98
2) 해양관광자원개발에 관한 문제99
3) 해양환경과의 조화문제102
4) 교통불편 및 접근성 불량103
2. 해양관광개발의 방향103
1) 10개 해양관광개발권역 지정103
2) 남해안 관광벨트 개발계획105
3) 국립해양박물관 및 지역별 해양과학관 건립107
4) 해양 레저,스포츠산업 진흥107
5) 크루즈관광 및 해상호텔산업 육성108
6) 해수욕장 자원의 보전과 정비108
7) 다양한 해양관광단지 개발109
8) 4계절형 해양관광자원 개발109
9) 도서지역 관광지개발 활성화109
10) 해양공원 조성109
11) 항만친수공간 조성110
12) 어촌 문화관광상품의 개발110
13) 해양환경과 조화된 해양관광자원 개발110
제3절 전국해양공간의 권역별,유형별 개발구상110
1. 경기,인천권111
2. 충청해안권112
3. 변산권114
4. 서다도해권115
5. 남다도해권116
6. 한려해상권117
7. 부산,경주권118
8. 동해남부권119
9. 동해북부권121
10. 제주한라권122
제6장 외국의 해양관광 개발
제1절 미주124
1. 미국124
1) 베니스 보드웍125
2) 마리나 델 레이125
3) 산타모니카 피어125
4) 기타125
2. 캐나다127
제2절 유럽과 호주129
1. 유럽129
2. 호주130
제3절 아시아주131
1. 일본131
1) 하우스 텐 보스131
2) 도쿄항의 해상공원132
3) 요코하마의 미나토미라이 21 = 133
4) 요코하마의 하케지마134
2. 싱가포르134
3. 말레이지아135
제4절 국외 해양관광개발의 시사점136
1. 시설의 복합화를 통한 단지화136
2. 자연과 레저의 조화137
3. 장기의 계획과 투자137
제7장 해양관광 개발정책
제1절 해양관광 개발정책의 개념 및 특성139
1. 해양관광 개발정책의 개념139
2. 해양관광 개발정책의 특성141
제2절 국내 해양관광 개발정책144
1. 국내 해양관광 개발정책의 문제점144
1) 해양관광 관련제도 및 법규의 미비와 해양관리주체의 다원화144
2) 해양관광자원에 대한 조사와 상품화 정책미흡146
3) 차별성과 환경보전노력이 부족한 해양관광 개발정책146
4)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정책우선순위 낮음147
2. 해양수산부의 해양관광 개발정책147
3. 국내 해양관광 개발을 위한 정책개선방안149
1) 해양관광정책 주체별 역할정립149
2) 해양관광시설에 대한 법률적,제도적 기반마련149
3) 해양관광자원에 대한 체계적 조사와 평가 및 중장기 개발 계획 수립150
4) 다양한 해양관광상품의 개발정책 추진150
5) 해양관광 개발정책의 우선순위 확보 및 환경보전151
6) 해양관광의 국제화와 국제협력 강화정책의 추진151
7) 계절한계성 극복152
8) 지속가능한 해양관광개발153
9) 국민의 해양의식 강화정책의 추진154
10) 정보시대에 걸맞는 해양관광 시스템 구축155
11) 해양관광을 위한 해역의 지정관리155
12) 해양관광 인프라 구축156
13) 해양관광 기술증진과 전문가양성 및 안전관리체제 확립157
14) 해양수산부의 해양관광정책 강화157
제3절 해양관광 관련법규158
1. 해양관련법규158
2. 해양관광 관련법규160
1) 기반시설측면160
2) 인,허가측면160
3) 선박,선원측면161
4) 입,출항측면161
5) 환경오염방지와 안전측면161
6) 기타162
제2편 해양관광개발의 실제
제8장 해양관광 시설의 개발
제1절 해수욕장168
1. 해수욕장의 현황 및 시설168
1) 해수욕장의 현황 및 문제점168
