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동아시아 고전으로서 삼국지 연의
삼국연의의 정통성에 관한 고찰 ... 11
오시카와 에이지 삼국지의 수용과 사적 의미 ... 39
삼국연의 다시 읽기(1) ... 55
삼국연의 다시 읽기(2) ... 97
동요를 통해 본 삼국지 판본 비교 ... 137
제2장 삼국지연의의 한국어 번역과 유통
구활자본 삼국지의 유통과 양상 ... 155
양건식의 삼국연의 번역에 대하여 ... 181
한용운 삼국지의 판본 상의 특징과 그 의미 ... 205
박태원 삼국지 연구 ... 229
삼국지 한국어 역본 서문 고찰 ... 271
제3장 한국 고전 어문학에서의 삼국지연의 수용
적벽가의 삼국지 변용과 패러디 ... 299
삼국지 수용 시조를 통해 본 가곡원류와 남훈태평가 ... 337
조선시대 청학서에 대한 소고 - 특히 삼역총해를 중심으로 ... 361
이정보의 삼국지 소재시조 ... 379
제4장 현대 미디어 시대와 삼국지연의의 변용
고우영삼국지와 삼국지의 서사변환 ... 395
한국어판 애니메이션 삼국지의 종류와 변용 ... 423
대중문학과 문화콘텐츠로서의 삼국지 ... 449
삼국지, 컴퓨터게임, 스토리텔링 ... 477
삼국연의의 정통성에 관한 고찰 ... 11
오시카와 에이지 삼국지의 수용과 사적 의미 ... 39
삼국연의 다시 읽기(1) ... 55
삼국연의 다시 읽기(2) ... 97
동요를 통해 본 삼국지 판본 비교 ... 137
제2장 삼국지연의의 한국어 번역과 유통
구활자본 삼국지의 유통과 양상 ... 155
양건식의 삼국연의 번역에 대하여 ... 181
한용운 삼국지의 판본 상의 특징과 그 의미 ... 205
박태원 삼국지 연구 ... 229
삼국지 한국어 역본 서문 고찰 ... 271
제3장 한국 고전 어문학에서의 삼국지연의 수용
적벽가의 삼국지 변용과 패러디 ... 299
삼국지 수용 시조를 통해 본 가곡원류와 남훈태평가 ... 337
조선시대 청학서에 대한 소고 - 특히 삼역총해를 중심으로 ... 361
이정보의 삼국지 소재시조 ... 379
제4장 현대 미디어 시대와 삼국지연의의 변용
고우영삼국지와 삼국지의 서사변환 ... 395
한국어판 애니메이션 삼국지의 종류와 변용 ... 423
대중문학과 문화콘텐츠로서의 삼국지 ... 449
삼국지, 컴퓨터게임, 스토리텔링 ... 477