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5
서문 = 10
머리말 = 23
제1부 여성주의 상담의 기초
제1장 여성주의 상담과 치료의 기초 = 30
1. 자기총평 : 여성과 남성 사이의 관계 = 30
2. 개관 = 31
3. 여성을 상담하고 치료하는 경우에서 전문성을 위한 이론적 배경 = 32
1) 전통적 치료에 대한 불만
4. 변화를 위한 촉매 = 35
5. 여성과 젠더의 심리학 = 36
1) 여성에 대한 새로운 정보
2) 섹스, 젠더, 성역할 그리고 성과 관련된 행동에 관한 수정된 관점
3) 다양성과 다문화적 관점
4) 여성주의 심리학
6. 새로운 내담자집단 = 51
1) 가족역할 변동
2) 여성과 폭력
3) 여성과 몸
4)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여성
7. 여성의 정신건강을 위한 연구 의제 = 54
8. 새로운 모델과 떠오르는 절차 = 55
1) 여성주의 심리학의 실천
2) 역량강화 모델
3) 윤리적 원리
9. 변화의 방향 = 62
10. 요약 = 63
11. 활동들 = 63
제2장 여성의 사회화 : 개인적ㆍ사회적 정체성의 발달 = 65
1. 자기총평 : 개인적 정체성의 탐색 = 65
2. 개관 = 66
3. 개인적ㆍ사회적 정체성의 탐색 = 68
1) 정체성의 특성들
2) 상담관계에서 개인적ㆍ사회적 정체성
3) 정체성 발달의 차원
4. 개인적ㆍ사회적 정체성 발달 모델 = 73
5. 성별화된 정체성 학습 = 75
1) 규칙 학습
2) 규칙 지배적인 학습
3) 젠더와 관련된 신념체계
6. 성역할분석 = 84
7. 사회제도의 역할 = 85
8. 가족 내에서의 사회화 = 86
1) 규칙 가르치기
2) 가족은 어떻게 가르치는가
3) 인지적 결과
4) 새로운 규칙 가르치기
5) 상담에 대한 함의
9. 매체의 메시지 = 93
1) 언어
2) 텔레비전, 비디오, 인터넷
10. 교육제도 = 97
1) 어린이가 배우는 것
2) 교사가 가르치는 것
3) 상담에 대한 함의
11. 직장 = 101
12. 내담자에 대한 함의 = 102
13. 요약 = 104
14. 활동들 = 104
1) 당신의 사회적 위치 판단하기
2) 문화적 메시지 드러내기
제3장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 = 108
1. 자기총평 : 여성에 대한 상담 = 108
1) 점수내기
2. 개관 = 109
3. 여성주의 상담 : 토대와 확장 = 110
1) 여성주의 상담의 범위
2) 여성주의 실천에서 교육과 훈련에 관한 제1차 전국대회
3) 여성주의 접근을 통합하기
4.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 = 113
1) 세계관 전제
2)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의 개괄
5. 다양성을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에 통합하는 도전과 과정 = 128
6.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의 기법 = 129
1) 문화분석
2) 성역할분석
3) 권력분석
4) 주장 훈련
5) 의식향상집단
6) 독서치료
7) 재구성과 재명명
8) 상담 탈신비화전략
7. 여성주의 역략강화상담의 특징 = 136
8.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 사례 분석 = 137
1) 니나와의 여성주의 역량강화전략
9. 요약 = 141
10. 활동들 = 142
1) 성역할분석 연습
2) 성역할 재구성
제4장 상담이론 탈바꿈시키기 = 145
1. 자기총평 : 이론적 입장을 분명히 하기 = 145
2. 개관 = 146
3. 이론 탈바꿈시키기를 위한 안내 = 146
1) 이론적 통합의 이점
2) 전통적 이론의 특징들
3)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을 위한 체제
4) 한 이론을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 체제로 탈바꿈시키기
4. 이론 탈바꿈하기의 적용 = 162
1) 인지행동적 개입
2) 인지행동이론의 논리
3) 여성주의 체제로 바뀐 인지행동이론
4) 사이코드라마
5) 사이코드라마 이론의 논리
6) 여성주의 상담에 부가적인, 사이코드라마의 잠재적 기여
7) 사이코드라마 이론을 여성주의 체제로 수정하기
8) 사이코드라마 이론의 재평가
5. 요약 = 182
6. 활동 : 이론적 경향을 탈바꿈시키기 = 183
제5장 총평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 184
1. 자기총평 : 내담자 묘사문에 대한 총평 = 184
2. 개관 = 186
3. 총평과 진단에 대한 전통적 접근 = 186
1) 총평
2) 진단
3) 총평과 진단적 접근에 대한 여성주의의 비판
4)「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Ⅳ」
