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Ⅰ부 공교육의 이념과 원리
공교육의 의미 / 나병현 = 7
Ⅰ. 머리말 = 7
Ⅱ. "공공성"의 의미와 관련 개념들 = 8
Ⅲ. 공교육의 의미와 교육의 공공성 = 14
Ⅳ. 사립학교의 공공성 = 22
Ⅴ. 맺음말 = 24
한국 공교육의 이념 / 정재걸 = 29
Ⅰ. 왜 다시 공교육이 문제인가? = 29
Ⅱ. 서구 근대 공교육의 이념과 현실 = 31
Ⅲ. 한국 공교육의 전통과 공의(公義)로서의 공교육 = 36
Ⅳ. 영역으로서의 공사(公私) 구분의 문제와 그 대안 = 42
Ⅴ. 맺는 말 = 46
공교육 이념과 기능의 시대적 적합성 / 김영화 = 49
Ⅰ. 들어가는 말 = 49
Ⅱ. 공교육의 개념 = 51
Ⅲ. 공교육의 이념과 기능 = 53
Ⅳ. 공교육 이념과 기능의 시대적 적합성 제고 = 62
Ⅴ. 맺는 말 = 65
근대교육의 기본 가정과 그 변화 / 이종태 = 69
Ⅰ. 문제 의식 = 69
Ⅱ. 근대교육의 기본 가정들 = 70
Ⅲ. 교육의 변화와 그 해석 = 76
Ⅳ. 결론에 대신하여 = 88
제Ⅱ부 공교육제도의 형성과 발전
공교육제도의 형성과 변화 / 김신일 = 97
Ⅰ. 서론 = 97
Ⅱ. 공교육제도의 등장과 그 특징 = 98
Ⅲ. 우리나라 공교육제도 = 105
Ⅳ. 학교본위 공교육제도의 동요 = 113
Ⅴ. 평생교육의 출현 = 118
공교육의 역사성 / 이윤미 = 124
Ⅰ. 공교육의 위기와 교육적 '상식'의 변화? = 124
Ⅱ. 공교육의 '역사성' : 국가적 관리와 평등성의 한계 = 126
Ⅲ. 한국 공교육의 특성과 교육의 공공성 = 136
근대공교육 사상의 한국적 이해 / 윤종혁 = 142
Ⅰ. 서론 = 142
Ⅱ. 근대화 교육론의 일반적 경향 = 143
Ⅲ.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공교육 = 147
Ⅳ. 근대공교육사상의 재해석에 대해서 = 153
Ⅴ. 결론 = 155
유상 중등교육의 팽창 / 김기석 = 158
Ⅰ. 연구의 문제 = 158
Ⅱ. 중등교육인구 팽창 규모 = 161
Ⅲ. 중등교육인구의 팽창 과정 = 169
Ⅳ. 결론 = 177
제Ⅲ부 공교육제도의 운영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와 교육 / 오욱환 = 189
Ⅰ. 자본주의 사회의 변화와 교육 = 189
Ⅱ. 현대 자본주의와 국가의 기능 = 190
Ⅲ. 자본주의 국가와 교육의 관계 = 196
Ⅳ. 현대 자본주의 국가에서 교육의 의미 = 211
의무교육정책 / 윤정일 = 218
Ⅰ. 의무교육의 의미와 원리 = 220
Ⅱ. 의무교육정책의 변천과정 = 224
Ⅲ. 의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231
Ⅳ. 의무교육정책의 쟁점 = 236
Ⅴ. 의무교육의 발전과제 = 241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논란과 전망 / 박부권 = 250
Ⅰ. 서론 = 250
Ⅱ. 고교 평준화 제도의 논란 = 255
Ⅲ.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전망 = 267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과 학력하향화 현상 / 성기선 = 277
Ⅰ. 서론 = 277
Ⅱ. 평준화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 279
Ⅲ. 자료 및 분석방법 = 282
Ⅳ. 분석결과 = 285
Ⅴ. 결론 = 289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향방에 대한 논란 / 강태중 = 293
Ⅰ. 머리말 = 293
Ⅱ.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성질 = 293
Ⅲ.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에 대한 논란의 주요 쟁점 = 297
Ⅳ.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에 관련된 쟁점의 검토와 제언 = 305
제Ⅳ부 공교육제도의 위기
과잉학력과 노동시장 / 황원철 = 313
Ⅰ. 과잉학력 의미의 다양성 = 313
Ⅱ. 과잉학력 개념의 적합성 = 319
Ⅲ. 노동시장이론에서 본 과잉학력 = 321
학교 교육의 위기와 원인 / 이종태 = 347
Ⅰ. 학교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 347
Ⅱ. 새로운 학교교육 위기론의 대두 = 352
Ⅲ. 학교교육의 현실 = 359
Ⅳ. 학교교육 위기의 원인 = 379
Ⅴ.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의 모색 = 386
교실붕괴 담론 분석 / 김성열 ; 고창규 = 405