2) 해수욕장의 시설171
2. 해수욕장의 정비과제172
3. 해수욕장의 입지조건173
제2절 마리나174
1. 마리나의 개념 및 분류174
2. 마리나의 기능175
1) 계류기능176
2) 보관기능176
3) 인양기능176
4) 수리,점검기능176
5) 보급,청소기능177
6) 정보제공기능177
7) 숙박,휴식기능177
8) 연수,교육기능177
9) 안전관리기능178
10) 문화교류기능178
3. 마리나의 입지조건179
1) 자연환경적 조건179
2) 활동상의 조건181
3) 사회적 조건182
4. 마리나의 시설183
제3절 해양공원과 해중공원184
1. 해양공원184
1) 해양공원의 개념184
2) 해양공원의 분류185
2. 해중공원187
1) 해중공원의 개념 및 특성187
2) 해중공원의 입지조건189
3) 해중공원의 시설190
4) 해중공원의 적지191
5) 해중공원의 연혁 및 관련법제192
6) 해중전망탑 193
7) 외국의 해중공원 관련법률 검토194
제4절 관광수족관197
1. 수족관의 개념197
2. 수족관의 역사 및 현황198
1)수족관의 역사198
2)수족관의 현황199
3) 우리나라의 수족관204
3. 수족관의 분류 및 기능205
1)수족관의 분류205
2)수족관의 기능207
4. 관광수족관의 개발207
5. 향후 발전방향
1) 사회환경의 변화211
2) 기술의 발달212
3) 차세대 수조고간 전망213
제9장 해양 레포츠 관광의 개발
제1절 낚시 216
1. 낚시의 역사216
2. 낚시의 종류218
1) 바다낚시218
2) 민물낚시221
3. 낚시도구222
1) 낚싯대223
2)낚싯줄223
3)바늘223
4)봉돌224
5)찌224
6)릴224
7)미끼225
8)살림망225
4. 바다낚시의 유형224
1)트롤링225
2)선상낚시226
5. 바다낚시공원226
1)바다낚시공원의 개념226
2)바다낚시공원 개발의 적지성 및 입지조건228
3)일본의 코베 시립바다 낚시공원 사례232
제2장 보우팅235
1. 수상스키235
1) 수상스키의 역사235
2) 수상스키의 요소236
2. 수상오토바이237
1) 정의와 어원237
2) 역사적 배경 및 재료237
3. 패러세일링239
1) 어원과 역사239
2) 양력의 원리 240
3) 기상 및 해상조건240
4. 서핑241
1) 어원과 역사241
2) 서핑의 이해242
제3절 세일링과 경정243
1. 세일링243
1) 세일링의 개념243
2) 요트의 역사244
3) 모터요트245
4)윈드서핑246
2. 경정253
2) 어원과 역사253
2) 경기용 엔진의 발달254
3) 경정의 경주방법255
제4절 다이빙
257
1. 다이빙의 개념 및 역사257
1) 다이빙의 개념257
2) 다이빙의 역사258
2. 다이빙활동259
1)날씨260
2)수온의 변이260
3)물결의 흐름260
4)역류261
5)협류261
3. 다이빙장소의 계획과 정비262
1) 다이빙장소의 계획262
2) 다이빙장소의 정비263
4. 다이빙의 입지조건265
1) 자연조건265
2) 기본적인 계획조건266
5. 다이빙 시설268
제5절 관광용 잠수정269
1. 관광용 잠수정도입의 필요성269
2.관광용 잠수정의 현황270
3. 관광용 잠수정의 관련문제272
4. 관광용 잠수정의 개요272
제10장 크루즈
제1절 크루즈의 특성274
1. 크루즈의 개념274
2. 크루즈의 주요시설276
1)기반시설276
2)선상시설276
3. 크루즈의 특징277
1)시간활용의 효율성277
2) 다양하고 적절하 가격277
3)안정성277
4)세계적인 다양한 먹거리 제공278
5) 폭넓은 사교의 장 제공278
