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5
제1부 DDC의 과거와 현재
제1장 DDC의 탄생과 발전 = 29
1.1. Dewey의 업적 = 29
1.2. DDC의 창안과 그 의의 = 32
1.2.1. DDC의 창안 과정 = 32
1.2.2. 문헌분류이론상의 DDC의 의의 = 34
1.3. DDC의 발전과 이용 = 35
1.3.1. DDC의 역사 = 36
1.3.2. DDC의 개정 절차 = 41
1.3.3. DDC의 이용 현황 = 43
제2장 일반적 특성과 평가 = 47
2.1. DDC의 일반적 특성 = 47
2.1.1. 학문에 의한 분류 = 47
2.1.2. 계층적 구조 = 49
2.1.3. 십진식에 의한 전개 = 52
2.1.4. 조기성의 도입 = 53
2.2. DDC에 대한 일반적 평가 = 55
제3장 제22판의 성격과 구조 = 59
3.1. 제22판의 발행 과정과 그 특징 = 59
3.1.1. 제22판의 발행 과정 = 60
3.1.2. 미국의회도서관(LC)과 DDC 편집정책위원회(EPC)의 역할과 방침 = 60
3.1.3. 제22판의 새로운 특징 = 61
3.1.4. 제22판의 주요 변경 사항 = 64
3.2. 제22판의 포맷과 기본 구조 = 66
3.2.1. 제1권 : 서론, 보조표, 비교표 등 = 67
3.2.2. 제2권과 제3권 : 본표 = 69
3.2.3. 제4권 : 상관 색인과 매뉴얼 = 73
제4장 제22판의 주기와 지시 사항 = 77
4.1. 주기의 성격과 종류 = 77
4.2. 해당류와 그 세목에 나타나 있는 것을 설명하는 주기 = 78
4.2.1. 정의 주기 = 79
4.2.2. 범위 주기 = 79
4.2.3. 합성 기호 주기 = 79
4.2.4. 이전 표목 주기 = 80
4.2.5. 별명 주기 = 80
4.2.6. 분류 지시 주기 = 80
4.3. "입석"의 토픽들을 식별해 주는 포함 주기 = 81
4.4. 다른 유에 나타나 있는 것을 설명해 주는 주기 = 82
4.4.1. 분류 기호 안내 주기 = 82
4.4.2. 보라 참조 = 84
4.4.3. 도보라 참조 = 84
4.5. 본표와 보조표의 변경 사항이나 불규칙성을 설명해 주는 주기 = 85
4.5.1. 개정 주기 = 85
4.5.2. 미사용 주기 = 85
4.5.3. 재배치 주기 = 86
4.5.4. 사용 금지 주기 = 87
4.6. 메뉴얼 참조 주기 = 88
4.7. 기호 합성 주기 = 88
4.7.1. 주기와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기호의 합성 = 89
4.7.2. 구체적 주기에 따른 기호의 합성 = 90
제5장 제22판을 사용한 분류 작업의 실제 = 93
5.1. 분류 작업의 일반적 단계와 분류 규정 = 93
5.2. 주제와 학문의 파악과 결정 = 94
5.2.1. 문헌의 주제 결정 = 94
5.2.2. 문헌의 학문 결정 = 96
5.2.3. 동일 학문에 속하는 둘 이상의 주제 = 97
5.2.4. 둘 이상의 학문 = 99
5.2.5. 최종적인 참고표 = 100
5.3. 비주제적 측면의 분석 = 101
5.3.1. 저자의 관점 = 101
5.3.2. 표현 형식 = 102
5.3.3. 매체와 형식 = 102
5.4. 분류 기호의 합성 = 102
5.4.1. 제1보조표를 사용하는 방법 = 103
5.4.2. 제2보조표부터 제6보조표를 사용하는 방법 = 104
5.4.3. 본표의 다른 부분으로부터의 합성 = 105
5.4.4. 본표에 마련되어 있는 부가표로부터의 합성 = 106
5.5. 열거 순서와 우선순위 = 106
5.5.1. 열거 순서 = 107
5.5.2. 우선 순위 = 108
5.6. 임의 규정(선택 조항) = 108
5.7. 상세 분류와 간략 분류 = 110
5.8. 한국 관련 항목의 재전개 = 111
제2부 보조표의 분석
제6장 제1보조표 표준세구분표 = 115
6.1. 표준세구분표의 개념과 개요, 주요 개정 부분 = 115
6.1.1. 표준세구분표의 개념과 개요 = 115
6.1.2. 표준세구분표의 주요 개정 부분 = 118
6.2. 표준세구분표의 특성 = 118
6.3. 표준세구분표의 사용법 = 120
6.3.1. 표준세구분표의 적용 단계 = 120
6.3.2. 영(0)의 사용 규칙 = 121
6.3.3. 표준세구분표 적용상의 기타 유의 사항 = 125
6.3.4. 표준세구분표의 우선순위 = 129
6.4. 표준세구분표의 적용 사례 분석 = 130
제7장 제2보조표 지역구분표 = 133
7.1. 지역구분표의 개념과 개요, 주요 개정 부분 = 133
7.1.1. 지역구분표의 개념과 개요 = 133
7.1.2. 지역구분표의 주요 개정 부분 = 138
7.2. 지역구분표의 특성 = 139
7.3. 지역구분표의 사용법 = 139
