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제1장 서론 = 17
제2장 지구시민사회의 형성과 NGO = 31
제1절 지구화와 지구시민사회의 형성 = 31
제2절 지구시민사회와 NGO의 국제교류 = 43
제3절 NGO의 국제교류와 네트워크 접근시각 = 49
제3장 한국 NGO의 국제교류 환경 = 63
제1절 정치 환경 = 63
범지구 차원 = 63
아시아 지역 차원 = 68
남북한 관계 차원 = 73
제2절 경제 환경 = 83
범지구 차원 = 83
아시아 지역 차원 = 89
남북한 관계 차원 = 94
제3절 기관 환경 = 99
범지구 차원 = 99
아시아 지역 차원 = 113
남북한 관계 차원 = 118
제4장 한국 TNGO의 국제교류 실태 = 129
제1절 범지구 차원 = 130
교류현황 = 130
하부구조 = 144
상관관계 = 154
제2절 아시아 지역 차원 = 161
교류현황 = 161
하부구조 = 172
상관관계 = 181
제3절 남북한 관계 차원 = 187
교류현황 = 187
하부구조 = 197
상관관계 = 205
제5장 한국 INGO의 국제교류 실태 = 209
제1절 범지구 차원 = 209
선의성 = 209
전문성 = 213
민주성 = 220
제2절 아시아 지역 차원 = 226
선의성 = 226
전문성 = 232
민주성 = 238
제3절 남북한 관계 차원 = 250
선의성 = 250
전문성 = 253
민주성 = 257
제6장 한국 NGO의 국제교류 평가 = 259
제1절 TNGO의 하부구조 = 259
교류현황 = 259
하부구조 = 265
상관관계 = 268
제2절 INGO의 운영전략 = 273
선의성 = 273
전문성 = 276
민주성 = 279
제7장 국제교류 활성화 정책의 과제 = 283
제1절 대외교류 활성화 전략 = 283
제2절 대북교류 활성화 전략 = 298
제8장 결론 = 309
참고문헌 = 321
부록 = 326
색인 = 330
지은이 소개 = 334
서문 = 5
제1장 서론 = 17
제2장 지구시민사회의 형성과 NGO = 31
제1절 지구화와 지구시민사회의 형성 = 31
제2절 지구시민사회와 NGO의 국제교류 = 43
제3절 NGO의 국제교류와 네트워크 접근시각 = 49
제3장 한국 NGO의 국제교류 환경 = 63
제1절 정치 환경 = 63
범지구 차원 = 63
아시아 지역 차원 = 68
남북한 관계 차원 = 73
제2절 경제 환경 = 83
범지구 차원 = 83
아시아 지역 차원 = 89
남북한 관계 차원 = 94
제3절 기관 환경 = 99
범지구 차원 = 99
아시아 지역 차원 = 113
남북한 관계 차원 = 118
제4장 한국 TNGO의 국제교류 실태 = 129
제1절 범지구 차원 = 130
교류현황 = 130
하부구조 = 144
상관관계 = 154
제2절 아시아 지역 차원 = 161
교류현황 = 161
하부구조 = 172
상관관계 = 181
제3절 남북한 관계 차원 = 187
교류현황 = 187
하부구조 = 197
상관관계 = 205
제5장 한국 INGO의 국제교류 실태 = 209
제1절 범지구 차원 = 209
선의성 = 209
전문성 = 213
민주성 = 220
제2절 아시아 지역 차원 = 226
선의성 = 226
전문성 = 232
민주성 = 238
제3절 남북한 관계 차원 = 250
선의성 = 250
전문성 = 253
민주성 = 257
제6장 한국 NGO의 국제교류 평가 = 259
제1절 TNGO의 하부구조 = 259
교류현황 = 259
하부구조 = 265
상관관계 = 268
제2절 INGO의 운영전략 = 273
선의성 = 273
전문성 = 276
민주성 = 279
제7장 국제교류 활성화 정책의 과제 = 283
제1절 대외교류 활성화 전략 = 283
제2절 대북교류 활성화 전략 = 298
제8장 결론 = 309
참고문헌 = 321
부록 = 326
색인 = 330
지은이 소개 =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