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유리집을 꿈꾸는 불면증의 군주
눈이 지배하는 세상 = 5
토마스 홉스의 한 구절 = 7
가시성의 역전 = 7
벤담의 판옵티콘 = 8
권력개념의 기초로서의 헤겔과 사르트르 = 9
1 문학 속의 눈
에드가 앨런 포의 《폭로하는 심장》 = 17
김영하의 《퀴즈 쇼》 = 22
사르트르의 《구토》 = 23
2 타인은 지옥
타인의 시선 = 29
잠시 전의 나를 무로 만드는 의식 = 32
스스로 성찰하는 돌멩이는 없다 = 33
타인에게 있어서 나는 꽃병과 같은 사물 = 35
바라보임을 당할 때 생기는 것 - 수치심 = 36
사물로의 추락 = 37
사람과 사람 사이가 불편한 이유 = 40
눈이냐, 시선이냐 = 41
맹수처럼 싸우는 두 시선 = 42
이겼을 때가 곧 지는 순간 = 44
사랑의 불가능성 = 45
타인의 세계 속에 떨어진 것이 우리의 원죄 = 47
3 타인의 인정을 받기 위한 싸움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 = 50
최초의 주인과 노예 = 54
즐기는 자와 노동하는 자 = 56
공중에 떠 있는 인간 = 57
의식의 역전 - 〈드라이빙 미스 데이지〉 = 60
성실한 노동이 없으면 영원한 노예근성 = 62
4 헤겔과 사르트르
노예는 주인의 참 모습 = 65
훈훈한 인정의 사회는 있는가? = 67
5 광기와 시선
광기가 웃음거리로 되어 간 역사 = 71
광인을 쇠사슬에서 풀어준 피넬 = 73
튜크의 '묵상의 집' = 75
족쇄로부터의 해방 = 76
시선과 공포 = 77
공포와 이성 = 78
광인의 언어 = 80
광인을 향한 시선 = 82
광인은 영원한 미성년자 = 84
프로이트, 의료 권력의 탄생 = 86
6 의학과 시선
회진하는 의사들 = 89
근대 임상의학의 탄생 = 91
'보는' 눈, '말하는' 눈 = 93
시선의 주권 = 94
'아는 눈', '통치하는 눈' = 96
시체를 해부하라 = 97
죽음과 시선 = 100
개인에게 관심을 갖기 시작한 의학 = 102
7 권력의 시선, 시선의 권력
잔혹한 이야기 = 105
몸을 경시하던 시대 = 107
처벌의 공포적 성격 = 109
재판관과 살인자의 역할 전도 = 112
폭동을 유발한 공개처형 = 113
처벌의 축제가 사라지다 = 116
공개형을 대체한 일과표 = 117
수도원과 감옥 = 119
근대 권력의 탄생 = 120
권력과 몸 = 123
복종하는 신체 = 125
8 나병과 페스트의 모델
도시에서 추방된 나환자들 = 135
흑사병 - 죽음의 공포 = 137
통음난무의 꿈 = 138
지속적인 감시 모델로서의 페스트 = 139
푸코가 말하는 네거티브의 의미 = 142
9 사람 사이의 관계는 모두가 권력관계
사람 셋만 모이면 권력관계가 형성된다 = 146
아는 것이 힘이다, 아는 것이 권력이다 = 148
10 공간과 권력
모든 건축은 정치적이다 = 153
병영과 대학 연구실 = 154
교실의 배치는 살아 있는 일람표(교실의 배치) = 156
대상을 알고자 하는 권력의 욕구 - 시험 = 159
개인의 통제수단이 된 기록 = 161
11 판옵티콘
빛과 어둠, 지배와 피지배의 상징 = 166
판옵티콘 이전의 판옵티콘 = 168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 171
정보의 대상으로 전락한 죄수 = 178
12 무서운 세상 - 전자 판옵티콘의 시대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의 경우 = 185
전자 판옵티콘 = 147
정보는 시선이다 = 191
감시하는 사람도 감시당하는 세상 = 193
소비자를 감시하는 기업 = 195
전자 관음증 = 197
권력의 감시에서 보통사람들의 감시로 = 200
쇼를 하라 = 203
권력있는 사람에게만 보호되는 프라이버시 = 204
13 눈 이야기
오이디푸스에서 바타이유까지 = 208
실명, 거세의 낮은 단계 = 213
언제나 외눈인 신의 눈 = 214
14 시각이 지배하는 세상
시각의 특권적 지위 = 217
'너의 아버지는 너를 비밀리에 본다' = 218
시선과 페미니즘 = 221
현대의 시선 = 222
가시성의 전도 = 224