7.3.1. 부가 지시 사항에 따른 지역구분표의 사용 = 140
7.3.2. 표준세구분표의 -09를 사용하는 방법 = 141
7.4. 한국도서관을 위한 지역구분표의 재전개 방안 = 142
7.5. 지역구분표의 적용 사례 분석 = 144
제8장 제3보조표 문학형식구분표 = 147
8.1. 문학형식구분표의 개념과 특성, 주요 개정 부분 = 147
8.1.1. 문학형식구분표의 개념과 개요 = 147
8.1.2. 문학형식구분표의 주요 개정 부분 = 148
8.2. 문학형식구분표의 사용법 = 149
8.2.1. DDC 문학류의 기본적인 구조 = 149
8.2.2. 보조표 T.3A의 사용법 = 150
8.2.3. 보조료 T.3B와 T.3C의 사용법 = 156
8.3. 문학형식구분표의 적용 사례 분석 = 163
제9장 제4보조표 언어공통구분표와 제6보조표 국어구분표 = 167
9.1. 언어공통구분표의 특성과 사용법 = 167
9.1.1. 언어공통구분표의 개념과 특성 = 167
9.1.2. 언어공통구분표의 주요 개정 부분 = 169
9.1.3. 언어공통부분표의 사용법 = 169
9.2. 국어구분표의 특성과 사용법 = 174
9.2.1. 국어구분표의 개념과 특성 = 174
9.2.2. 국어구분표의 주요 개정 부분 = 175
9.2.3. 국어구분표의 사용법 = 175
9.2.4. 한국 도서관을 위한 국어구분표의 재전개 방안 = 177
9.3. 언어공통구분표와 국어구분표의 적용 사례 분석 = 178
제10장 제5보조표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 = 181
10.1.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의 개념과 특성, 주요 개정 부분 = 181
10.1.1.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의 개념과 개요 = 182
10.1.2.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의 주요 개정 부분 = 182
10.2.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의 사용법 = 183
10.3. 한국도서관을 위한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의 재전개 방안 = 185
10.4.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의 적용 사례 분석 = 186
제3부 본표의 분석
제11장 주류 000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 = 189
11.1.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개념과 특성 = 189
11.2.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190
11.2.1.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개요 = 190
11.2.2.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주요 개정 부분 = 192
11.3.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192
11.3.1. 특정 유형의 컴퓨터에 사용하기 위한 운영 체제(005.44) = 192
11.3.2. 특정 주제나 학문 분야에 관한 저작의 서지와 목록(106) = 193
11.3.3. 관종별 도서관의 경영과 관리(025.19) = 194
11.3.4. 기타 언어로 된 일반 연속간행물(059) = 196
11.3.5. 기타 지역의 저널리즘과 신문(079) = 197
11.4. 한국도서관을 위한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재전개 = 198
11.5.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00
제12장 주류 100 철학 및 심리학 = 203
12.1. 철학 및 심리학류의 개념과 특성 = 203
12.2. 철학 및 심리학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204
12.2.1. 철학 및 심리학류의 개요 = 205
12.2.2. 철학 및 심리학류의 주요 개정 부분 = 207
12.3. 철학 및 심리학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208
12.3.1. 특정 분야에 대한 점성술의 응용(133.58) = 208
12.3.2. 아동의 의식적인 정신 활동과 지능(155.413) = 209
