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고려말ㆍ조선전기 고승과 불교시책 = 17
Ⅰ. 고려말ㆍ조선전기 중요 고승 개관 = 19
1. 들어가는 말 = 19
2. 고려말 불교계의 고승 = 20
1) 불교고승의 동향 = 20
2) 불교계의 중요 고승 = 25
3. 조선전기 불교계의 고승 = 38
1) 불교고승의 동향 = 38
2) 불교계의 활동 고승 = 43
3) 조선전기 산중 수행ㆍ교화승 = 56
4. 나가는 말 = 68
Ⅱ. 조선전기 불교시책의 이해 = 71
1. 들어가는 말 = 71
2. 태종대 7종 242사 체제 = 75
3. 세종대 선교양종 36사 체제 = 88
4. 연산군 이후 무종단과 명종대 선교양종의 복립 = 95
5. 나가는 말 = 105
Ⅲ. 고려말ㆍ조선전기의 승려억압책 : 度牒制 = 109
1. 들어가는 말 = 109
2. 여말선초 숭요억불운동과 도첩제 = 112
1) 고려말 숭유억불운동과 도첩제의 시행 = 112
2) 조선 건국초 『經濟六典』체제 하의 도첩제 = 118
3. 조선초 불교탄압시책과 도첩제 = 124
1) 태종대 불교계 탄압시책과 도첩제 = 124
2) 세종대 불교계 탄압시책과 도첩제 = 128
4. 조선전기 숭불시책과 도첩제 = 132
1) 조선전기 도첩제와 僧人號牌法의 실시 = 132
2) 『經國大典』의 제정과 도첩제 = 137
5. 조선전기 산중불교와 도첩제 = 139
1) 숭유척불기 불교와 도첩제 = 139
2) 산중불교와 도첩제 = 143
6. 나가는 말 = 145
Ⅳ. 조선전기 불교탄압과 대응 = 149
1. 들어가는 말 = 149
2. 태조ㆍ태종대 불교탄압과 대항 = 152
3. 세종ㆍ세조대 불교탄압과 저항 = 165
4. 예종ㆍ성종대 불교탄압과 항거 = 178
5. 나가는 말 = 192
제2부 고려후기ㆍ조선전기 고승의 활동 = 197
Ⅰ. 고려후기ㆍ조선초 수선사계 고승 = 199
1. 들어가는 말 = 199
2. 지눌과 수선사의 선풍 = 203
1) 지눌의 선풍과 혜심의 수선사 선풍 = 203
2) 혼원ㆍ천영의 수선사 선풍과 선원사 = 216
3) 충지와 그 이후의 수선사 선풍 = 221
3. 목우자 선풍과 여말선초 불교계 = 227
1) 만항ㆍ충감의 선풍과 몽산선풍 = 227
2) 복구와 그 이후의 수선사 = 230
3) 여말삼사와 그의 문도의 선풍 = 235
4. 나가는 말 = 247
Ⅱ. 고려후기ㆍ조선초 가지산문계 고승 = 253
1. 들어가는 말 = 253
2. 고려후기 가지산문계의 동향 = 255
1) 무신집권기 가지산문계의 동향 = 255
2) 원나라 간섭기의 일연과 그의 문도 혼구의 등장 = 260
3. 고려말 태고보우의 선풍진작과 여말선초 문도들 = 270
4. 나가는 말 = 284
Ⅲ. 조선전기 불교계의 활동 고승 = 289
1. 들어가는 말 = 289
2. 조선전기 불교계 활동 고승 = 290
1) 나옹혜근의 문도 무학자초와 그의 도반들 = 290
2) 무학자초의 문도 진산ㆍ기화와 그의 도반들 = 297
3) 혜각신미와 문도 학열ㆍ학조 = 311
3. 나가는 말 = 318
Ⅳ. 조선전기 산중 수행ㆍ교화승 = 321
1. 들어가는 말 = 321
2. 조선전기 불교계 고승과 선풍 = 322
1) 태고보우의 문도 혼수ㆍ구곡ㆍ벽계정심 = 322
2) 벽계정심의 문도 벽송지엄ㆍ묘각수미 = 338
3) 벽송지엄의 문도 부용영관ㆍ경성일선 = 351
3. 나가는 말 = 360
제3부 고려말ㆍ조선전기 고승 탐구 = 365
