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관촌(冠村) 가는 길
제1장 서론 = 11
1. 문제제기 = 11
2. 연구사 검토 및 연구 방법 = 19
제2장 이야기, 이야기성, 이야기꾼의 운명 = 41
1. 이야기 문화의 전통과 계승 = 41
2. 근대소설의 이야기성과 미학적 특징 = 49
3. 산업화시대의 문학과 이야기꾼의 운명 = 62
제2부 구술적 서사전통과 근대적 변용
제1장 사실과 체험의 입체화 = 77
1. 사실과 체험의 입체 = 77
2. 이야기성의 수용과 소설적 실험 = 105
제2장 근대 체험으로서의 고향 = 121
1. 고향의 재발견과 기억의 힘 = 121
2. 수필적 글쓰기 전략과 '전(傳)' 양식의 미학 = 141
제3장 세태의 저인망과 말의 갈등 = 155
1. 저항적 주체의 성립과 풍자적 서술의 힘 = 155
2. 연작 양식의 도입과 확장 = 183
제4장 고독과 성찰의 내면화 = 211
1. 고독과 성찰의 형식 = 211
2. 이야기성의 퇴조와 소설적 모색 = 250
제3부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제1장 이문구 소설의 문학사적 위상 = 263
1. 근대적 의미의 농촌 탐구와 재현 = 263
2. 구술적 서사전통의 계승과 근대적 변용의 공과 = 268
3. 전통과 근대의 조화를 위한 모색 = 273
제2장 결론 = 279
참고문헌 = 289
찾아보기 = 294
부록
발굴작품 해설 1:「강변의 빈터」 = 299
발굴작품 해설 2:「숨쉬는 장승」 = 310
주요 어휘 해설 = 319
작품연보 1:이문구 소설 목록 = 357
작품연보 2:이문구 작품집 목록 = 361
연구논문 목록 = 364
제1부 관촌(冠村) 가는 길
제1장 서론 = 11
1. 문제제기 = 11
2. 연구사 검토 및 연구 방법 = 19
제2장 이야기, 이야기성, 이야기꾼의 운명 = 41
1. 이야기 문화의 전통과 계승 = 41
2. 근대소설의 이야기성과 미학적 특징 = 49
3. 산업화시대의 문학과 이야기꾼의 운명 = 62
제2부 구술적 서사전통과 근대적 변용
제1장 사실과 체험의 입체화 = 77
1. 사실과 체험의 입체 = 77
2. 이야기성의 수용과 소설적 실험 = 105
제2장 근대 체험으로서의 고향 = 121
1. 고향의 재발견과 기억의 힘 = 121
2. 수필적 글쓰기 전략과 '전(傳)' 양식의 미학 = 141
제3장 세태의 저인망과 말의 갈등 = 155
1. 저항적 주체의 성립과 풍자적 서술의 힘 = 155
2. 연작 양식의 도입과 확장 = 183
제4장 고독과 성찰의 내면화 = 211
1. 고독과 성찰의 형식 = 211
2. 이야기성의 퇴조와 소설적 모색 = 250
제3부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제1장 이문구 소설의 문학사적 위상 = 263
1. 근대적 의미의 농촌 탐구와 재현 = 263
2. 구술적 서사전통의 계승과 근대적 변용의 공과 = 268
3. 전통과 근대의 조화를 위한 모색 = 273
제2장 결론 = 279
참고문헌 = 289
찾아보기 = 294
부록
발굴작품 해설 1:「강변의 빈터」 = 299
발굴작품 해설 2:「숨쉬는 장승」 = 310
주요 어휘 해설 = 319
작품연보 1:이문구 소설 목록 = 357
작품연보 2:이문구 작품집 목록 = 361
연구논문 목록 =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