12.3.3. 기타 전문직 및 직업의 윤리(174.9) = 209
12.3.4. 특정 종료를 기반으로 하는 동양 철학(181.04-181.09) = 210
12.3.5. 기타 지역의 서양 철학(199) = 211
12.4. 한국도서관을 위한 철학류의 재전개 = 212
12.5. 철학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13
제13장 주류 200 종교 = 217
13.1. 종교류의 개념과 특성 = 217
13.2. 종교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218
13.2.1. 종교류의 개요 = 218
13.2.2. 종교류의 주요 개정 부분 = 220
13.3. 기독교 이외의 종교를 강조하기 위한 임의 규정 = 220
13.4. 종교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221
13.4.1. 초기 라틴어판 성서(220.47) = 221
13.4.2. 신약 성서(225) = 222
13.4.3. 성서나 위경서, 외경서의 각 부분(221-229) = 224
13.4.4. 기독교 각 교파의 교리(230.1-.9) = 225
13.4.5. 기타 종교(기독교 이외의 종교)(290) = 226
13.5. 한국도서관을 위한 종교류의 재전개 = 228
13.6. 종교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30
제14장 주류 300 사회과학 = 223
14.1. 사회과학류의 개념과 특성 = 233
14.2. 사회과학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233
14.2.1. 사회과학류의 개요 = 234
14.2.2. 사회과학류의 주요 개정 부분 = 241
14.3. 사회과학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242
14.3.1. 특종 종교 집단(305.6) = 243
14.3.2. 특정 지역의 경제 상황(330.93-.99) = 244
14.3.3. 선거법(342.07) = 245
14.3.4. 해군(359.96) = 246
14.3.5. 특정 언어의 민속 문학(398.204) = 247
14.4. 한국도서관을 위한 사회과학류의 재전개 = 248
14.5. 사회과학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50
제15장 주류 400 언어 = 253
15.1. 언어류의 개념과 특성 = 253
15.2. 언어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254
15.2.1. 언어류의 개요 = 254
15.2.2. 언어류의 주요 개정 부분 = 255
15.3. 자국어를 강조하기 위한 임의 규정 = 256
15.4. 언어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257
15.4.1. 단일어로 된 정의를 가진 다국어 사전(413.2-.9) = 257
15.4.2. 잉글랜드의 영어 방언(427.1-.8) = 258
15.4.3. 오세아니아의 비오스트로네시아어, 오스트로네시아어, 기타어(499) = 258
15.5. 한국도서관을 위한 언어류의 재전개 = 260
15.6. 언어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60
제16장 주류 500 과학 = 265
16.1. 과학류의 개념과 특성 = 265
16.2. 과학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265
16.2.1. 과학류의 개요 = 266
16.2.2. 과학류의 주요 개정 부분 = 271
16.3. 자연과학 및 수학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272
16.3.1. 물리학의 표준세구분(530.01-.09) = 272
16.3.2. 산(酸)에 관한 이론 화학(547.037044) = 273
16.3.3. 특정 지역의 지구과학(554-559) = 275
16.3.4. 동물 세포생물학(571.61) = 275
16.3.5. 무척추 동물의 진화(592.138) = 276
16.4. 한국도서관을 위한 과학류의 재전개 = 277
16.5. 과학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78
제17장 주류 600 기술과학 = 281
17.1. 기술과학류의 개념과 특성 = 281
17.2. 기술과학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282
17.2.1. 기술과학류의 개요 = 282