Ⅰ. 문제의 제기 = 405
Ⅱ. 교실붕괴의 양상 = 407
Ⅲ. 교실붕괴담론에 나타난 교실붕괴의 원인 = 413
Ⅳ. 교실붕괴 담론에 나타난 대책 분석 = 433
Ⅴ. 맺음말 = 442
학교교육의 위기와 공교육 이념의 재검토 / 나병현 = 446
Ⅰ. 문제의 제기 = 446
Ⅱ. 공교육의 위기 = 447
Ⅲ. 공교육 이념의 재검토 = 451
Ⅳ. 맺음말 = 462
제Ⅴ부 공교육제도의 대안
좋은 학교의 교육철학·문화 / 이기범 = 475
Ⅰ. 들어가는 말 = 475
Ⅱ. "좋은" 학교의 교육철학과 문화에 대한 접근 방식 = 476
Ⅲ. "좋은" 학교의 교육철학과 문화의 구성 요소 = 479
Ⅳ. 맺는 말 = 496
교육민영화의 실현가능성과 한계 / 윤정일 ; 윤홍주 = 501
Ⅰ. 서론 = 501
Ⅱ. 교육민영화의 개념 및 유형 = 503
Ⅲ. 교육민영화의 전개과정 = 511
Ⅳ. 교육민영화에 대한 찬반론 = 519
Ⅴ. 교육민영화 정책의 한계 = 524
Ⅵ. 결론 = 527
미국의 교육 개혁 논의에 있어서 학교 선택권 담론 / 김재춘 = 532
Ⅰ. 서론 = 532
Ⅱ. 미국에서의 학교 선택권 담론 = 535
Ⅲ. 차터 학교의 알반적 특징 = 537
Ⅳ. 차터 학교의 구체적 사례 : 캘리포니아 차터 학교 = 541
Ⅴ. 결론 :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 = 546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운영모델 탐색 / 최준렬 ; 김성열 = 552
Ⅰ. 서론 = 552
Ⅱ.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의미 = 554
Ⅲ.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제안배경 = 556
Ⅳ.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기능과 역할 = 558
Ⅴ.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기대효과 = 560
Ⅵ.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모델 = 562
Ⅶ. 결어 = 569
대안학교의 가능성과 한계 / 조용환 = 574
Ⅰ. 서론 = 574
Ⅱ. 대안학교의 대안적 목표와 가능성 = 582
Ⅲ. 대안학교의 문제와 한계 = 600
Ⅳ. 결론 = 610
출처 = 618
공교육의 의미 / 나병현 = 7
Ⅰ. 머리말 = 7
Ⅱ. "공공성"의 의미와 관련 개념들 = 8
Ⅲ. 공교육의 의미와 교육의 공공성 = 14
Ⅳ. 사립학교의 공공성 = 22
Ⅴ. 맺음말 = 24
한국 공교육의 이념 / 정재걸 = 29
Ⅰ. 왜 다시 공교육이 문제인가? = 29
Ⅱ. 서구 근대 공교육의 이념과 현실 = 31
Ⅲ. 한국 공교육의 전통과 공의(公義)로서의 공교육 = 36
Ⅳ. 영역으로서의 공사(公私) 구분의 문제와 그 대안 = 42
Ⅴ. 맺는 말 = 46
공교육 이념과 기능의 시대적 적합성 / 김영화 = 49
Ⅰ. 들어가는 말 = 49
Ⅱ. 공교육의 개념 = 51
Ⅲ. 공교육의 이념과 기능 = 53
Ⅳ. 공교육 이념과 기능의 시대적 적합성 제고 = 62
Ⅴ. 맺는 말 = 65
근대교육의 기본 가정과 그 변화 / 이종태 = 69
Ⅰ. 문제 의식 = 69
Ⅱ. 근대교육의 기본 가정들 = 70
Ⅲ. 교육의 변화와 그 해석 = 76
Ⅳ. 결론에 대신하여 = 88
제Ⅱ부 공교육제도의 형성과 발전
공교육제도의 형성과 변화 / 김신일 = 97
Ⅰ. 서론 = 97
Ⅱ. 공교육제도의 등장과 그 특징 = 98
Ⅲ. 우리나라 공교육제도 = 105
Ⅳ. 학교본위 공교육제도의 동요 = 113
Ⅴ. 평생교육의 출현 = 118
공교육의 역사성 / 이윤미 = 124
Ⅰ. 공교육의 위기와 교육적 '상식'의 변화? = 124
Ⅱ. 공교육의 '역사성' : 국가적 관리와 평등성의 한계 = 126
Ⅲ. 한국 공교육의 특성과 교육의 공공성 = 136
근대공교육 사상의 한국적 이해 / 윤종혁 = 142
Ⅰ. 서론 = 142
Ⅱ. 근대화 교육론의 일반적 경향 = 143
Ⅲ.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공교육 = 147
Ⅳ. 근대공교육사상의 재해석에 대해서 = 153
Ⅴ. 결론 = 155
유상 중등교육의 팽창 / 김기석 = 158
Ⅰ. 연구의 문제 = 158
Ⅱ. 중등교육인구 팽창 규모 = 161
Ⅲ. 중등교육인구의 팽창 과정 = 169
Ⅳ. 결론 = 177
제Ⅲ부 공교육제도의 운영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와 교육 / 오욱환 = 189
Ⅰ. 자본주의 사회의 변화와 교육 = 189
Ⅱ. 현대 자본주의와 국가의 기능 = 190
Ⅲ. 자본주의 국가와 교육의 관계 = 196
Ⅳ. 현대 자본주의 국가에서 교육의 의미 = 211
의무교육정책 / 윤정일 = 218