Ⅰ. 고려말 화엄종승 辛旽 = 367
1. 들어가는 말 = 367
2. 편조의 불교계 행적 = 369
3. 청한거사 신돈의 불교계 활동 = 380
4. 나가는 말 = 387
Ⅱ. 고려말 삼화상 白雲景閑 = 391
1. 들어가는 말 = 391
2. 불교계의 행적과 교유승려 = 393
1) 행적 문제 = 393
2) 사승 및 문도 = 399
3) 교유숭려 = 406
3. 불교계의 활동과 고려말 선종계 = 409
1) 경한과 태고보우의 불교쇄신책 = 409
2) 경한과 나옹혜근의 불교쇄신책 = 413
4. 나가는 말 = 420
Ⅲ. 조선초 천태종 고승 行乎 = 423
1. 들어가는 말 = 423
2. 행호의 행적과 불교계 활동 = 424
3. 행호와 조선초 불교계 = 432
4. 나가는 말 = 446
Ⅳ. 조선초 두타승 雪岑 金蒔習 = 449
1. 들어가는 말 = 449
2. 생애와 불교계 활동 재검토 = 451
1) 성장ㆍ수학기 = 454
2) 출가ㆍ두타행기 = 458
3) 교화ㆍ저술기 = 465
4) 퇴속ㆍ만행기 = 471
3. 불교계의 스승ㆍ교유승려ㆍ문도 = 471
1) 스승 = 472
2) 교유승려 = 476
3) 문도 = 478
4. 나가는 말 = 483
Ⅴ. 세조대 삼화상 信眉와 學悅ㆍ學祖 = 487
1. 들어가는 말 = 487
2. 삼화상의 불교계 행적 = 488
3. 삼화상의 불교계 활동과 그 위상 = 493
4. 나가는 말 = 502
Ⅵ. 조선전기 대표적 순교승 懶庵普雨 = 505
1. 들어가는 말 = 505
2. 생애 및 불교계 행적 = 507
3. 불교계 문도와 교유승려 = 520
4. 나가는 말 = 531
참고문헌 = 537
Abstract = 549
찾아보기 = 555
책머리에 = 5
제1부 고려말ㆍ조선전기 고승과 불교시책 = 17
Ⅰ. 고려말ㆍ조선전기 중요 고승 개관 = 19
1. 들어가는 말 = 19
2. 고려말 불교계의 고승 = 20
1) 불교고승의 동향 = 20
2) 불교계의 중요 고승 = 25
3. 조선전기 불교계의 고승 = 38
1) 불교고승의 동향 = 38
2) 불교계의 활동 고승 = 43
3) 조선전기 산중 수행ㆍ교화승 = 56
4. 나가는 말 = 68
Ⅱ. 조선전기 불교시책의 이해 = 71
1. 들어가는 말 = 71
2. 태종대 7종 242사 체제 = 75
3. 세종대 선교양종 36사 체제 = 88
4. 연산군 이후 무종단과 명종대 선교양종의 복립 = 95
5. 나가는 말 = 105
Ⅲ. 고려말ㆍ조선전기의 승려억압책 : 度牒制 = 109
1. 들어가는 말 = 109
2. 여말선초 숭요억불운동과 도첩제 = 112
1) 고려말 숭유억불운동과 도첩제의 시행 = 112
2) 조선 건국초 『經濟六典』체제 하의 도첩제 = 118
3. 조선초 불교탄압시책과 도첩제 = 124
1) 태종대 불교계 탄압시책과 도첩제 = 124
2) 세종대 불교계 탄압시책과 도첩제 = 128
4. 조선전기 숭불시책과 도첩제 = 132
1) 조선전기 도첩제와 僧人號牌法의 실시 = 132
2) 『經國大典』의 제정과 도첩제 = 137
5. 조선전기 산중불교와 도첩제 = 139
1) 숭유척불기 불교와 도첩제 = 139
2) 산중불교와 도첩제 = 143
6. 나가는 말 = 145
Ⅳ. 조선전기 불교탄압과 대응 = 149
1. 들어가는 말 = 149
2. 태조ㆍ태종대 불교탄압과 대항 = 152
3. 세종ㆍ세조대 불교탄압과 저항 = 165
4. 예종ㆍ성종대 불교탄압과 항거 = 178
5. 나가는 말 = 192