17.2.2. 기술과학류의 주요 개정 부분 = 288
17.3. 기술과학류의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291
17.3.1. 혈우병의 치료(616.157206) = 291
17.3.2. 전자 회로(621.38132) = 293
17.3.3. 특정 지역 요리의 특성(641.593-.599) = 294
17.3.4. 마케팅의 표준세구분(658.8001-.8009) = 294
17.3.5. 특정 유형의 건물의 건축(690.5-.8) = 295
17.4. 한국도서관을 위한 기술과학류의 재전개 = 296
17.5. 기술과학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97
제18장 주류 700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 = 301
18.1.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의 개념과 특성 = 301
18.2.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302
18.2.1.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의 개요 = 302
18.2.2.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의 주요 개정 부분 = 308
18.3.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308
18.3.1. 특정 테마 및 주제를 다루는 예술(700.42-.48) = 308
18.3.2. 기타 특정 주제의 조상(彫像)(731.82-.89) = 309
18.3.3. 음악과 다른 주제와의 관계(780.0001-.0999) = 311
18.3.4. 특정 민족 및 국가군의 민속 음악(781.621-.629) = 311
18.3.5. 특정 계층의 사람들을 위한 실내 게임 및 오락 활동과 프로그램(793.019) = 313
18.4. 한국도서관을 위한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의 재전개 = 314
18.5.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의 적용 사례 분석 = 316
제19장 주류 800 문학 = 319
19.1. 문학류의 개념과 특성 = 319
19.2. 문학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320
19.2.1. 문학류의 개요 = 321
19.2.2. 문학류의 주요 개정 부분 = 322
19.2.3. 자국 문학을 강조하기 위한 임의 규정 = 322
19.3. 문학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323
19.3.1. 기타 언어 문장 작법(808.043-.049) = 323
19.3.2. 특정 시대의 문학 전집(808.8001-.8005) = 325
19.3.3. 특정 형식의 문학에 대한 비평(809.1-.7) = 325
19.3.4. 특정 주제를 강조하는 문학에 대한 비평(809.935) = 327
19.3.5. 오세아니아의 비오스트로네시아어, 오스트로네시아어, 기타어 문학(899) = 327
19.4. 한국도서관을 위한 문학류의 재전개 = 329
19.5. 문학류의 적용 사례 분석 = 331
제20장 주류 900 역사 및 지리 = 335
20.1. 역사 및 지리류의 개념과 특성 = 335
20.2. 역사 및 지리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336
20.2.1. 역사 및 지리류의 개요 = 336
20.2.2. 역사 및 지리류의 주요 개정 부분 = 337
20.3. 전기에 대한 임의 규정 = 338
20.4. 역사 및 지리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339
20.4.1. 특정 민족 및 국가군에 관련된 세계사(909.04) = 339
20.4.2. 특정 국가에 의한 발견과 탐험(910.93-.99) = 340
20.4.3. 특정 국가에 대한 여행(913-919) = 341
20.4.4. 과학자의 전기(925) = 342
20.4.5. 영국사(941) = 343
20.5. 한국도서관을 위한 역사 및 지리류의 재전개 = 344
20.6. 역사 및 지리류의 적용 사례 분석 = 345
참고문헌 = 349
부록
Ⅰ. DDC 제22판의 주류표, 100구분표, 보조표의 개요 = 355
Ⅱ. DDC 및 문헌 분류 관련 용어 해설 = 367
Ⅲ. DDC 및 문헌 분류 관련 주요 약어 = 375
