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지속가능 발전의 전개 = 9
1. 지속가능 발전의 의의 = 9
2.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동향 = 22
3. WSSD 이후 지속가능 발전의 전망 = 56
제2장 OECD 국가의 지속가능 발전전략 = 67
1. 미국 = 68
2. 영국 = 82
3. 독일 = 93
4. 일본 = 103
5. 핀란드 = 116
6. 한국 = 127
7. 선진 각국과 한국의 지속가능 발전정책 비교 = 139
제3장 지속가능성 평가 = 147
1. 지속가능성 지표 = 147
2. 지속가능성 지표 논의 동향 = 153
3. 환경지속성 지수의 구성 체계 및 특징 = 162
제4장 한국의 환경지속성 평가 = 170
1. 한국 환경지속성 지수의 국가 순위 = 170
2. 대기 = 177
3. 물 = 200
4. 생태계 = 217
5. 인간 취약성 저감 = 230
6. 사회·제도적 대응 역량 = 232
7. 지구 환경관리 기여도 = 247
제5장 결론 : 환경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 257
부록 = 265
1. UNCSD의 지속가능성 지표 = 266
2. UNCSD의 핵심 지속가능성 지표 = 270
3. OECD의 지속가능성 지표 = 272
4. EU의 지속가능성 지표(1997) = 273
5. EU의 지속가능성 지표(2001) = 274
6. U.S. SDI Group의 지속가능성 지표 = 276
참고 문헌 = 277
찾아보기 = 286
머리말 = 3
제1장 지속가능 발전의 전개 = 9
1. 지속가능 발전의 의의 = 9
2.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동향 = 22
3. WSSD 이후 지속가능 발전의 전망 = 56
제2장 OECD 국가의 지속가능 발전전략 = 67
1. 미국 = 68
2. 영국 = 82
3. 독일 = 93
4. 일본 = 103
5. 핀란드 = 116
6. 한국 = 127
7. 선진 각국과 한국의 지속가능 발전정책 비교 = 139
제3장 지속가능성 평가 = 147
1. 지속가능성 지표 = 147
2. 지속가능성 지표 논의 동향 = 153
3. 환경지속성 지수의 구성 체계 및 특징 = 162
제4장 한국의 환경지속성 평가 = 170
1. 한국 환경지속성 지수의 국가 순위 = 170
2. 대기 = 177
3. 물 = 200
4. 생태계 = 217
5. 인간 취약성 저감 = 230
6. 사회·제도적 대응 역량 = 232
7. 지구 환경관리 기여도 = 247
제5장 결론 : 환경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 257
부록 = 265
1. UNCSD의 지속가능성 지표 = 266
2. UNCSD의 핵심 지속가능성 지표 = 270
3. OECD의 지속가능성 지표 = 272
4. EU의 지속가능성 지표(1997) = 273
5. EU의 지속가능성 지표(2001) = 274
6. U.S. SDI Group의 지속가능성 지표 = 276
참고 문헌 = 277
찾아보기 =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