4. 이 장의 자기총평 : 내담자 묘사문에 대한 피드백 = 202
5. 총평과 진단에 대한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의 접근 = 203
1)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의 전제
2) 개인적ㆍ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총평
3) 여성의 '증상'에 대한 여성주의적 관점
4) 여성의 삶에 대한 맥락적 총평
5) 환경총평전략
6) 진단에 대한 협력적 접근
7) 진단하거나 진단하지 않기
8) 검사에 대한 여성주의 접근
9) 협력적 총평전략
10) 여성의 힘과 긍정적 성과를 평가하기
6. 요약 = 214
7. 활동 = 214
1) 개인적ㆍ사회적 정체성 시간선
2) 실행변수
8. 개인진보척도 수정판 = 215
제2부 여성을 상담할 때 다루게 되는 생애 과제들
제6장 우울증에 대처하기 = 221
1. 자기총평 : 우울증에 관한 신념과 사실들 = 221
1) 점수내기
2. 개관 = 222
3. 실비아의 이야기 : 절망과 포기 = 223
1) 총평
2) 인상
4. 여성의 우울증 = 229
1) 발생률
2) 정의
5. 여성주의 우울증에서의 문제 = 231
1) 생물학적 요인
2) 사회적ㆍ상황적 요인
3) 성역활 사회화요인
6. 여성주의 역략강화상담의 개입전략 = 245
1) 5단계 모델
2) 개입전략 : 결론
7. 요약 = 256
8. 활동들 = 256
1) 자기총평 : 우울에 대한 신념과 사실
2) 여성주의 사례분석연습
제7장 진로 선택하기 = 259
1. 자기총평 : 당신의 직업적 발달을 분석하기 = 259
2. 개관 = 260
3. 미쉘의 이야기 : 비전통적인 직업적 관심 = 261
4. 정의 = 262
5. 여성의 직업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263
1) 외적 요인 : 문화적 사회화와 제도화된 억압
2) 복합적 위험
3) 내면화된 요인
4) 내면화된 요인 : 요약
6. 변화 주도적 직업상담 모델 = 290
1) 미쉘의 상담 : 잠재력 발견과 총평
2) 대안을 만들고 정보를 모으기
7. 요약 = 298
8. 활동들 = 299
제8장 성폭력에서 살아남기 = 301
1. 자기총평 : 강간에 대한 신념들 = 301
2. 개관 = 302
1) 안나의 이야기 : 지연된 외상 후 (강간) 반응
3. 강간의 문화분석 = 304
4. 강간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 = 305
5. 서구사회에 대한 문화분석 = 306
1) 강간에 대한 문화적 신화
2) 성역할분석
3) 권력분석
4) 상호작용효과
6. 강간의 정의와 유병률 = 312
1) 강간의 정의
2) 강간의 유병률
7. 강간에 대처하기 = 315
8. 여성주의 역량간화 단계 모델 = 316
1) 단계 1 : 강간 전 : 강간에 대한 문화적 사회화
2) 단계 2 : 강간사건
3) 단계 3 : 위기와 탈조직화
4) 단계 4 : 외부로 향하는 만족스러운 적응과 거부
5) 단계 5 : 재체험과 훈습
6) 단계 6 : 해결과 통합
9. 여성주의 역량강화 강간상담 : 개관 = 323
10. 다문화적 고려 = 324
1)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아메리카 원주민 강간 생존자
11. 안나의 상담여행 = 326
1) 단계 5 : 재체험과 훈습
2) 단계 6 : 해결과 통합
12. 치유에 대한 여성주의적 시각 = 338
13. 요약 = 339
14. 활동들 = 340
제9장 가정폭력에 직면하기 = 342
1. 자기총평 : 친밀한 관계에서의 학대에 관한 신념 = 342
1) 점수내기
2. 개관 = 343
3. 레이첼의 이야기 : 학대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한 투쟁 = 345
1) 학대를 부인함
2) 학대를 드러냄
3) 학대에 직면함
4) 총평
5) 총평에서의 사전경계
6) 총평의 목표
7) 총평의 결과
8) 인상
4. 여성학대에 관한 사실들 = 359
1) 발생률
2) 부부 간 학대
3) 결혼관계가 아닌 관계에서의 학대
4) 최후의 수단
5. 학대와 폭력의 개념 = 363
6. 여성에 대한 학대의 문제 = 364
1) 여성에 대한 학대 모델
2) 남성폭력에 대한 사회적 지지
3) 가해자 관점
4) 피해자의 딜레마
7. 중재전략 = 370
1) 상담능력
2) 폭력적 학대에 대한 개입 모델
8. 결론 = 381
9. 요약 = 382
10. 활동들 = 382
제3부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자 되기
제10장 연구를 재고하기 = 387
1. 자기총평 : 편견에 대한 연구를 평가하기 = 387
2. 개관 = 387
3. 연구를 재고하기 = 388
1) 전통적 전제에 질문하기
2) 객관적이고 가치중립적인 것으로서의 과학
3) 객관성의 윤리를 평가하기
4. 연구에 나타나는 편견의 근원 = 391
1) 재고된 객관성
2) 어떤 주제를 연구해야 하는가?