Ⅳ. 저자기호법 = 377
국문색인 = 000
영문색인 = 000
서론 = 5
제1부 DDC의 과거와 현재
제1장 DDC의 탄생과 발전 = 29
1.1. Dewey의 업적 = 29
1.2. DDC의 창안과 그 의의 = 32
1.2.1. DDC의 창안 과정 = 32
1.2.2. 문헌분류이론상의 DDC의 의의 = 34
1.3. DDC의 발전과 이용 = 35
1.3.1. DDC의 역사 = 36
1.3.2. DDC의 개정 절차 = 41
1.3.3. DDC의 이용 현황 = 43
제2장 일반적 특성과 평가 = 47
2.1. DDC의 일반적 특성 = 47
2.1.1. 학문에 의한 분류 = 47
2.1.2. 계층적 구조 = 49
2.1.3. 십진식에 의한 전개 = 52
2.1.4. 조기성의 도입 = 53
2.2. DDC에 대한 일반적 평가 = 55
제3장 제22판의 성격과 구조 = 59
3.1. 제22판의 발행 과정과 그 특징 = 59
3.1.1. 제22판의 발행 과정 = 60
3.1.2. 미국의회도서관(LC)과 DDC 편집정책위원회(EPC)의 역할과 방침 = 60
3.1.3. 제22판의 새로운 특징 = 61
3.1.4. 제22판의 주요 변경 사항 = 64
3.2. 제22판의 포맷과 기본 구조 = 66
3.2.1. 제1권 : 서론, 보조표, 비교표 등 = 67
3.2.2. 제2권과 제3권 : 본표 = 69
3.2.3. 제4권 : 상관 색인과 매뉴얼 = 73
제4장 제22판의 주기와 지시 사항 = 77
4.1. 주기의 성격과 종류 = 77
4.2. 해당류와 그 세목에 나타나 있는 것을 설명하는 주기 = 78
4.2.1. 정의 주기 = 79
4.2.2. 범위 주기 = 79
4.2.3. 합성 기호 주기 = 79
4.2.4. 이전 표목 주기 = 80
4.2.5. 별명 주기 = 80
4.2.6. 분류 지시 주기 = 80
4.3. "입석"의 토픽들을 식별해 주는 포함 주기 = 81
4.4. 다른 유에 나타나 있는 것을 설명해 주는 주기 = 82
4.4.1. 분류 기호 안내 주기 = 82
4.4.2. 보라 참조 = 84
4.4.3. 도보라 참조 = 84
4.5. 본표와 보조표의 변경 사항이나 불규칙성을 설명해 주는 주기 = 85
4.5.1. 개정 주기 = 85
4.5.2. 미사용 주기 = 85
4.5.3. 재배치 주기 = 86
4.5.4. 사용 금지 주기 = 87
4.6. 메뉴얼 참조 주기 = 88
4.7. 기호 합성 주기 = 88
4.7.1. 주기와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기호의 합성 = 89
4.7.2. 구체적 주기에 따른 기호의 합성 = 90
제5장 제22판을 사용한 분류 작업의 실제 = 93
5.1. 분류 작업의 일반적 단계와 분류 규정 = 93
5.2. 주제와 학문의 파악과 결정 = 94
5.2.1. 문헌의 주제 결정 = 94
5.2.2. 문헌의 학문 결정 = 96
5.2.3. 동일 학문에 속하는 둘 이상의 주제 = 97
5.2.4. 둘 이상의 학문 = 99
5.2.5. 최종적인 참고표 = 100
5.3. 비주제적 측면의 분석 = 101
5.3.1. 저자의 관점 = 101
5.3.2. 표현 형식 = 102
5.3.3. 매체와 형식 = 102
5.4. 분류 기호의 합성 = 102
5.4.1. 제1보조표를 사용하는 방법 = 103
5.4.2. 제2보조표부터 제6보조표를 사용하는 방법 = 104
5.4.3. 본표의 다른 부분으로부터의 합성 = 105
5.4.4. 본표에 마련되어 있는 부가표로부터의 합성 = 106
5.5. 열거 순서와 우선순위 = 106
5.5.1. 열거 순서 = 107
5.5.2. 우선 순위 = 108
5.6. 임의 규정(선택 조항) = 108
5.7. 상세 분류와 간략 분류 = 110
5.8. 한국 관련 항목의 재전개 = 111
제2부 보조표의 분석
제6장 제1보조표 표준세구분표 = 115
6.1. 표준세구분표의 개념과 개요, 주요 개정 부분 = 115
6.1.1. 표준세구분표의 개념과 개요 = 115
6.1.2. 표준세구분표의 주요 개정 부분 = 118
6.2. 표준세구분표의 특성 = 118
6.3. 표준세구분표의 사용법 = 120
6.3.1. 표준세구분표의 적용 단계 = 120
6.3.2. 영(0)의 사용 규칙 = 121
6.3.3. 표준세구분표 적용상의 기타 유의 사항 = 125
6.3.4. 표준세구분표의 우선순위 = 129
6.4. 표준세구분표의 적용 사례 분석 = 130
제7장 제2보조표 지역구분표 = 133
7.1. 지역구분표의 개념과 개요, 주요 개정 부분 = 133
7.1.1. 지역구분표의 개념과 개요 = 133
7.1.2. 지역구분표의 주요 개정 부분 = 138
7.2. 지역구분표의 특성 = 139
7.3. 지역구분표의 사용법 = 139
