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제1장 심리평가의 이해 / 김재환 = 11
1. 심리평가의 원리 = 12
2. 심리평가를 위한 자료 = 15
1) 면담 = 16
2) 행동관찰 = 16
3) 심리검사 = 17
3. 임상심리검사의 유형과 특징 = 18
제2장 심리평가를 위한 면담 / 황순택 = 23
1. 평가면담의 형식 = 24
1) 비구조적 면담 = 25
2) 구조적 면담 = 25
2. 평가면담의 기법 = 27
1) 신뢰 관계와 협력적 관계의 형성 = 27
2) 평가면담의 일반적인 기법 = 29
3. 평가면담의 내용 = 34
1) 심리평가의 사유 = 34
2) 발달사적 정보 = 36
3) 정신상태 평가 = 37
4. 맺는 말 = 44
제3장 심리검사의 제작과 요건 / 이장한 = 47
1. 검사제작자의 자격 = 48
2. 표준화 검사의 제작과정과 방법 = 49
1) 검사목적 정의 = 49
2) 사전 검사설계 = 50
3) 검사제작의 동기 = 51
4) 문항준비 = 51
5) 문항분석 = 55
6) 표준화 실시와 규준의 작성 = 68
7) 최종 검사준비와 출판 = 70
3. 신뢰도와 타당도의 정의 및 종류 = 70
1) 신뢰도 = 71
2) 타당도 = 75
제4장 웩슬러 지능검사 / 오상우 = 81
1. 웩슬러 지능검사의 이론적 근거 = 81
1) 지능에 대한 웩슬러의 개념 = 81
2) 지능의 측정방법론적 고찰 = 83
3) 웩슬러 지능검사의 개발과 발달 = 86
4) 웩슬러 지능검사의 특징 = 87
2. 웩슬러 지능검사의 구성과 구조 = 88
1) K-WAIS 구성과 구조 = 88
2) K-WISC-Ⅲ의 구성과 요인구조 = 90
3) K-WPPSI의 구성과 요인구조 = 93
3. 웩슬러 지능검사의 실시, 채점 및 해석상의 유의점 = 94
1) 검사의 실시와 채점 = 94
2) 해석상의 고려 사항 = 96
4. 정보처리모형에 따른 소검사 분석 = 96
5. K-WAIS 프로파일 분석의 기초 = 99
1) 병전 지능 추정 = 99
2) 전체 지능지수 = 100
3) 언어성 IQ와 동작성 IQ = 102
4) 요인지표지수 = 104
5) 분산도 분석 = 107
6) 소검사 프로파일의 강점과 약점 = 107
6. K-WAIS 프로파일 단계별 해석 = 108
7. K-WAIS 단축형 = 114
8. 사례 = 116
1) K-WAIS 사례 = 116
2) K-WAIS-Ⅲ 사례 = 118
제5장 MMPI / 홍창희 = 123
1. 개요 = 123
2. 실시와 채점 = 125
3. MMPI 척도 = 127
1) 타당도척도 = 128
2) 임상척도 = 135
4. 코드 유형 = 148
5. 특수 척도와 결정적인 문항들 = 161
1) Welsh의 불안척도(A) = 161
2) Welsh의 억압척도(R) = 162
3) 자아강도척도(Es) = 162
4) 과잉통제-적대감척도(OH) = 162
5) MacAndrew의 알코올척도(MAC) = 163
6) 의존척도(Dependency: DY) = 163
7) 결정적인 문항들 = 163
6. 특별한 주제들 = 164
1) 행동화 = 164
2) 자살 = 165
3) 알코올과 약물 남용 = 166
4) 예후 = 167
7. MMPI 프로파일 해석의 예 = 168
8. MMPI의 성격과 통합적인 해석 = 172
제6장 성격평가질문지 / 오상우 = 177
1. 개관 = 177
1) 역사와 발전 = 178
2) PAI의 기초: 이론과 연구 = 178
3) 신뢰도 = 181
4) 타당도 = 182
5) PAI에 관한 필수적인 참고문헌 = 182
2. 실시와 채점 = 183
1) 적용대상 = 183
2) 전문적 자격 = 184
3) 검사 재료 = 184
4) 실시 = 185
5) 채점 및 프로파일 = 185
3. PAI 척도의 해석 = 187
1) 해석에 앞서 고려해야 할 사항 = 187
2) 임상적 해석 과정 = 189
4. PAI 검사의 프로파일: 상승척도 쌍의 해석 = 198
5. PAI의 강점과 약점 = 200
1) 강점 = 201
2) 약점 = 204
3) 연구 방향 = 204
6. PAI 사례 보고서 = 205
제7장 투사검사 Ⅰ / 김지혜 = 213
1. 로르샤하 검사 = 216
2. Exner의 종합체계 = 217
1) 검사의 실시 = 219
2) 검사의 채점 = 220
3) 구조적 요약 = 239
3. 로르샤하 검사의 해석 = 250
1) 변인들의 군집화 = 250
2) 군집화된 변인들의 검토 순서 - 계열적 탐색 전략 = 253
3) 정신병리 유형의 감별 = 255
4) 구조변인의 해석 = 257