6)다양한 이벤트의 제공278
7)다양한 문화체험의 제공278
4. 크루즈관광의 역사279
1) 크루즈관광의 여명기279
2)크루즈관광의 도약기280
3)크루즈관광의 중흥기281
4)현대의 크루즈관광281
제2절 크루즈의 현황283
1. 국외현황283
1)미국283
2)유럽284
3)아시아285
2. 국내현황285
3. 주요 크루즈선사 및 크루즈 시장현황286
1) 주요 크루즈선사현황 286
2) 주요 크루즈 시장현황286
제3절 크루즈 운항여정의 개발287
1. 크루즈 운항여정설계287
1) 운항지역의 선정288
2) 운항시기와 빈도의 결정288
3) 운항여정형태의 결정289
2. 시장조사290
3. 시항지 확정291
1)선석확보요건91
2)항구의 지원환경여건291
제11장 어촌 관광개발
제1절 어촌관광의 특성293
1. 어촌의 어려움과 어촌관광의 개념293
2 . 정부의 어촌관광사업 추진현황295
3. 어촌관광의 분류와 발전단계297
1) 어촌관광의 분류297
2) 어촌관광의 발전단계298
4. 어촌관광자원의 분류299
5. 어촌관광의 특징301
6. 어촌관광개발의 필요성302
제2절 어촌관광개발의 문제점과 방향304
1. 어촌관광개발의 문제점304
2. 어촌관광 개발방향305
제3절 수산시설의 해양관광 자원화310
1. 수산시설의 특성310
2. 수산시설의 관광자원화 방향311
1) 수산생물 조성.육성시설311
2) 수산업 생산기반시설313
제12장 도서 관광개발
제1절 도서의 현황과 관광적 특성316
1. 우리 나라 도서의 기본현황316
2. 도서의 관광적 중요성318
제2절 도서관광개발의 사례320
1. 고베항의 인공섬320
2. 홍콩321
3. 싱가포르322
제3절 도서의 해양관광개발322
1. 도서관광개발의 낙후성322
2. 도서관광의 수요증가와 개발중요성323
3. 도서의 해양관광 개발방향324
4. 우리 나라 도서관광개발의 예시327
제13장 갯벌생태 관광개발
제1절 갯벌의 특성 329
1. 갯벌의 개념 329
2. 우리 나라 갯벌의 현황 330
3. 갯벌의 기능 332
1) 어류생산 및 서식지기능 332
2) 오염정화기능 333
3) 심미적 기능 334
4) 홍수 및 태풍조절기능 334
5) 관광적 기능 334
4. 갯벌의 종류 335
1) 모래갯벌 335
2) 펄갯벌 336
3) 혼성갯벌 336
4) 하구역갯벌 336
제2절 생태관광 337
1. 생태관광의 정의 및 사례 337
1) 정의 337
2) 사례 337
2. 생태관광 육성방안 338
1) 생태관광에 대한 지역주민 설득과 보상 338
2) 생태관광에 대한 이해의 확산과 마케팅노력 338
3) 자연친화적 시설설치와 관리방안 마련 339
4) 생태관광 전문안내인의 육성 339
5) 생태관광대상지 조성 339
6) 생태관광 관련주체의 역할분담 340
제 3 절 갯벌 생태관광지 사례분석 342
1. 국내의 갯벌생태관광 프로그램 342
1)갯벌체험 생태관광 프로그램 342
2) 철새탐조 갯벌생태관광 프로그램 343
3) 염생식물 관찰 343
4) 전통어업체험 344
5) 갯벌환경교육 프로그램 345
2. 국외의 갯벌생태관광 프로그램 346
1) 홍콩 마이포 346
2) 일본 구시로 348
제 4 절 갯벌생태관광 개발방안 351
1. 갯벌관리정책과 문제점 351
2. 갯벌생태관광 개발 및 보호방안 353
1) 일반적 적용방안 353
2) 갯벌생태계 보호방안 354
3) 갯벌내 시설도입방안 355
제14장 해양문화 관광개발
제1절 문화관광의 개관 357
1. 문화관광의 개념 358
2. 문화관광의 특성 359
제2절 해양문화관광자원의 관광상품화방안 360