3) 질문은 무엇인가?
4) 개입에 대한 함의
5) 어떤 집단이 표집되는가?
5. 전통적 연구는 어떻게 젠더적이고 민족문화적인 편견을 반영하는가? = 395
1) 연구자의 특성
2) 업무의 특성
3) 도구사용
4) 자료분석과 해석
6. 여성주의와 다양성 수정판 = 400
1) 가치중립적인 과학에 질문하기
2) 도입된 여성주의 다양성 가치들
7. 여성주의 다양성으로 탈바꿈시키기 = 401
1) 연구의 활용
8. 상담, 심리치료과정, 성과를 평가하기 = 407
1) 여성주의적 개입의 수준들
2) 여성주의 상담 성과를 평가하는 경우에서의 도전
9. 평가 연구로 가는 문을 열기 = 410
1) 상담자의 행동에 대한 상담자와 내담자의 보고
2) 여성주의 개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
10. 결론 = 415
11. 요약 = 416
12. 활동들 = 417
제11장 윤리와 실천의 문제들을 탐색하기 = 419
1. 자기총평 : 윤리적 문제들 = 419
2. 개관 = 420
3. 윤리적 문제들 = 421
1) 윤리에 관한 여성주의적 관점
2) 여성주의와 다문화적 관점을 통합하는 것에서의 윤리적 도전
3) 경계지역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4. 여성을 상담하는 것과 관련된 지침들 = 424
1) 여성의 상담과 심리치료에 관한 미국 심리학회의 원칙
2) 여성주의 치료 네트워크의 윤리규범
3) 여성주의 치료기구의 윤리규범
4)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 내담자와 함께 하는 심리치료를 위한 지침
5) 문화적으로 유능한 실천, 교육과 훈련, 연구에 대한 지침
6) 지침서 사이의 공통점
5. 윤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여성주의 모델 = 431
6. 여성주의 상담자들을 위한 특수한 문제의 제기 = 433
7. 이중적이고 중첩된 관계들 = 433
1) 내담자와의 성적 부정
2) 비성적 중첩관계
3) 경계적 딜레마의 해결
4) 내담자 상담자의 권력문제
5) 권력 문제의 요약
8. 경신된 사전총평 연습 = 443
9. 여성주의 상담자로서 '커밍아웃'하기 = 443
10. 요약 = 446
11. 활동 = 447
1) 사례적용
제12장 여성주의 다양성 모델의 훈련 = 449
1. 자기총평 : 현재의 교육적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 449
2. 개관 = 449
3. 여성주의 관점의 발달 = 450
1) 여성주의 자각 이전
2)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
3)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의 모델
4) 모델의 적용
4. 여성주의 다양성 훈련 모델 = 457
1) 태도와 가치
2) 구조
3) 자원
4) 외부활동
5) 부록
6) 결과를 평가하기
5. 요약과 결론 = 471
6. 활동들 = 472
참고문헌 = 473
부록 : 가정폭력 및 성폭력 관련 상담 통계 자료 = 507
찾아보기 = 547
역자 서문 = 5
서문 = 10
머리말 = 23
제1부 여성주의 상담의 기초
제1장 여성주의 상담과 치료의 기초 = 30
1. 자기총평 : 여성과 남성 사이의 관계 = 30
2. 개관 = 31
3. 여성을 상담하고 치료하는 경우에서 전문성을 위한 이론적 배경 = 32
1) 전통적 치료에 대한 불만
4. 변화를 위한 촉매 = 35
5. 여성과 젠더의 심리학 = 36
1) 여성에 대한 새로운 정보
2) 섹스, 젠더, 성역할 그리고 성과 관련된 행동에 관한 수정된 관점
3) 다양성과 다문화적 관점
4) 여성주의 심리학
6. 새로운 내담자집단 = 51
1) 가족역할 변동
2) 여성과 폭력
3) 여성과 몸
4)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여성
7. 여성의 정신건강을 위한 연구 의제 = 54
8. 새로운 모델과 떠오르는 절차 = 55
1) 여성주의 심리학의 실천
2) 역량강화 모델