Ⅰ. 의무교육의 의미와 원리 = 220
Ⅱ. 의무교육정책의 변천과정 = 224
Ⅲ. 의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231
Ⅳ. 의무교육정책의 쟁점 = 236
Ⅴ. 의무교육의 발전과제 = 241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논란과 전망 / 박부권 = 250
Ⅰ. 서론 = 250
Ⅱ. 고교 평준화 제도의 논란 = 255
Ⅲ.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전망 = 267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과 학력하향화 현상 / 성기선 = 277
Ⅰ. 서론 = 277
Ⅱ. 평준화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 279
Ⅲ. 자료 및 분석방법 = 282
Ⅳ. 분석결과 = 285
Ⅴ. 결론 = 289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향방에 대한 논란 / 강태중 = 293
Ⅰ. 머리말 = 293
Ⅱ.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성질 = 293
Ⅲ.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에 대한 논란의 주요 쟁점 = 297
Ⅳ.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에 관련된 쟁점의 검토와 제언 = 305
제Ⅳ부 공교육제도의 위기
과잉학력과 노동시장 / 황원철 = 313
Ⅰ. 과잉학력 의미의 다양성 = 313
Ⅱ. 과잉학력 개념의 적합성 = 319
Ⅲ. 노동시장이론에서 본 과잉학력 = 321
학교 교육의 위기와 원인 / 이종태 = 347
Ⅰ. 학교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 347
Ⅱ. 새로운 학교교육 위기론의 대두 = 352
Ⅲ. 학교교육의 현실 = 359
Ⅳ. 학교교육 위기의 원인 = 379
Ⅴ.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의 모색 = 386
교실붕괴 담론 분석 / 김성열 ; 고창규 = 405
Ⅰ. 문제의 제기 = 405
Ⅱ. 교실붕괴의 양상 = 407
Ⅲ. 교실붕괴담론에 나타난 교실붕괴의 원인 = 413
Ⅳ. 교실붕괴 담론에 나타난 대책 분석 = 433
Ⅴ. 맺음말 = 442
학교교육의 위기와 공교육 이념의 재검토 / 나병현 = 446
Ⅰ. 문제의 제기 = 446
Ⅱ. 공교육의 위기 = 447
Ⅲ. 공교육 이념의 재검토 = 451
Ⅳ. 맺음말 = 462
제Ⅴ부 공교육제도의 대안
좋은 학교의 교육철학·문화 / 이기범 = 475
Ⅰ. 들어가는 말 = 475
Ⅱ. "좋은" 학교의 교육철학과 문화에 대한 접근 방식 = 476
Ⅲ. "좋은" 학교의 교육철학과 문화의 구성 요소 = 479
Ⅳ. 맺는 말 = 496
교육민영화의 실현가능성과 한계 / 윤정일 ; 윤홍주 = 501
Ⅰ. 서론 = 501
Ⅱ. 교육민영화의 개념 및 유형 = 503
Ⅲ. 교육민영화의 전개과정 = 511
Ⅳ. 교육민영화에 대한 찬반론 = 519
Ⅴ. 교육민영화 정책의 한계 = 524
Ⅵ. 결론 = 527
미국의 교육 개혁 논의에 있어서 학교 선택권 담론 / 김재춘 = 532
Ⅰ. 서론 = 532
Ⅱ. 미국에서의 학교 선택권 담론 = 535
Ⅲ. 차터 학교의 알반적 특징 = 537
Ⅳ. 차터 학교의 구체적 사례 : 캘리포니아 차터 학교 = 541
Ⅴ. 결론 :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 = 546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운영모델 탐색 / 최준렬 ; 김성열 = 552
Ⅰ. 서론 = 552
Ⅱ.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의미 = 554
Ⅲ.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제안배경 = 556
Ⅳ.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기능과 역할 = 558
Ⅴ.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기대효과 = 560
Ⅵ.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모델 = 562
Ⅶ. 결어 = 569
대안학교의 가능성과 한계 / 조용환 = 574
Ⅰ. 서론 = 574
Ⅱ. 대안학교의 대안적 목표와 가능성 = 582
Ⅲ. 대안학교의 문제와 한계 = 600
Ⅳ. 결론 = 610
출처 = 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