서문 : 유리집을 꿈꾸는 불면증의 군주
눈이 지배하는 세상 = 5
토마스 홉스의 한 구절 = 7
가시성의 역전 = 7
벤담의 판옵티콘 = 8
권력개념의 기초로서의 헤겔과 사르트르 = 9
1 문학 속의 눈
에드가 앨런 포의 《폭로하는 심장》 = 17
김영하의 《퀴즈 쇼》 = 22
사르트르의 《구토》 = 23
2 타인은 지옥
타인의 시선 = 29
잠시 전의 나를 무로 만드는 의식 = 32
스스로 성찰하는 돌멩이는 없다 = 33
타인에게 있어서 나는 꽃병과 같은 사물 = 35
바라보임을 당할 때 생기는 것 - 수치심 = 36
사물로의 추락 = 37
사람과 사람 사이가 불편한 이유 = 40
눈이냐, 시선이냐 = 41
맹수처럼 싸우는 두 시선 = 42
이겼을 때가 곧 지는 순간 = 44
사랑의 불가능성 = 45
타인의 세계 속에 떨어진 것이 우리의 원죄 = 47
3 타인의 인정을 받기 위한 싸움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 = 50
최초의 주인과 노예 = 54
즐기는 자와 노동하는 자 = 56
공중에 떠 있는 인간 = 57
의식의 역전 - 〈드라이빙 미스 데이지〉 = 60
성실한 노동이 없으면 영원한 노예근성 = 62
4 헤겔과 사르트르
노예는 주인의 참 모습 = 65
훈훈한 인정의 사회는 있는가? = 67
5 광기와 시선
광기가 웃음거리로 되어 간 역사 = 71
광인을 쇠사슬에서 풀어준 피넬 = 73
튜크의 '묵상의 집' = 75
족쇄로부터의 해방 = 76
시선과 공포 = 77
공포와 이성 = 78
광인의 언어 = 80
광인을 향한 시선 = 82
광인은 영원한 미성년자 = 84
프로이트, 의료 권력의 탄생 = 86
6 의학과 시선
회진하는 의사들 = 89
근대 임상의학의 탄생 = 91
'보는' 눈, '말하는' 눈 = 93
시선의 주권 = 94
'아는 눈', '통치하는 눈' = 96
시체를 해부하라 = 97
죽음과 시선 = 100
개인에게 관심을 갖기 시작한 의학 = 102
7 권력의 시선, 시선의 권력
잔혹한 이야기 = 105
몸을 경시하던 시대 = 107
처벌의 공포적 성격 = 109
재판관과 살인자의 역할 전도 = 112
폭동을 유발한 공개처형 = 113
처벌의 축제가 사라지다 = 116
공개형을 대체한 일과표 = 117
수도원과 감옥 = 119
근대 권력의 탄생 = 120
권력과 몸 = 123
복종하는 신체 = 125
8 나병과 페스트의 모델
도시에서 추방된 나환자들 = 135
흑사병 - 죽음의 공포 = 137
통음난무의 꿈 = 138
지속적인 감시 모델로서의 페스트 = 139
푸코가 말하는 네거티브의 의미 = 142
9 사람 사이의 관계는 모두가 권력관계
사람 셋만 모이면 권력관계가 형성된다 = 146
아는 것이 힘이다, 아는 것이 권력이다 = 148
10 공간과 권력
모든 건축은 정치적이다 = 153
병영과 대학 연구실 = 154
교실의 배치는 살아 있는 일람표(교실의 배치) = 156
대상을 알고자 하는 권력의 욕구 - 시험 = 159
개인의 통제수단이 된 기록 = 161
11 판옵티콘
빛과 어둠, 지배와 피지배의 상징 = 166
판옵티콘 이전의 판옵티콘 = 168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 171
정보의 대상으로 전락한 죄수 = 178
12 무서운 세상 - 전자 판옵티콘의 시대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의 경우 = 185
전자 판옵티콘 = 147
정보는 시선이다 = 191
감시하는 사람도 감시당하는 세상 = 193
소비자를 감시하는 기업 = 195
전자 관음증 = 197
권력의 감시에서 보통사람들의 감시로 = 200
쇼를 하라 = 203
권력있는 사람에게만 보호되는 프라이버시 = 204
13 눈 이야기
오이디푸스에서 바타이유까지 = 208
실명, 거세의 낮은 단계 = 213
언제나 외눈인 신의 눈 = 214
14 시각이 지배하는 세상
시각의 특권적 지위 = 217
'너의 아버지는 너를 비밀리에 본다' = 218
시선과 페미니즘 = 221
현대의 시선 = 222
가시성의 전도 =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