3) 윤리적 원리
9. 변화의 방향 = 62
10. 요약 = 63
11. 활동들 = 63
제2장 여성의 사회화 : 개인적ㆍ사회적 정체성의 발달 = 65
1. 자기총평 : 개인적 정체성의 탐색 = 65
2. 개관 = 66
3. 개인적ㆍ사회적 정체성의 탐색 = 68
1) 정체성의 특성들
2) 상담관계에서 개인적ㆍ사회적 정체성
3) 정체성 발달의 차원
4. 개인적ㆍ사회적 정체성 발달 모델 = 73
5. 성별화된 정체성 학습 = 75
1) 규칙 학습
2) 규칙 지배적인 학습
3) 젠더와 관련된 신념체계
6. 성역할분석 = 84
7. 사회제도의 역할 = 85
8. 가족 내에서의 사회화 = 86
1) 규칙 가르치기
2) 가족은 어떻게 가르치는가
3) 인지적 결과
4) 새로운 규칙 가르치기
5) 상담에 대한 함의
9. 매체의 메시지 = 93
1) 언어
2) 텔레비전, 비디오, 인터넷
10. 교육제도 = 97
1) 어린이가 배우는 것
2) 교사가 가르치는 것
3) 상담에 대한 함의
11. 직장 = 101
12. 내담자에 대한 함의 = 102
13. 요약 = 104
14. 활동들 = 104
1) 당신의 사회적 위치 판단하기
2) 문화적 메시지 드러내기
제3장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 = 108
1. 자기총평 : 여성에 대한 상담 = 108
1) 점수내기
2. 개관 = 109
3. 여성주의 상담 : 토대와 확장 = 110
1) 여성주의 상담의 범위
2) 여성주의 실천에서 교육과 훈련에 관한 제1차 전국대회
3) 여성주의 접근을 통합하기
4.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 = 113
1) 세계관 전제
2)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의 개괄
5. 다양성을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에 통합하는 도전과 과정 = 128
6.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의 기법 = 129
1) 문화분석
2) 성역할분석
3) 권력분석
4) 주장 훈련
5) 의식향상집단
6) 독서치료
7) 재구성과 재명명
8) 상담 탈신비화전략
7. 여성주의 역략강화상담의 특징 = 136
8.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 사례 분석 = 137
1) 니나와의 여성주의 역량강화전략
9. 요약 = 141
10. 활동들 = 142
1) 성역할분석 연습
2) 성역할 재구성
제4장 상담이론 탈바꿈시키기 = 145
1. 자기총평 : 이론적 입장을 분명히 하기 = 145
2. 개관 = 146
3. 이론 탈바꿈시키기를 위한 안내 = 146
1) 이론적 통합의 이점
2) 전통적 이론의 특징들
3)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을 위한 체제
4) 한 이론을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 체제로 탈바꿈시키기
4. 이론 탈바꿈하기의 적용 = 162
1) 인지행동적 개입
2) 인지행동이론의 논리
3) 여성주의 체제로 바뀐 인지행동이론
4) 사이코드라마
5) 사이코드라마 이론의 논리
6) 여성주의 상담에 부가적인, 사이코드라마의 잠재적 기여
7) 사이코드라마 이론을 여성주의 체제로 수정하기
8) 사이코드라마 이론의 재평가
5. 요약 = 182
6. 활동 : 이론적 경향을 탈바꿈시키기 = 183
제5장 총평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 184
1. 자기총평 : 내담자 묘사문에 대한 총평 = 184
2. 개관 = 186
3. 총평과 진단에 대한 전통적 접근 = 186
1) 총평
2) 진단
3) 총평과 진단적 접근에 대한 여성주의의 비판
4)「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Ⅳ」
4. 이 장의 자기총평 : 내담자 묘사문에 대한 피드백 = 202