제3절 해양 이벤트 361
1. 해양 이벤트의 개념 361
2. 국내 해양 이벤트의 사례 362
1) 트라이애슬론대회 362
2) 윈드서핑대회 363
3) 세계수중사진 촬영대회 364
4) 명태축제 366
5) 진도 영등제 366
6) 보령 머드축제 367
3. 일본 해양 이벤트의 사례 368
4. 해양문화관광 이벤트개발의 방향 370
참고문헌 373
제1장 해양관광의 개발
제1절 해양의 개념 및 특성23
1. 해양의 개념23
2. 해양의 특성24
제2절 해양관광의 개요26
1. 해양관광의 개념과 특성26
2. 해양관광의 유형29
제2장 해양관광의 현황 및 전망
제1절 해양관광의 현황32
1. 방문횟수 및 지역33
1) 바닷가 여행횟수33
2) 계절별 여행횟수33
3) 방문지역33
2. 해양관광활동 및 시설의 내용34
1) 참가한 해양관광활동34
2) 원하는 시설 및 활동37
3. 여행행태 및 해외경험40
1) 바닷가여행시 주로 이용하는 장거리 교통편40
2) 바닷가여행시 주로 이용하는 숙박시설40
3) 바닷가여행시 느끼는 문제점40
4) 해외 해양관광지 방문경험40
제2절 해양관광의 전망41
1. 해양관광수용에 대한 전망42
2. 해양관광장비에 대한 전망43
제3장 해양 관광자원
제1절 해양관광자원의 특성44
1. 관광자원의 개념44
1) 자원의 개념44
2) 관광자원의 정의와 특징46
2. 해양관광자원의 정의49
제2절 해양관광자원의 종류51
1. 자연자원53
1) 해수욕장53
2) 바다낚시터53
3) 갯벌 및 철새도래지54
4) 해안경관지55
5) 해양 스포츠공간56
6) 기타58
2. 인문자원59
1) 해양관련 전시시설 및 수족관59
2) 지역축제63
3) 바다음식63
4) 어구,어법64
5) 어항 및 항만65
제4장 해양관광 개발의 개요
제1절 해양관광개발의 개념 및 특성66
1. 해양관광개발의 개념66
2. 해양관광개발의 특성과 필요성69
1) 자연조건에 대한 높은 의존도69
2) 입지에 따른 지역사회와의 마찰가능성70
3) 어메니티 수준에 의한 제약71
4) 해양관광개발의 필요성72
제2절 해양관광개발계획74
1. 전제조건75
2. 시설계획의 기본적 사고방식75
3. 계획요건77
1) 계획조건의 정리77
2) 원활한 이용79
3) 자질의 활용79
4) 공생환경의 창출80
5) 위화감의 배제81
4. 각종 환경에 대한 배려81
1) 자연환경에 대한 배려82
2) 생태계에 대한 배려82
3) 어업활동에 대한 배려83
4) 자연경관에 대한 배려84
5) 주변환경에 대한 배려85
5. 계획결정의 단계85
1) 조사,분석86
2) 기본구상86
3) 기본계획87
4) 실시계획87
5) 사업계획87
6. 계획의 내용87
제5장 국내의 해양관광 개발
제1절 국내 해양관광개발의 현황90
1. 해안별 지형 및 관광개발의 특성90
1) 서해안90
2) 남해안91
3) 동해안91
4) 제주해안91
2. 해양관광개발 현황93
제2절 국내 해양관광개발의 문제점과 방향97
1. 국내 해양관광개발의 문제점97
1) 해양에 관한 국민인식 및 이용에 관한 문제98
2) 해양관광자원개발에 관한 문제99
3) 해양환경과의 조화문제102
4) 교통불편 및 접근성 불량103
2. 해양관광개발의 방향103
1) 10개 해양관광개발권역 지정103
2) 남해안 관광벨트 개발계획105
3) 국립해양박물관 및 지역별 해양과학관 건립107
4) 해양 레저,스포츠산업 진흥107
5) 크루즈관광 및 해상호텔산업 육성108
6) 해수욕장 자원의 보전과 정비108
7) 다양한 해양관광단지 개발109
8) 4계절형 해양관광자원 개발109