7.3.1. 부가 지시 사항에 따른 지역구분표의 사용 = 140
7.3.2. 표준세구분표의 -09를 사용하는 방법 = 141
7.4. 한국도서관을 위한 지역구분표의 재전개 방안 = 142
7.5. 지역구분표의 적용 사례 분석 = 144
제8장 제3보조표 문학형식구분표 = 147
8.1. 문학형식구분표의 개념과 특성, 주요 개정 부분 = 147
8.1.1. 문학형식구분표의 개념과 개요 = 147
8.1.2. 문학형식구분표의 주요 개정 부분 = 148
8.2. 문학형식구분표의 사용법 = 149
8.2.1. DDC 문학류의 기본적인 구조 = 149
8.2.2. 보조표 T.3A의 사용법 = 150
8.2.3. 보조료 T.3B와 T.3C의 사용법 = 156
8.3. 문학형식구분표의 적용 사례 분석 = 163
제9장 제4보조표 언어공통구분표와 제6보조표 국어구분표 = 167
9.1. 언어공통구분표의 특성과 사용법 = 167
9.1.1. 언어공통구분표의 개념과 특성 = 167
9.1.2. 언어공통구분표의 주요 개정 부분 = 169
9.1.3. 언어공통부분표의 사용법 = 169
9.2. 국어구분표의 특성과 사용법 = 174
9.2.1. 국어구분표의 개념과 특성 = 174
9.2.2. 국어구분표의 주요 개정 부분 = 175
9.2.3. 국어구분표의 사용법 = 175
9.2.4. 한국 도서관을 위한 국어구분표의 재전개 방안 = 177
9.3. 언어공통구분표와 국어구분표의 적용 사례 분석 = 178
제10장 제5보조표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 = 181
10.1.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의 개념과 특성, 주요 개정 부분 = 181
10.1.1.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의 개념과 개요 = 182
10.1.2.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의 주요 개정 부분 = 182
10.2.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의 사용법 = 183
10.3. 한국도서관을 위한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의 재전개 방안 = 185
10.4.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의 적용 사례 분석 = 186
제3부 본표의 분석
제11장 주류 000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 = 189
11.1.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개념과 특성 = 189
11.2.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190
11.2.1.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개요 = 190
11.2.2.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주요 개정 부분 = 192
11.3.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192
11.3.1. 특정 유형의 컴퓨터에 사용하기 위한 운영 체제(005.44) = 192
11.3.2. 특정 주제나 학문 분야에 관한 저작의 서지와 목록(106) = 193
11.3.3. 관종별 도서관의 경영과 관리(025.19) = 194
11.3.4. 기타 언어로 된 일반 연속간행물(059) = 196
11.3.5. 기타 지역의 저널리즘과 신문(079) = 197
11.4. 한국도서관을 위한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재전개 = 198
11.5. 컴퓨터과학ㆍ정보ㆍ총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00
제12장 주류 100 철학 및 심리학 = 203
12.1. 철학 및 심리학류의 개념과 특성 = 203
12.2. 철학 및 심리학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204
12.2.1. 철학 및 심리학류의 개요 = 205
12.2.2. 철학 및 심리학류의 주요 개정 부분 = 207
12.3. 철학 및 심리학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208
12.3.1. 특정 분야에 대한 점성술의 응용(133.58) = 208
12.3.2. 아동의 의식적인 정신 활동과 지능(155.413) = 209