5. 총평과 진단에 대한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의 접근 = 203
1)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의 전제
2) 개인적ㆍ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총평
3) 여성의 '증상'에 대한 여성주의적 관점
4) 여성의 삶에 대한 맥락적 총평
5) 환경총평전략
6) 진단에 대한 협력적 접근
7) 진단하거나 진단하지 않기
8) 검사에 대한 여성주의 접근
9) 협력적 총평전략
10) 여성의 힘과 긍정적 성과를 평가하기
6. 요약 = 214
7. 활동 = 214
1) 개인적ㆍ사회적 정체성 시간선
2) 실행변수
8. 개인진보척도 수정판 = 215
제2부 여성을 상담할 때 다루게 되는 생애 과제들
제6장 우울증에 대처하기 = 221
1. 자기총평 : 우울증에 관한 신념과 사실들 = 221
1) 점수내기
2. 개관 = 222
3. 실비아의 이야기 : 절망과 포기 = 223
1) 총평
2) 인상
4. 여성의 우울증 = 229
1) 발생률
2) 정의
5. 여성주의 우울증에서의 문제 = 231
1) 생물학적 요인
2) 사회적ㆍ상황적 요인
3) 성역활 사회화요인
6. 여성주의 역략강화상담의 개입전략 = 245
1) 5단계 모델
2) 개입전략 : 결론
7. 요약 = 256
8. 활동들 = 256
1) 자기총평 : 우울에 대한 신념과 사실
2) 여성주의 사례분석연습
제7장 진로 선택하기 = 259
1. 자기총평 : 당신의 직업적 발달을 분석하기 = 259
2. 개관 = 260
3. 미쉘의 이야기 : 비전통적인 직업적 관심 = 261
4. 정의 = 262
5. 여성의 직업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263
1) 외적 요인 : 문화적 사회화와 제도화된 억압
2) 복합적 위험
3) 내면화된 요인
4) 내면화된 요인 : 요약
6. 변화 주도적 직업상담 모델 = 290
1) 미쉘의 상담 : 잠재력 발견과 총평
2) 대안을 만들고 정보를 모으기
7. 요약 = 298
8. 활동들 = 299
제8장 성폭력에서 살아남기 = 301
1. 자기총평 : 강간에 대한 신념들 = 301
2. 개관 = 302
1) 안나의 이야기 : 지연된 외상 후 (강간) 반응
3. 강간의 문화분석 = 304
4. 강간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 = 305
5. 서구사회에 대한 문화분석 = 306
1) 강간에 대한 문화적 신화
2) 성역할분석
3) 권력분석
4) 상호작용효과
6. 강간의 정의와 유병률 = 312
1) 강간의 정의
2) 강간의 유병률
7. 강간에 대처하기 = 315
8. 여성주의 역량간화 단계 모델 = 316
1) 단계 1 : 강간 전 : 강간에 대한 문화적 사회화
2) 단계 2 : 강간사건
3) 단계 3 : 위기와 탈조직화
4) 단계 4 : 외부로 향하는 만족스러운 적응과 거부
5) 단계 5 : 재체험과 훈습
6) 단계 6 : 해결과 통합
9. 여성주의 역량강화 강간상담 : 개관 = 323
10. 다문화적 고려 = 324
1)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아메리카 원주민 강간 생존자
11. 안나의 상담여행 = 326
1) 단계 5 : 재체험과 훈습
2) 단계 6 : 해결과 통합
12. 치유에 대한 여성주의적 시각 = 338
13. 요약 = 339
14. 활동들 = 340
제9장 가정폭력에 직면하기 = 342
1. 자기총평 : 친밀한 관계에서의 학대에 관한 신념 = 342
1) 점수내기
2. 개관 = 343
3. 레이첼의 이야기 : 학대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한 투쟁 = 345
1) 학대를 부인함
2) 학대를 드러냄
3) 학대에 직면함
4) 총평
5) 총평에서의 사전경계
6) 총평의 목표
7) 총평의 결과
8) 인상
4. 여성학대에 관한 사실들 = 359
1) 발생률
2) 부부 간 학대
3) 결혼관계가 아닌 관계에서의 학대
4) 최후의 수단
5. 학대와 폭력의 개념 = 363