9) 도서지역 관광지개발 활성화109
10) 해양공원 조성109
11) 항만친수공간 조성110
12) 어촌 문화관광상품의 개발110
13) 해양환경과 조화된 해양관광자원 개발110
제3절 전국해양공간의 권역별,유형별 개발구상110
1. 경기,인천권111
2. 충청해안권112
3. 변산권114
4. 서다도해권115
5. 남다도해권116
6. 한려해상권117
7. 부산,경주권118
8. 동해남부권119
9. 동해북부권121
10. 제주한라권122
제6장 외국의 해양관광 개발
제1절 미주124
1. 미국124
1) 베니스 보드웍125
2) 마리나 델 레이125
3) 산타모니카 피어125
4) 기타125
2. 캐나다127
제2절 유럽과 호주129
1. 유럽129
2. 호주130
제3절 아시아주131
1. 일본131
1) 하우스 텐 보스131
2) 도쿄항의 해상공원132
3) 요코하마의 미나토미라이 21 = 133
4) 요코하마의 하케지마134
2. 싱가포르134
3. 말레이지아135
제4절 국외 해양관광개발의 시사점136
1. 시설의 복합화를 통한 단지화136
2. 자연과 레저의 조화137
3. 장기의 계획과 투자137
제7장 해양관광 개발정책
제1절 해양관광 개발정책의 개념 및 특성139
1. 해양관광 개발정책의 개념139
2. 해양관광 개발정책의 특성141
제2절 국내 해양관광 개발정책144
1. 국내 해양관광 개발정책의 문제점144
1) 해양관광 관련제도 및 법규의 미비와 해양관리주체의 다원화144
2) 해양관광자원에 대한 조사와 상품화 정책미흡146
3) 차별성과 환경보전노력이 부족한 해양관광 개발정책146
4)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정책우선순위 낮음147
2. 해양수산부의 해양관광 개발정책147
3. 국내 해양관광 개발을 위한 정책개선방안149
1) 해양관광정책 주체별 역할정립149
2) 해양관광시설에 대한 법률적,제도적 기반마련149
3) 해양관광자원에 대한 체계적 조사와 평가 및 중장기 개발 계획 수립150
4) 다양한 해양관광상품의 개발정책 추진150
5) 해양관광 개발정책의 우선순위 확보 및 환경보전151
6) 해양관광의 국제화와 국제협력 강화정책의 추진151
7) 계절한계성 극복152
8) 지속가능한 해양관광개발153
9) 국민의 해양의식 강화정책의 추진154
10) 정보시대에 걸맞는 해양관광 시스템 구축155
11) 해양관광을 위한 해역의 지정관리155
12) 해양관광 인프라 구축156
13) 해양관광 기술증진과 전문가양성 및 안전관리체제 확립157
14) 해양수산부의 해양관광정책 강화157
제3절 해양관광 관련법규158
1. 해양관련법규158
2. 해양관광 관련법규160
1) 기반시설측면160
2) 인,허가측면160
3) 선박,선원측면161
4) 입,출항측면161
5) 환경오염방지와 안전측면161
6) 기타162
제2편 해양관광개발의 실제
제8장 해양관광 시설의 개발
제1절 해수욕장168
1. 해수욕장의 현황 및 시설168
1) 해수욕장의 현황 및 문제점168
2) 해수욕장의 시설171
2. 해수욕장의 정비과제172
3. 해수욕장의 입지조건173
제2절 마리나174
1. 마리나의 개념 및 분류174
2. 마리나의 기능175
1) 계류기능176
2) 보관기능176
3) 인양기능176
4) 수리,점검기능176
5) 보급,청소기능177
6) 정보제공기능177
7) 숙박,휴식기능177
8) 연수,교육기능177
9) 안전관리기능178
10) 문화교류기능178
3. 마리나의 입지조건179
1) 자연환경적 조건179