4. 로르샤하 반응에서 투사와 카드 속성에 기초한 해석 = 266
1) 명백한 카드 특성 = 267
2) 모호한 카드 특성 = 268
3) 10개 잉크반점의 공통된 의미 = 270
제8장 투사검사 Ⅱ / 정승아 = 277
1. 주제통각검사 = 277
1) 이론적 근거 = 278
2) 다른 투사적 검사와 다른 점 = 281
3) 검사의 개발 과정 = 282
4) 카드 = 283
5) 실시 방법 = 284
6) 해석 = 288
2. 인물화 검사 = 315
1) 도구 = 316
2) 지시 = 316
3) 실시 방법 = 317
4) 해석 = 317
3. 문장완성검사 = 323
1) 역사적 배경 = 324
2) 특징 = 325
3) 실시 방법 = 327
4) 종류, 해석 방법 = 327
4. 단어연상검사 = 330
1) 이론적 배경 = 331
2) 개발과정 = 332
3) 실시 및 해석 = 332
제9장 아동ㆍ청소년의 심리평가 / 문혜신 = 337
1. 아동ㆍ청소년의 발달 과정 = 338
1) 영아기 = 338
2) 걸음마기 = 340
3) 학령전기 = 342
4) 학령기 = 343
5) 초기 청소년기 = 346
6) 후기 청소년기 = 348
2. 아동ㆍ청소년 심리평가의 종류 = 349
1) 면담 = 349
2) 행동평정척도 = 351
3) 심리검사 = 358
제10장 신경심리평가 / 정은경 = 391
1. 신경심리평가 = 392
1) 면담 및 행동관찰 = 392
2) 평가 영역 및 검사 도구 = 395
2. 국내에서 사용되는 주요 신경심리검사 = 403
1) 서울신경심리검사 = 403
2) 한국판 치매 평가검사 = 404
3) CERAD-K = 405
4) Rey-Kim 기억검사 = 406
5) 한국판 기억평가검사 = 406
6)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 406
7)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 = 406
3. 평가 사례 = 407
1) 지능검사 = 407
2) Rey-Kim 기억검사 = 408
3)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 408
4) SNSB = 409
5) 요약 = 409
찾아보기 = 413
서문 = 3
제1장 심리평가의 이해 / 김재환 = 11
1. 심리평가의 원리 = 12
2. 심리평가를 위한 자료 = 15
1) 면담 = 16
2) 행동관찰 = 16
3) 심리검사 = 17
3. 임상심리검사의 유형과 특징 = 18
제2장 심리평가를 위한 면담 / 황순택 = 23
1. 평가면담의 형식 = 24
1) 비구조적 면담 = 25
2) 구조적 면담 = 25
2. 평가면담의 기법 = 27
1) 신뢰 관계와 협력적 관계의 형성 = 27
2) 평가면담의 일반적인 기법 = 29
3. 평가면담의 내용 = 34
1) 심리평가의 사유 = 34
2) 발달사적 정보 = 36
3) 정신상태 평가 = 37
4. 맺는 말 = 44
제3장 심리검사의 제작과 요건 / 이장한 = 47
1. 검사제작자의 자격 = 48
2. 표준화 검사의 제작과정과 방법 = 49
1) 검사목적 정의 = 49
2) 사전 검사설계 = 50
3) 검사제작의 동기 = 51
4) 문항준비 = 51
5) 문항분석 = 55
6) 표준화 실시와 규준의 작성 = 68
7) 최종 검사준비와 출판 = 70
3. 신뢰도와 타당도의 정의 및 종류 = 70
1) 신뢰도 = 71
2) 타당도 = 75
제4장 웩슬러 지능검사 / 오상우 = 81
1. 웩슬러 지능검사의 이론적 근거 = 81
1) 지능에 대한 웩슬러의 개념 = 81
2) 지능의 측정방법론적 고찰 = 83
3) 웩슬러 지능검사의 개발과 발달 = 86
4) 웩슬러 지능검사의 특징 = 87
2. 웩슬러 지능검사의 구성과 구조 = 88
1) K-WAIS 구성과 구조 = 88
2) K-WISC-Ⅲ의 구성과 요인구조 = 90
3) K-WPPSI의 구성과 요인구조 = 93
3. 웩슬러 지능검사의 실시, 채점 및 해석상의 유의점 = 94
1) 검사의 실시와 채점 = 94
2) 해석상의 고려 사항 = 96
4. 정보처리모형에 따른 소검사 분석 = 96
5. K-WAIS 프로파일 분석의 기초 = 99
1) 병전 지능 추정 = 99
2) 전체 지능지수 = 100
3) 언어성 IQ와 동작성 IQ = 102
4) 요인지표지수 = 104
5) 분산도 분석 = 107
6) 소검사 프로파일의 강점과 약점 = 107
6. K-WAIS 프로파일 단계별 해석 = 108
7. K-WAIS 단축형 = 114
8. 사례 = 116