제2부 고려후기ㆍ조선전기 고승의 활동 = 197
Ⅰ. 고려후기ㆍ조선초 수선사계 고승 = 199
1. 들어가는 말 = 199
2. 지눌과 수선사의 선풍 = 203
1) 지눌의 선풍과 혜심의 수선사 선풍 = 203
2) 혼원ㆍ천영의 수선사 선풍과 선원사 = 216
3) 충지와 그 이후의 수선사 선풍 = 221
3. 목우자 선풍과 여말선초 불교계 = 227
1) 만항ㆍ충감의 선풍과 몽산선풍 = 227
2) 복구와 그 이후의 수선사 = 230
3) 여말삼사와 그의 문도의 선풍 = 235
4. 나가는 말 = 247
Ⅱ. 고려후기ㆍ조선초 가지산문계 고승 = 253
1. 들어가는 말 = 253
2. 고려후기 가지산문계의 동향 = 255
1) 무신집권기 가지산문계의 동향 = 255
2) 원나라 간섭기의 일연과 그의 문도 혼구의 등장 = 260
3. 고려말 태고보우의 선풍진작과 여말선초 문도들 = 270
4. 나가는 말 = 284
Ⅲ. 조선전기 불교계의 활동 고승 = 289
1. 들어가는 말 = 289
2. 조선전기 불교계 활동 고승 = 290
1) 나옹혜근의 문도 무학자초와 그의 도반들 = 290
2) 무학자초의 문도 진산ㆍ기화와 그의 도반들 = 297
3) 혜각신미와 문도 학열ㆍ학조 = 311
3. 나가는 말 = 318
Ⅳ. 조선전기 산중 수행ㆍ교화승 = 321
1. 들어가는 말 = 321
2. 조선전기 불교계 고승과 선풍 = 322
1) 태고보우의 문도 혼수ㆍ구곡ㆍ벽계정심 = 322
2) 벽계정심의 문도 벽송지엄ㆍ묘각수미 = 338
3) 벽송지엄의 문도 부용영관ㆍ경성일선 = 351
3. 나가는 말 = 360
제3부 고려말ㆍ조선전기 고승 탐구 = 365
Ⅰ. 고려말 화엄종승 辛旽 = 367
1. 들어가는 말 = 367
2. 편조의 불교계 행적 = 369
3. 청한거사 신돈의 불교계 활동 = 380
4. 나가는 말 = 387
Ⅱ. 고려말 삼화상 白雲景閑 = 391
1. 들어가는 말 = 391
2. 불교계의 행적과 교유승려 = 393
1) 행적 문제 = 393
2) 사승 및 문도 = 399
3) 교유숭려 = 406
3. 불교계의 활동과 고려말 선종계 = 409
1) 경한과 태고보우의 불교쇄신책 = 409
2) 경한과 나옹혜근의 불교쇄신책 = 413
4. 나가는 말 = 420
Ⅲ. 조선초 천태종 고승 行乎 = 423
1. 들어가는 말 = 423
2. 행호의 행적과 불교계 활동 = 424
3. 행호와 조선초 불교계 = 432
4. 나가는 말 = 446
Ⅳ. 조선초 두타승 雪岑 金蒔習 = 449
1. 들어가는 말 = 449
2. 생애와 불교계 활동 재검토 = 451
1) 성장ㆍ수학기 = 454
2) 출가ㆍ두타행기 = 458
3) 교화ㆍ저술기 = 465
4) 퇴속ㆍ만행기 = 471
3. 불교계의 스승ㆍ교유승려ㆍ문도 = 471
1) 스승 = 472
2) 교유승려 = 476
3) 문도 = 478
4. 나가는 말 = 483
Ⅴ. 세조대 삼화상 信眉와 學悅ㆍ學祖 = 487
1. 들어가는 말 = 487
2. 삼화상의 불교계 행적 = 488
3. 삼화상의 불교계 활동과 그 위상 = 493
4. 나가는 말 = 502
Ⅵ. 조선전기 대표적 순교승 懶庵普雨 = 505
1. 들어가는 말 = 505
2. 생애 및 불교계 행적 = 507
3. 불교계 문도와 교유승려 = 520
4. 나가는 말 = 531
참고문헌 = 537
Abstract = 549
찾아보기 = 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