2) 활동상의 조건181
3) 사회적 조건182
4. 마리나의 시설183
제3절 해양공원과 해중공원184
1. 해양공원184
1) 해양공원의 개념184
2) 해양공원의 분류185
2. 해중공원187
1) 해중공원의 개념 및 특성187
2) 해중공원의 입지조건189
3) 해중공원의 시설190
4) 해중공원의 적지191
5) 해중공원의 연혁 및 관련법제192
6) 해중전망탑 193
7) 외국의 해중공원 관련법률 검토194
제4절 관광수족관197
1. 수족관의 개념197
2. 수족관의 역사 및 현황198
1)수족관의 역사198
2)수족관의 현황199
3) 우리나라의 수족관204
3. 수족관의 분류 및 기능205
1)수족관의 분류205
2)수족관의 기능207
4. 관광수족관의 개발207
5. 향후 발전방향
1) 사회환경의 변화211
2) 기술의 발달212
3) 차세대 수조고간 전망213
제9장 해양 레포츠 관광의 개발
제1절 낚시 216
1. 낚시의 역사216
2. 낚시의 종류218
1) 바다낚시218
2) 민물낚시221
3. 낚시도구222
1) 낚싯대223
2)낚싯줄223
3)바늘223
4)봉돌224
5)찌224
6)릴224
7)미끼225
8)살림망225
4. 바다낚시의 유형224
1)트롤링225
2)선상낚시226
5. 바다낚시공원226
1)바다낚시공원의 개념226
2)바다낚시공원 개발의 적지성 및 입지조건228
3)일본의 코베 시립바다 낚시공원 사례232
제2장 보우팅235
1. 수상스키235
1) 수상스키의 역사235
2) 수상스키의 요소236
2. 수상오토바이237
1) 정의와 어원237
2) 역사적 배경 및 재료237
3. 패러세일링239
1) 어원과 역사239
2) 양력의 원리 240
3) 기상 및 해상조건240
4. 서핑241
1) 어원과 역사241
2) 서핑의 이해242
제3절 세일링과 경정243
1. 세일링243
1) 세일링의 개념243
2) 요트의 역사244
3) 모터요트245
4)윈드서핑246
2. 경정253
2) 어원과 역사253
2) 경기용 엔진의 발달254
3) 경정의 경주방법255
제4절 다이빙
257
1. 다이빙의 개념 및 역사257
1) 다이빙의 개념257
2) 다이빙의 역사258
2. 다이빙활동259
1)날씨260
2)수온의 변이260
3)물결의 흐름260
4)역류261
5)협류261
3. 다이빙장소의 계획과 정비262
1) 다이빙장소의 계획262
2) 다이빙장소의 정비263
4. 다이빙의 입지조건265
1) 자연조건265
2) 기본적인 계획조건266
5. 다이빙 시설268
제5절 관광용 잠수정269
1. 관광용 잠수정도입의 필요성269
2.관광용 잠수정의 현황270
3. 관광용 잠수정의 관련문제272
4. 관광용 잠수정의 개요272
제10장 크루즈
제1절 크루즈의 특성274
1. 크루즈의 개념274
2. 크루즈의 주요시설276
1)기반시설276
2)선상시설276
3. 크루즈의 특징277
1)시간활용의 효율성277
2) 다양하고 적절하 가격277
3)안정성277
4)세계적인 다양한 먹거리 제공278
5) 폭넓은 사교의 장 제공278
6)다양한 이벤트의 제공278
7)다양한 문화체험의 제공278
4. 크루즈관광의 역사279
1) 크루즈관광의 여명기279
2)크루즈관광의 도약기280
3)크루즈관광의 중흥기281
4)현대의 크루즈관광281
제2절 크루즈의 현황283
1. 국외현황283
1)미국283
2)유럽284
3)아시아285
2. 국내현황285
3. 주요 크루즈선사 및 크루즈 시장현황286
1) 주요 크루즈선사현황 286
2) 주요 크루즈 시장현황286
제3절 크루즈 운항여정의 개발287