12.3.3. 기타 전문직 및 직업의 윤리(174.9) = 209
12.3.4. 특정 종료를 기반으로 하는 동양 철학(181.04-181.09) = 210
12.3.5. 기타 지역의 서양 철학(199) = 211
12.4. 한국도서관을 위한 철학류의 재전개 = 212
12.5. 철학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13
제13장 주류 200 종교 = 217
13.1. 종교류의 개념과 특성 = 217
13.2. 종교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218
13.2.1. 종교류의 개요 = 218
13.2.2. 종교류의 주요 개정 부분 = 220
13.3. 기독교 이외의 종교를 강조하기 위한 임의 규정 = 220
13.4. 종교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221
13.4.1. 초기 라틴어판 성서(220.47) = 221
13.4.2. 신약 성서(225) = 222
13.4.3. 성서나 위경서, 외경서의 각 부분(221-229) = 224
13.4.4. 기독교 각 교파의 교리(230.1-.9) = 225
13.4.5. 기타 종교(기독교 이외의 종교)(290) = 226
13.5. 한국도서관을 위한 종교류의 재전개 = 228
13.6. 종교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30
제14장 주류 300 사회과학 = 223
14.1. 사회과학류의 개념과 특성 = 233
14.2. 사회과학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233
14.2.1. 사회과학류의 개요 = 234
14.2.2. 사회과학류의 주요 개정 부분 = 241
14.3. 사회과학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242
14.3.1. 특종 종교 집단(305.6) = 243
14.3.2. 특정 지역의 경제 상황(330.93-.99) = 244
14.3.3. 선거법(342.07) = 245
14.3.4. 해군(359.96) = 246
14.3.5. 특정 언어의 민속 문학(398.204) = 247
14.4. 한국도서관을 위한 사회과학류의 재전개 = 248
14.5. 사회과학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50
제15장 주류 400 언어 = 253
15.1. 언어류의 개념과 특성 = 253
15.2. 언어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254
15.2.1. 언어류의 개요 = 254
15.2.2. 언어류의 주요 개정 부분 = 255
15.3. 자국어를 강조하기 위한 임의 규정 = 256
15.4. 언어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257
15.4.1. 단일어로 된 정의를 가진 다국어 사전(413.2-.9) = 257
15.4.2. 잉글랜드의 영어 방언(427.1-.8) = 258
15.4.3. 오세아니아의 비오스트로네시아어, 오스트로네시아어, 기타어(499) = 258
15.5. 한국도서관을 위한 언어류의 재전개 = 260
15.6. 언어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60
제16장 주류 500 과학 = 265
16.1. 과학류의 개념과 특성 = 265
16.2. 과학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265
16.2.1. 과학류의 개요 = 266
16.2.2. 과학류의 주요 개정 부분 = 271
16.3. 자연과학 및 수학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272
16.3.1. 물리학의 표준세구분(530.01-.09) = 272
16.3.2. 산(酸)에 관한 이론 화학(547.037044) = 273
16.3.3. 특정 지역의 지구과학(554-559) = 275
16.3.4. 동물 세포생물학(571.61) = 275
16.3.5. 무척추 동물의 진화(592.138) = 276
16.4. 한국도서관을 위한 과학류의 재전개 = 277
16.5. 과학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78
제17장 주류 600 기술과학 = 281
17.1. 기술과학류의 개념과 특성 = 281
17.2. 기술과학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282