6. 여성에 대한 학대의 문제 = 364
1) 여성에 대한 학대 모델
2) 남성폭력에 대한 사회적 지지
3) 가해자 관점
4) 피해자의 딜레마
7. 중재전략 = 370
1) 상담능력
2) 폭력적 학대에 대한 개입 모델
8. 결론 = 381
9. 요약 = 382
10. 활동들 = 382
제3부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자 되기
제10장 연구를 재고하기 = 387
1. 자기총평 : 편견에 대한 연구를 평가하기 = 387
2. 개관 = 387
3. 연구를 재고하기 = 388
1) 전통적 전제에 질문하기
2) 객관적이고 가치중립적인 것으로서의 과학
3) 객관성의 윤리를 평가하기
4. 연구에 나타나는 편견의 근원 = 391
1) 재고된 객관성
2) 어떤 주제를 연구해야 하는가?
3) 질문은 무엇인가?
4) 개입에 대한 함의
5) 어떤 집단이 표집되는가?
5. 전통적 연구는 어떻게 젠더적이고 민족문화적인 편견을 반영하는가? = 395
1) 연구자의 특성
2) 업무의 특성
3) 도구사용
4) 자료분석과 해석
6. 여성주의와 다양성 수정판 = 400
1) 가치중립적인 과학에 질문하기
2) 도입된 여성주의 다양성 가치들
7. 여성주의 다양성으로 탈바꿈시키기 = 401
1) 연구의 활용
8. 상담, 심리치료과정, 성과를 평가하기 = 407
1) 여성주의적 개입의 수준들
2) 여성주의 상담 성과를 평가하는 경우에서의 도전
9. 평가 연구로 가는 문을 열기 = 410
1) 상담자의 행동에 대한 상담자와 내담자의 보고
2) 여성주의 개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
10. 결론 = 415
11. 요약 = 416
12. 활동들 = 417
제11장 윤리와 실천의 문제들을 탐색하기 = 419
1. 자기총평 : 윤리적 문제들 = 419
2. 개관 = 420
3. 윤리적 문제들 = 421
1) 윤리에 관한 여성주의적 관점
2) 여성주의와 다문화적 관점을 통합하는 것에서의 윤리적 도전
3) 경계지역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4. 여성을 상담하는 것과 관련된 지침들 = 424
1) 여성의 상담과 심리치료에 관한 미국 심리학회의 원칙
2) 여성주의 치료 네트워크의 윤리규범
3) 여성주의 치료기구의 윤리규범
4)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 내담자와 함께 하는 심리치료를 위한 지침
5) 문화적으로 유능한 실천, 교육과 훈련, 연구에 대한 지침
6) 지침서 사이의 공통점
5. 윤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여성주의 모델 = 431
6. 여성주의 상담자들을 위한 특수한 문제의 제기 = 433
7. 이중적이고 중첩된 관계들 = 433
1) 내담자와의 성적 부정
2) 비성적 중첩관계
3) 경계적 딜레마의 해결
4) 내담자 상담자의 권력문제
5) 권력 문제의 요약
8. 경신된 사전총평 연습 = 443
9. 여성주의 상담자로서 '커밍아웃'하기 = 443
10. 요약 = 446
11. 활동 = 447
1) 사례적용
제12장 여성주의 다양성 모델의 훈련 = 449
1. 자기총평 : 현재의 교육적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 449
2. 개관 = 449
3. 여성주의 관점의 발달 = 450
1) 여성주의 자각 이전
2)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
3)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의 모델
4) 모델의 적용
4. 여성주의 다양성 훈련 모델 = 457
1) 태도와 가치
2) 구조
3) 자원
4) 외부활동
5) 부록
6) 결과를 평가하기
5. 요약과 결론 = 471
6. 활동들 = 472
참고문헌 = 473
부록 : 가정폭력 및 성폭력 관련 상담 통계 자료 = 507
찾아보기 = 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