1. 크루즈 운항여정설계287
1) 운항지역의 선정288
2) 운항시기와 빈도의 결정288
3) 운항여정형태의 결정289
2. 시장조사290
3. 시항지 확정291
1)선석확보요건91
2)항구의 지원환경여건291
제11장 어촌 관광개발
제1절 어촌관광의 특성293
1. 어촌의 어려움과 어촌관광의 개념293
2 . 정부의 어촌관광사업 추진현황295
3. 어촌관광의 분류와 발전단계297
1) 어촌관광의 분류297
2) 어촌관광의 발전단계298
4. 어촌관광자원의 분류299
5. 어촌관광의 특징301
6. 어촌관광개발의 필요성302
제2절 어촌관광개발의 문제점과 방향304
1. 어촌관광개발의 문제점304
2. 어촌관광 개발방향305
제3절 수산시설의 해양관광 자원화310
1. 수산시설의 특성310
2. 수산시설의 관광자원화 방향311
1) 수산생물 조성.육성시설311
2) 수산업 생산기반시설313
제12장 도서 관광개발
제1절 도서의 현황과 관광적 특성316
1. 우리 나라 도서의 기본현황316
2. 도서의 관광적 중요성318
제2절 도서관광개발의 사례320
1. 고베항의 인공섬320
2. 홍콩321
3. 싱가포르322
제3절 도서의 해양관광개발322
1. 도서관광개발의 낙후성322
2. 도서관광의 수요증가와 개발중요성323
3. 도서의 해양관광 개발방향324
4. 우리 나라 도서관광개발의 예시327
제13장 갯벌생태 관광개발
제1절 갯벌의 특성 329
1. 갯벌의 개념 329
2. 우리 나라 갯벌의 현황 330
3. 갯벌의 기능 332
1) 어류생산 및 서식지기능 332
2) 오염정화기능 333
3) 심미적 기능 334
4) 홍수 및 태풍조절기능 334
5) 관광적 기능 334
4. 갯벌의 종류 335
1) 모래갯벌 335
2) 펄갯벌 336
3) 혼성갯벌 336
4) 하구역갯벌 336
제2절 생태관광 337
1. 생태관광의 정의 및 사례 337
1) 정의 337
2) 사례 337
2. 생태관광 육성방안 338
1) 생태관광에 대한 지역주민 설득과 보상 338
2) 생태관광에 대한 이해의 확산과 마케팅노력 338
3) 자연친화적 시설설치와 관리방안 마련 339
4) 생태관광 전문안내인의 육성 339
5) 생태관광대상지 조성 339
6) 생태관광 관련주체의 역할분담 340
제 3 절 갯벌 생태관광지 사례분석 342
1. 국내의 갯벌생태관광 프로그램 342
1)갯벌체험 생태관광 프로그램 342
2) 철새탐조 갯벌생태관광 프로그램 343
3) 염생식물 관찰 343
4) 전통어업체험 344
5) 갯벌환경교육 프로그램 345
2. 국외의 갯벌생태관광 프로그램 346
1) 홍콩 마이포 346
2) 일본 구시로 348
제 4 절 갯벌생태관광 개발방안 351
1. 갯벌관리정책과 문제점 351
2. 갯벌생태관광 개발 및 보호방안 353
1) 일반적 적용방안 353
2) 갯벌생태계 보호방안 354
3) 갯벌내 시설도입방안 355
제14장 해양문화 관광개발
제1절 문화관광의 개관 357
1. 문화관광의 개념 358
2. 문화관광의 특성 359
제2절 해양문화관광자원의 관광상품화방안 360
제3절 해양 이벤트 361
1. 해양 이벤트의 개념 361
2. 국내 해양 이벤트의 사례 362
1) 트라이애슬론대회 362
2) 윈드서핑대회 363
3) 세계수중사진 촬영대회 364
4) 명태축제 366
5) 진도 영등제 366
6) 보령 머드축제 367
3. 일본 해양 이벤트의 사례 368
4. 해양문화관광 이벤트개발의 방향 370
참고문헌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