17.2.1. 기술과학류의 개요 = 282
17.2.2. 기술과학류의 주요 개정 부분 = 288
17.3. 기술과학류의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291
17.3.1. 혈우병의 치료(616.157206) = 291
17.3.2. 전자 회로(621.38132) = 293
17.3.3. 특정 지역 요리의 특성(641.593-.599) = 294
17.3.4. 마케팅의 표준세구분(658.8001-.8009) = 294
17.3.5. 특정 유형의 건물의 건축(690.5-.8) = 295
17.4. 한국도서관을 위한 기술과학류의 재전개 = 296
17.5. 기술과학류의 적용 사례 분석 = 297
제18장 주류 700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 = 301
18.1.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의 개념과 특성 = 301
18.2.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302
18.2.1.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의 개요 = 302
18.2.2.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의 주요 개정 부분 = 308
18.3.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308
18.3.1. 특정 테마 및 주제를 다루는 예술(700.42-.48) = 308
18.3.2. 기타 특정 주제의 조상(彫像)(731.82-.89) = 309
18.3.3. 음악과 다른 주제와의 관계(780.0001-.0999) = 311
18.3.4. 특정 민족 및 국가군의 민속 음악(781.621-.629) = 311
18.3.5. 특정 계층의 사람들을 위한 실내 게임 및 오락 활동과 프로그램(793.019) = 313
18.4. 한국도서관을 위한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의 재전개 = 314
18.5.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류의 적용 사례 분석 = 316
제19장 주류 800 문학 = 319
19.1. 문학류의 개념과 특성 = 319
19.2. 문학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320
19.2.1. 문학류의 개요 = 321
19.2.2. 문학류의 주요 개정 부분 = 322
19.2.3. 자국 문학을 강조하기 위한 임의 규정 = 322
19.3. 문학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323
19.3.1. 기타 언어 문장 작법(808.043-.049) = 323
19.3.2. 특정 시대의 문학 전집(808.8001-.8005) = 325
19.3.3. 특정 형식의 문학에 대한 비평(809.1-.7) = 325
19.3.4. 특정 주제를 강조하는 문학에 대한 비평(809.935) = 327
19.3.5. 오세아니아의 비오스트로네시아어, 오스트로네시아어, 기타어 문학(899) = 327
19.4. 한국도서관을 위한 문학류의 재전개 = 329
19.5. 문학류의 적용 사례 분석 = 331
제20장 주류 900 역사 및 지리 = 335
20.1. 역사 및 지리류의 개념과 특성 = 335
20.2. 역사 및 지리류의 개요와 주요 개정 부분 = 336
20.2.1. 역사 및 지리류의 개요 = 336
20.2.2. 역사 및 지리류의 주요 개정 부분 = 337
20.3. 전기에 대한 임의 규정 = 338
20.4. 역사 및 지리류의 주요 기호 합성에 관한 분석 = 339
20.4.1. 특정 민족 및 국가군에 관련된 세계사(909.04) = 339
20.4.2. 특정 국가에 의한 발견과 탐험(910.93-.99) = 340
20.4.3. 특정 국가에 대한 여행(913-919) = 341
20.4.4. 과학자의 전기(925) = 342
20.4.5. 영국사(941) = 343
20.5. 한국도서관을 위한 역사 및 지리류의 재전개 = 344
20.6. 역사 및 지리류의 적용 사례 분석 = 345
참고문헌 = 349
부록
Ⅰ. DDC 제22판의 주류표, 100구분표, 보조표의 개요 = 355
Ⅱ. DDC 및 문헌 분류 관련 용어 해설 = 367
Ⅲ. DDC 및 문헌 분류 관련 주요 약어 = 375
Ⅳ. 저자기호법 = 377
국문색인 = 000
영문색인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