1) K-WAIS 사례 = 116
2) K-WAIS-Ⅲ 사례 = 118
제5장 MMPI / 홍창희 = 123
1. 개요 = 123
2. 실시와 채점 = 125
3. MMPI 척도 = 127
1) 타당도척도 = 128
2) 임상척도 = 135
4. 코드 유형 = 148
5. 특수 척도와 결정적인 문항들 = 161
1) Welsh의 불안척도(A) = 161
2) Welsh의 억압척도(R) = 162
3) 자아강도척도(Es) = 162
4) 과잉통제-적대감척도(OH) = 162
5) MacAndrew의 알코올척도(MAC) = 163
6) 의존척도(Dependency: DY) = 163
7) 결정적인 문항들 = 163
6. 특별한 주제들 = 164
1) 행동화 = 164
2) 자살 = 165
3) 알코올과 약물 남용 = 166
4) 예후 = 167
7. MMPI 프로파일 해석의 예 = 168
8. MMPI의 성격과 통합적인 해석 = 172
제6장 성격평가질문지 / 오상우 = 177
1. 개관 = 177
1) 역사와 발전 = 178
2) PAI의 기초: 이론과 연구 = 178
3) 신뢰도 = 181
4) 타당도 = 182
5) PAI에 관한 필수적인 참고문헌 = 182
2. 실시와 채점 = 183
1) 적용대상 = 183
2) 전문적 자격 = 184
3) 검사 재료 = 184
4) 실시 = 185
5) 채점 및 프로파일 = 185
3. PAI 척도의 해석 = 187
1) 해석에 앞서 고려해야 할 사항 = 187
2) 임상적 해석 과정 = 189
4. PAI 검사의 프로파일: 상승척도 쌍의 해석 = 198
5. PAI의 강점과 약점 = 200
1) 강점 = 201
2) 약점 = 204
3) 연구 방향 = 204
6. PAI 사례 보고서 = 205
제7장 투사검사 Ⅰ / 김지혜 = 213
1. 로르샤하 검사 = 216
2. Exner의 종합체계 = 217
1) 검사의 실시 = 219
2) 검사의 채점 = 220
3) 구조적 요약 = 239
3. 로르샤하 검사의 해석 = 250
1) 변인들의 군집화 = 250
2) 군집화된 변인들의 검토 순서 - 계열적 탐색 전략 = 253
3) 정신병리 유형의 감별 = 255
4) 구조변인의 해석 = 257
4. 로르샤하 반응에서 투사와 카드 속성에 기초한 해석 = 266
1) 명백한 카드 특성 = 267
2) 모호한 카드 특성 = 268
3) 10개 잉크반점의 공통된 의미 = 270
제8장 투사검사 Ⅱ / 정승아 = 277
1. 주제통각검사 = 277
1) 이론적 근거 = 278
2) 다른 투사적 검사와 다른 점 = 281
3) 검사의 개발 과정 = 282
4) 카드 = 283
5) 실시 방법 = 284
6) 해석 = 288
2. 인물화 검사 = 315
1) 도구 = 316
2) 지시 = 316
3) 실시 방법 = 317
4) 해석 = 317
3. 문장완성검사 = 323
1) 역사적 배경 = 324
2) 특징 = 325
3) 실시 방법 = 327
4) 종류, 해석 방법 = 327
4. 단어연상검사 = 330
1) 이론적 배경 = 331
2) 개발과정 = 332
3) 실시 및 해석 = 332
제9장 아동ㆍ청소년의 심리평가 / 문혜신 = 337
1. 아동ㆍ청소년의 발달 과정 = 338
1) 영아기 = 338
2) 걸음마기 = 340
3) 학령전기 = 342
4) 학령기 = 343
5) 초기 청소년기 = 346
6) 후기 청소년기 = 348
2. 아동ㆍ청소년 심리평가의 종류 = 349
1) 면담 = 349
2) 행동평정척도 = 351
3) 심리검사 = 358
제10장 신경심리평가 / 정은경 = 391
1. 신경심리평가 = 392
1) 면담 및 행동관찰 = 392
2) 평가 영역 및 검사 도구 = 395
2. 국내에서 사용되는 주요 신경심리검사 = 403
1) 서울신경심리검사 = 403
2) 한국판 치매 평가검사 = 404
3) CERAD-K = 405
4) Rey-Kim 기억검사 = 406
5) 한국판 기억평가검사 = 406
6)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 406
7)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 = 406
3. 평가 사례 = 407
1) 지능검사 = 407
2) Rey-Kim 기억검사 = 408
3)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 408
4) SNSB = 409
5) 요약 = 409
찾아보기 =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